2017년 독일 국회의원 선거로 보는 독일 정당 by Mr.Wissen2go from YouTube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jziBPIVh4XI&index=4&list=PLD3yyRpAc87vu6zeR0GJzThf30WjjD2Os&t=0s


 

1. SPD? Sozialdemokratische Patei Deutschlands


 - 가장 오래된 정당

 - 배출한 유명 총리들 : Willy Brandt, Gerhard Schröder, Helmut Kohl (CDU아니었나?)

 - 산업화 Industrisialisierung 때 lebensgefährlich 한 환경(하루 12~13시간?!) 에서 일을 해야했던 산업 노동자 Industriearbeiter 를 중심으로 그들의 Rechte를 위해 1891년 창당했다.

 - 당시 목표는 2가지 : 노동자들의 권익 강화 Rechte der Arbeiter stärker, 노동자들에게 빠워를!! Macht an der Arbeiter

 - 잘 나가다가 1933년 나치의 집권으로 모든 정당이 금지됐을 때 (정당활동이 금지됐다는 건 또 처음 앎) SPD 역시 문 닫게됨

 - 최전성기는 1969년 Willy Brandt 가 총리가 됐을 때의 46%


* Godesberger Programm : vom 1959 bis 1989. SPD 의 성질을 Arbeiterpartei 에서 Volkspartei 로 변화시키는 운동. 요는 레볼루셔녈한 체질에서 Marktwirtschaft, Landesverteidigung 등 메인스트림으로.


2. SPD 가 추구하는 가치 Wofür steht SPD


[자유, 평등 박애. 유럽 민주주의 기초는 프랑스 혁명의 Grundforderung에 있다]


[정의(또는 평등)을 위한 시간 Zeit für Gerechtigkeit] 

(한글로 써놓으니 어쩐지 미국 탐정소설 느낌)


 - 현재의 SPD 는 CDU/CSU 와 함께 2대 거대 정당이며 창당 컨셉인 노동자를 위한 당이라는 노선은 좀 바뀌어 모든 국민을 위한 정당 Volkspatei 를 지향한다 함.

 - 특히 중요시하는 건 연대! Solidarität


 * 이 연대 Solidarität 는 빨간 깃발과 함께 시위에서 자주 만나는데 어떤 감각으로

   거대 정당이 이 단어를 외치는 지는 좀 궁금함.


3. 2017년 국회의원 선거관련 쟁점으로 보는 SPD

   CDU때와 마찬가지로 6가지 국내정치, 국외 정치, 안보, 경제, 교육, 그리고 이민문제


 ① 국내정치 Innenpolitik


  - Famile 부문은 교육 Bildung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학비 완전 무료를 추구. 안그래도 한국과 비교하면 거진 안들긴 한데 그것도 개선되어야 한다 생각하는 듯


  -  Bürgerversicherung : 일종의 국가 건강보험을 의미한다. 좀 찾아보니까 이게 좀 복잡하다. 독일에는 건강보험이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공보험 Gesetzlich KrankVersicherung 이랑 사보험 Privat KV 이다. 공보험은 일정 소득이상이면 의무 가입이고 (대학에 적이 있는 대학생이 의무로 들어야 되는 보험도 여기 포함됨) 사보험은 어학생이나 소득도 안잡히는 저소득층을 위한 저렴한 상품 외에는 기본적으로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다고 함. 당연히 의료서비스에 차이도 발생하는데 주요한 차이는 웨이팅이라고 한다. 사보험은 상대적으로 더 잘봐준다고 하는데 진짜 그런지는 솔직히 독일애들한테 물어봐야할 듯하고 또 물어봐도 케바케일 것 같다.  


 여튼 SPD의 저 정책은 앞으로 가입하는 사람들은 국민보험으로 일원화해서 의무가입화시켜 소득수준에 따른 의료보험 적용의 차별을 완화하겠다는 것. 기존 사보험 가입자들에 대한 처우와 보험가입 의무대상자 등에 대한 기준은 이 정책을 주장하는 (그렇다 다른 정당도 비슷한 생각을 함) 정당마다 조금 다르다. Grüne 와 Linke 도 건강보험에 대해 생각이 비슷한데 그건 나중에...

 

http://www.t-online.de/gesundheit/id_82889464/buergerversicherung-was-steckt-hinter-den-spd-plaenen-.html

(사보험, 공보험 차이)

https://www.krankenversicherung.net/gesetzliche-private-krankenversicherung

(베리의 공보험/사보험 글)

http://www.berlinreport.com/bbs/board.php?bo_table=lifeqna&wr_id=199280&sca=%EB%B3%B4%ED%97%98

(오유의 독일 의료 이야기)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emigration&no=176


 ② 국외정치 Außenpolitik

  

 - SPD fordert gemeinsame wirtschaftliche Regierung & EU Armee

   EU의 공동 경제 정부와 군대를 지지


  - 터키의 EU 가입에는 과거와 달리 보류하고 좀 지켜보자는 입장

 - Russland, Abrüstung


 ③ 안보 Sicherheit 


 - 더 많은 경찰력 증원 (15000+), 기관별 공통의 보안 소프트웨어 적용

- EU 의 대테러 조직 구축을 추구


 ④ 경제 Wirtschaft 


  - 더 많은 권리를 Leiharbeiter, Arbeitnehmer 에게.

  - 독일서 돈을 벌고 있는 외국계는 똑같이 세금 내시죠.


 ⑤ 교육정책 Bildungspolitik


  - 교육 서비스를 받는데 돈은 필요 없어야 한다!


 ⑥ 이민정책 Einwanderung


  - Fluchtursachen bekämpfen : 난민을 만드는 원인을 잡아야한다.

    파괴된 난민국가에 재건 지원, UNHCR 에 더 많은 지원, 


4. 2017년 SPD 국회의원 공약 총평 


 - 강점 gelobt : 교육 무료화, 노동자 권익 향상

 - 약점 Kritiks : 환경 정책 (광산업계의 노동자에 대해서만 말하고 환경 영향은...), 

                     세금 대책 (돈쓰는 일은 많은데 재원은?)


5. 결정적으로 CDU, CSU 가 딱 하고픈 말


[우린 모던하고 세계적(weltoffen, cosmopolitan)인 독일을 원한다.]


SPD도 재밌었다. 킬링파트는 보험정책과 환경정책의 부재 파트.

다음은 Grüne.


2017년 독일 국회의원 선거로 보는 독일 정당 by Mr.Wissen2go from YouTube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QCVkDM59PvA&list=PLD3yyRpAc87v-pnmWwk-ARL2K8fQ3OGSl&index=47

 

1. CDU / CSU 가 무엇이고 어떤 역사를 가졌는가?


CDU (Christlich Demokratische Union, 기독민주당) : 현재 15개 주에서 활발히 활동

CSU (Christlich Soziale Union 기독사회당) : 바이에른 지역(독일 남부)에서 왕활발



- 1945년 2차대전이 끝난 전후 독일은 새로운 정당시스템을 가지고자 한다. 당시 사람들은 기존에 있던 SPD 나 공산주의 정당이 아닌 무언가 새로운 것을 필요로 했는데 이 타이밍에 기독교적 믿음을 가진 사람들이 같은 믿음을 가지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연합을 이루고자 했다. Chritlch (기독교의...)를 앞글자로 단 여러 조직들이 생겨났고 1949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들 연합 중 CDU, CSU 가 연합한 CDU & CSU 연합이 31프로의 지지율을 얻어 최대 다수 정당이 된다. 이 당시 투표참가율이 78.5% 였다고.



- CDU, CSU는 전후 독일을 다시 부흥시킨 초대 총리 Konrad Adenauer를 비롯하여 여러 총리들을 배출했는데 독일 통일을 이끌었다 평가받는 Helmut Kohl, 그리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 총리를 맡고있는 Angela Merkel도 여기 출신이다.


- 연령 분포 상 최대 지지계층은 60+ 



2.CDU & CSU 가 추구하는 가치

[평화와 안전 (안보), 독일을 위한 원칙들] : 정당 슬로건인듯.


- 시민 정당 (Volkspartei) : 특정 계층이나 그룹을 위하기보다 시민을 위한 당을 추구


[경찰, 공무원, 기업가, 노동자, 학생 등 전부!]


- 성향은 보수적 (Konservativ) : 좋은 것을 유지하자! (Das Gute bewahren!)


3. 2017년 국회의원 선거관련 쟁점으로 보는 CDU & CSU

 크게 6가지로 나눠볼 수 있음. 

 국내정치, 국외 정치, 안보, 경제, 교육, 그리고 이민문제


 ① 국내정치 Innenpolitik

  - 가족관련 이슈, 즉 자녀보조금 (Kindergeld), 주거문제 등

  - 완전 고용 (Vollbeschäftigung) : 실업률을 3% 이하로

  - 균형있는 국가 재정 (ausgegglichener Staatshaushalt) : 당췌 뭔소린지 몰라 조금 찾아보니 난민문제 등의 이슈가 있어도 무리하게 부채를 늘리지 않고 긴축재정으로 살림을 꾸려나가겠다는 기조를 말하는 듯.

* 관련 포스팅 : https://blog.naver.com/elrice/220655998548

 

 ② 국외정치 Außenpolitik

  - 단순히 EU의 금전담당이 아니라 프랑스와 함께 EU의 모터 역할을 할 것이다.

  - 터키가 EU 에 들어오는 것은 반대

  - 하지만 국제 무역 등 경제적 참여의 확대는 찬성

  - 아프리카를 위해 더 많은 액션이 있어야 한다.


 ③ 안보 Sicherheit 

  - CDU & CSU 의 핵심 테마 중 하나 (Kernthema)

  - 다 많이!!

  - 경찰, 군인, CCTV 등 더 많은 투자와 집행이 필요하다.

 

 ④ 경제 Wirtschaft 



  -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 자영업자 및 중산층 강화

  - 농업에 미래가 있단다.

  - 연구기술 지원 (이건 뭐 워낙 잘 하고 있는 것 같은데)


 ⑤ 교육정책 Bildungspolitik

  - 어느 학생들이나 빠른 인터넷을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이건 진짜 대한민국을 따라올 수 없을 거다.

  - CDU 曰, 교육에 관한 부분은 지방의 자치에 맡겨 두고자 함. 

    (Bildungspolitik, weiterhin Ländersache bleibt)


 ⑥ 이민정책 Einwanderung

  - Mr.Wissen2go (본 영상 유툽 주인장) 생각으로는 어느정도 타협점을 추구했다고 한다.

  - CSU 에서는 망명자 제한 (난민도 포함) 을 주장했으나 이번 선거 공약에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한다. 

 - 이민자 수 제한이 없는 대신 입국 심사를 까다롭게.

 - 일단 독일에 왔으면 독일어를 최대한 빨리 배워야 하며 이가 선행되지 않을 경우 향후 독일 거주가 힘들 것임. (정책적 지원에 독일어 숙련도 입증을 전제한다던가 하지 않을까? 구체적인 건 찾아봐야 알듯)


4. 2017년 CDU & CSU 국회의원 공약 총평

 - 강점 : 가족관련 지원이 강하다, 일자리에 집중한다.

 - 약점 : 증가하는 독일의 사회적 불평등에 무게를 크게 두지 않음, 그리고 이민문제


5. 결정적으로 CDU, CSU 가 딱 하고픈 말


[오늘날 우리는 그동안 우리가 가졌던 그 어떤 독일보다

가장 아름다운 최고의 독일에 살고 있습니다] 

.

.

period.


이 양반의 유투브 채널에 이런 정치관련 이슈들이 짧고 잘 정리되있는 것 같이 이를 중심으로 주요 정당들 특성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한번 돌고 나면 아마 뉴스 읽는 재미가 한결 안 낫긋나 싶다. 분명 더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잔잔한 오류나 채널 주인장의 의도적 생략들이 다분히 드러날 것 같지만 정당 이름만 띡 알고 있는 수준의 나에게 현 시점 기준 독일의 정치를 파악하는 데에 이만한 컨텐츠가 딱이라 결정. 다음은 마르틴 슐츠의 SPD.



1. Das Periodesystem der Elemente


* Mithilfe von Mendelejew und Meyer


Periode : die waagerechten Reihen des PSE, von Link

Gruppe : die senkrechten Spalten des PSE, ähnliche Eigenschaften und auch

            dieselbe besitzten Elektronen in der Valenzeschale.

Valenzschale : Schale von Atom, wo Elektornen besitzt werden.

Elektronegativität : Fähigkeit dse Elements, nimmt von links nach rechts und von

                         unten nach oben zu.

Z : Ordnungszahl 

Kohlenstoff : Z = 6, 4 Elektronen in seiner Valenzschale, vier kovalente Bindungen

                 auszubilden

Übergangselemente : transition elements

Die häufigesten vorkommenden Elemente in organischen Molekülen :

H (Wasserstoff, 1), C (Kohlenstoff, 6), N (Stickstoff, 7), O (Sauerstoff, 8), 

P (Phosphor, 15), S (Schwefel, 16) und die Halogene (Gruppe 7) 


Elektronegativität bezeichnet die Fähigkeit eines Elements, in einer chemischen Bindung anzuziehen. 문법 ??


* 원자가전자(Vanlenzelektron) 은 반응에 참여가능한 전자를 말하기에 최외곽 전자

  와는 엄밀히 말해 다른 개념. 예를 들어 Edelgas 는 최외곽전자는 8개이나 원자가

  전자는 없음.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9E%90%EA%B0%80_%EC%A0%84%EC%9E%90


* 이온결합, 극성공유결합, 공유결합의 차이는 전기음성도 차이가 얼마냐에 따라결정.

  차가 1.7 이상이면 이온결합.

 

* 전기음성도는 EN. Kernladung, Atomradius 에 따라 결정됨. 그리고 한 원자의 EN 을

  측정하는 것은 사실상 무리인데, 이는 EN은 다른 원자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영향으


http://www.chemie.de/lexikon/Elektronegativit%C3%A4t.html


2. Die chemische Bindung


Lewis-Struckturen : Molekülschreibweise


Oktettregel : bei der zweiten Periode der Elementen muss Valenzschale mit jeweils

                 acht Elektronen erfüllt sein. Ab der Dritten kann mehr als acht 

                 Elektronen im Lewis Struktur unter bestimmten 

                 bedingungen vorkommen, aufgrund der Existenz d-Orbitalen.

                 weniger als 4 = Elektronen abgeben

                 4 = können beides

                 über 4 = Elektron aufnehmen

VSEPR Modell : Valenzschale Elektronenpaar Abstoßung

                    z.B AX4 (CH4) , AX3E (NH3)  

Lewis 모델과 달리 분자의 실제 형태를 Schreibweise 만으로 알 수 있음

예를 들어 CO2 , SO2


freie Elektronenpaar : 자유전자

Wechselwirkung : interaction


* 왜 VSEPR 모델에서 freie Elektorn은 서로 최대한 반발하는 형태로 이뤄져야 하지? 

  = 위치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멀리있을 수록 같은 전하 가진 애끼리 반발력

     더 작음

  같은 전하를 가진 애들이라 그런가? 그리고 왜 얘들은 kobalente Elektronenpaar

  보다 더 분자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거지?




3. Hybridisierung


Orbitale : Überlappung von Atomorbitalen = chemische Bindung

Hybridisierung : wie die chemische Bindung zwischen Atome ausgebildet wird

 z.B : 단일, 이중, 삼중결합, 수소결합 등

Sigma Bindung : direkte Überlappung der Orbitalen zwischen 

Pi Bindung : indirekte. keine direkte Verknüpfung. 


* 오비탈에서 n, l, m, s는 뭐지? 파동함수?


* 오비탈 설명

https://blog.naver.com/hafs_snu/220305993178


* 화학결합 종류 (화학1, 2 정리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ha116&logNo=120071957130


4. Schache Wechselwirkung : 

   Energien im Bereich von einigen hundert Joule


Van-der-Waals-Kräfte : intermolekulare Wechselwirkung, besteht auf 3

                              betrifft Löslichkeit, chemische Eigenschaft der Molekül


Keesom-Wechselwirkung(Dipol-Dipol-Kräfte) :

 zwischen permanenten Dipolen, z.B Alkoholen. Schmelzpunkt, Siedepunkt 처럼

특정 온도에서 상변화 (Zustandsänderung) 근처일 때 unpolare Moleküle 보다 

polare 가 많아질 때 발생.


Debye-Wechselwirkung : permanente Dipol 이랑 induzierte Dipol 사이에 발생, 

                                

London-Wechselwirkung : zwischen zwei momentan(induzierten) Dipolen

 

Wasserstoffbrückenbindung :


* 판데르발스 포스 / 위키피디아

판데르발스 힘은 유기화합물의 화학적 성질이나 용해도를 결정하는 요소로 사용된다. 이를테면 작은 크기의 알코올 분자에선 하이드록시기가 갖는 극성이 약한 분자간 힘(판데르발스 힘)을 결정한다. 큰 크기의 알코올에서는 비극성인 탄화수소 사슬이 분자의 성질과 용해도를 결정한다. 판데르발스 힘의 크기와 관련된 요소로서 분자량, 분자의 모양, 분자 내 극성의 유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식 P=nRT/(V-nb) - an^2/v^2

* Moment 와 Momentum

 - Moment : 어느 분야든 이 개념은 회전 현상과 관련있다. 물체의 회전효과는 힘의 크기 뿐만 아니라 물리량의 분포 (힘과 작용선과의 거리) 에도 의존하며 모멘트는 이 물리량 (주로 힘) 과 거리를 곱한 것을 의미한다.

물리학의 Moment 는 elektrisches Diolmoment (전기 쌍극자 모멘트), magnetisches Dipolmoment (자기모멘트) 가 있다. 이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주어졌을 때 물체가 얼마나 많은 회전력을 받느냐의 정도를 뜻한다.

전기쌍극자모멘트는 negative Ladung -q 와 positive Ladung q 사이의 거리 l의 곱으로 나타낸다. 벡터의 방향은 양에서 음 전하. 벡터는 rechtsdrehend 는 + , 

linksdrehend 는 -.

      

(분자에서는 기존의 모멘트 단위인 쿨룽 미터 Cm 은 너무 커서 디바이 D (Debye)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pacebug&logNo=130130864298&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de%2F


 - Momentum : 물리에서의 운동량으로 질량과 속도의 곱. 벡터임. 

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따라 힘이 주어지지 않는 계에서는 총 운동량은 변화하지 않음.

근데 이건 고전 역학의 정의이고 상대론적, 양자역학의 운동량은 또 다르다네 거 참.

근데 우리가 아는 모멘텀은 경제 용어로서 주식 가격, 거래량 등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이게 내가 평소 느끼는 모멘텀의 정의였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5bbazzang&logNo=13002537111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de%2F


* 쌍극자 Dipol : 막대자석이 쉬운 예. 크기가 같고 부호가 다른 전하가 일정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배열. 


http://www.chemie.de/lexikon/Dipol.html

https://ko.wikipedia.org/wiki/%EA%B2%B0%ED%95%A9_%EC%8C%8D%EA%B7%B9%EC%9E%90_%EB%AA%A8%EB%A9%98%ED%8A%B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