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sreichen : be enough
- in der Tat : indeed, in fact
- sekretieren : secrete
- überflüssig : superfluous, redundant, waste
z B. Ein zweiter Ersatzreifen ist überflüssig.
- versorgen : provide, feed
- illuminieren : illiminate / beleuchten
- katalysieren : catalyse
- r Ansatz : approach / estimate / base /
- abspalten : seperate
- r Landgang : shore leave, 상륙
- artenreich : biodiverse
- e Abschätzung : assessment, estimation
- mindern : reduce, decrease
- nachvollziehen : understand
- r Wirt : host
- auflösen : dissolve, terminate 용해하다
e Auflösung : dissolution, resolution, 용해, 해상도, 해산
- e Konvergenz : convergence, 수렴, 수렴현상
수렴 진화(收斂 進化)는 계통적으로 관련이 없는 둘 이상의 생물이 적응의 결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현상
- Nachkommen : descendants, 자손, 후손
- in der Lage : able
- im Prinzip : in principle, 원칙적으로
- e Betäubung : anaesthsia, 마취
- e Morphologie : 형태학
- ausgehend : 끝나가는, ?
- Birken : birch, 자작나무
- r Pollen : 꽃가루, 화분
- Leitlinien : guidelines
- r Verderb : spoilage, deterioration, 부패
- eigenständig : independent
- e Abfolge : sequence
- e Phylogenie : 계통발생학
- e Angliederung : affiliation, 가입, 제휴, 소속
상동성(Homology)은 어떠한 형질이 진화의 과정 동안 보존된 것을 말하며, 이는 형태적 형질이나 분자적 형질, 유전자 서열도 해당될 수 있다. 진화가 일종의 개조 과정이라면, 그 과정을 거치면서 보존되는 특징들이 존재할 것이라 예측할 수 있으며, 이것이 상동성
https://www.researchgate.net/post/Homology_similarity_and_identity-can_anyone_help_with_these_terms
- e Unterdrückung : suppression, 억압, 억제
- e Apoptose : apoptosis 세포 사멸
- abziehen : remove, deduct, 제거하다, 감하다
- Phloem : 체관부
- Xylem : 물관부
- Ätiologie : etiology, 인과관계학
- Pathogenität : pathogenecity, 병원성 (유무)
- Virulenz : virulence, 독성 (강도)
- r Ausbruch : outbreak
- s Ausmaß : extent 확장
- e Suszeptibilität : susceptibility, 민감성
- Fruchtfolgen : crop rotation
- e Auflage : condition, circulation / z.B Umweltauflagen
- s Saatgut : seed
- r Übergang : transition, transfer
- r Übertragung : delivery, transfer
- anfällig : vulnerable
- PSM : Pflanzen Schutz Mittel
- bedeutsam : significant
- HGT : Horizontal Genen Transfer
수평적 유전자 이동(水平的 遺傳子 移動, Lateral gene transfer (LGT) / Horizontal gene transfer (HGT))은 생식에 의하지 않고 개체에서 개체로 유전형질이 이동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유전학 개념이다. 주로 단세포 생물에서 관찰된다. 같은 종간에 이루어지는 박테리아 이동과는 달리 수평적 유전자 이동은 종간의 차이를 뛰어넘어 이동할 수 있다. 유전공학은 실험을 통해 인위적인 수평적 유전자 이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 e Nomenklatur : nomenclature
- Taxon, Taxa : 계통군, 같은 Art, Gattung, Familie, Ordnung 등 같이 묶인 단위
그래서 Taxonomie는 종의 이름 짓고(Nomenklatur) 분류함(Klassifizierung)을 의미
- induzierbar : induceable, 유도가능한
- weitergeben : continue, proceed
- eingreifen : intervene, interfere 개입하다, 간섭하다
- zugehörigen Pythopathogenen : ~에 관련있는 (연관있는) 병원체
- nachstellen : adjust, readjust 조정하다, 변경하다
- Vorgehen : aproach, action
- Isolat
- Knoten : nodes, 마디, 매듭
- begeist : ?
- Qudratur :
- e Abgrenzung : delimitation, boundary
- ausgehend : ~으로 부터 시작하여 나아가는
- Thallus : somatische Phase
- e Vegetation : vegetation, 초목
- Mycel : die Gesamtheit aller Hyphen, der fadenförmigen Zellen eines Pilze
- umgewandelt : converted
- e Fortpflanzung : reproduction
- epi- :
- Substrat : substrate, 기질, 생물의 표면, 결합조직
- verankern : anchor
- Wimpern : eyelash 눈썹
- Peitschengeißel, glatt : whip, flat 형태를 말하는 듯
- tubulär : rohrförmig
- vegetativ : 식물생장의? vegetativ gebildete Zellen?
- umgeben : surrounded
- Sterole : eine Gruppe von Membranlipiden und biochemisch wichtige Bestandteile der Zellmembran aus der Obergruppe der Steroide. Grundgerüst ist das Sterin, ein Steran mit einer 3β-Hydroxygruppe.
- Fucosterol is a sterol isolated from algae such as Ecklonia cava or Ecklonia stolonifera.
- Ergosterin, auch Ergosterol genannt, ist ein biochemischwichtiger Naturstoff aus der Gruppe der Sterine (Sterole), genauer der pilzlichen Mycosterine. Es kommt in der Zellmembran von Pilzen und Mykoplasmen vor.
- Chrysolaminarin is a linear polymer of β(1→3) and β(1→6) linked glucoseunits in a ratio of 11:1
- e Anheftung : anchorage
- konvergent : 예시??
- sich vollziehen : take place
- r Zyklus, e Zyklen : 사이클
- begeißelt : 편모를 가진,
- incul :
- Vorhang : ?
- verdichten : condense, compact, compress
- Plastiden : 색소체는 식물과 조류에서 발견되는 세포소기관으로 엽록체, 유색체, 백색체가 있다. 유색체는 카로티노이드계의 색소를 가진 색소체로, 당근·호박·토마토·고추 등의 색은 이것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다. 한편, 백색체는 색소를 갖지 않으며, 분열조직 부근이나 지하부의 세포 등에 함유되어 있는데, 주로 녹말 저장에 관여한다. 엽록체는 광합성에 관계
- Läsionen : lasion, 병변, 질병의 징후로 나타나는 반점 같은 것
- Befruchtung : fertilisation, 결실,
- Plasmogamie :
- Gameten : 생식세포,
- Gametangium : für einen Behälter, in dem die sexuell differenzierten Fortpflanzungszellen (Gameten), die der geschlechtlichen Fortpflanzung dienen, gebildet werden.
Septen [von *sept- ; Sing. Septum], Septa, Scheidewände, 1) Botanik: Dissepimente, Bezeichnung für die echten Scheidewände coenokarperFruchtknoten, die aus miteinander verwachsenden Fruchtblattbereichen der einzelnen Fruchtblätter hervorgehen. Falsche Septen dagegen (falsche Scheidewände) entstehen durch Wucherungen z.B. der Placenta. Blüte. 2)Bei Pilzen die Querwände septierter Hyphen, die von taxonomischer Bedeutung sind.
[1.Einführung]
균류 전반적 정리 - 최신미생물학 (진핵미생물, 세균, 고세균)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jw1793&logNo=22033819621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de%2F
1. Mykologie
1) früher in der Botanik angesiedelt, heute eigenständige biologische Disziplin
2) Wie aufgebaut - Morphologie, welche Arten - Systematik, wo - Ökologie, detail aufgebaut - Genetik, Pathogene & Symbioten - Phytopathologie, Nahrungsmittel & bei deren Verderb - Biotechnologie, mediz. Mykologie
2. Benennung
1) Reich - Stamm(Phylum) - Klasse - Ordnung - Familie -
Gattung (Genus) - Art (species)
2) Phylogenie
1866 : 3 Reiche - Pflanzen (dazu Pilze untergeteilt), Tiere, Einzeller
1969 : 5 Reiche - basiert auf morphologische Merkmale
1987 : 3 Reiche - Eubacteria. Eukaryotes : thermophilien Ursprung
Archaebacteria : älter, anaeroben Habitaten
heute : basiert auf DNA Sequenzdaten
ALL - Endosymbiontenhypothese : 핵이 어떤 Archaebakterium 에서 왔다는 가설. Mitochondrium
ALL - HGT : horizontal gene transfer Gene 이 부모-자식과 같이 수직적 전달이 아니고 개체간 수평적 전달되는 경우. 단세포 생물의 유전자 절달에 중요역할을 담당하며 Evolution, 세균의 내성 확산에 주요 기전. 세균의 경우 세균바이러스인 Bacteriophage 와 plasmid 가 전달을 보통 담당함.
- 식물의 경우 접목을 통해 chloroplast, mitochondria, nucleus 의 DNA 가 HGT 를 통해 전달가능
- 식물의 발생도 Cyanobacterium 을 플라스미드를 통해 받아들임으로써 이뤄짐
- 일단 이정도만.
All - Wie viele Pilze? 대충 13만종 정도라 예상되는데 몇천종이 Flechten, 또 몇천종이 Pathogen mit Pilzen, 몇백종만 동물성 Pathgen
- 기존 알려진것보다 더 많을것같은데 왜냐면 최초 Abschätzung은 단지 형태학적으로만 구분했고 당시 알려진 식물과 Pilze 와의 비 1:6 을 그대로 갖다썼는데 이게 영국 외에 다 통용되는지도 의문이며 또한 연구되지않은 생태학적 니체 Nischen 도 고려치않았기 때문.
All - Zellwandaufbau : 알파/베타(항상있음) Glucane, Chitinf(항상있음) Chitosan, Glycoprotein 그리고 Enzyme, Melanin
* 이 정도로 디테일하게 분자 분류 계통학을 다룬 것은 앞으로 Stammbäume 를 꾸준히 볼텐데 이들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이해를 하고 넘어가기 위함이다.
[2.Molekulare Phylogenie]
1. Pathgene Pilze 5가지 주요 전략
2. Wirt 는 어떤 영향을 받는가!
3. 용어 정리 A : Epidemie는 Population der Pathogen 에 크게 연관이 있다.
4. Ernährungsweise der Pathogene : biotroph의 Supression에 Apoptose도 포함되나
5. 식물이 아프기 위한 전제조건 Vorbedingung
6. Epidemie 발생 영향 요소 3가지 : Suszeptibilität 은 Empfindlichkeit 동의어
7. Qudratur : 인풋, 아웃풋(토양의 Entwicklung은 langfristig한 관점)
8. isip 웹사이트에서는 Produktion의 voraussicht 를 modeing할 수 있다.
9. Jägern Sammlern 시대에서 Bauern 시대 변화로 인한 Pathogenen 의 진화
: 증가 원인에 크게 4가지 요소
10. 분자 계통분류에 대한 Phytopathologie 의 의문들 6가지
11. 용어 정리 B : Phylogenetik 은 분류의 진화적 발달이라는 가설을 기반으로 함.
- Arten 종은 유일하게 natürlich한 분류, 그 상위는 künstlich함
- Homologie 상동성 예시
- Homoplasie : (무슨 biotroph 관련 예시 존재), Konvergenz 의 Pilze Beispiel은?
12. Pilzarten 의 분류적 한계를 결정짓는 3가지 컨셉
- 형태학,
- 생물학 : 교배가 가능해도 그 후 Nachkommen이 가능한지, Wolken은 각각 individuele Variante
- 분류학적 종 컨셉 : Datenbank를 schauen und vergleichen, 형태학적으로는 매우 änlich했으나 DNA 를 돌려보니 사실 다른 종이더라! 무슨뜻?
ähnliche Stammbäume, obwohl F. graminearum sichim Feld sexuell vermehrt => getrennte Linien / Arten
13. Fazit? Genetyp ist sicherer Ansatz als Phänotyp
14. 분류계통학의 적용의 의미 :
- Taxa간의 진화적 관계 재정의,
15/72... 20프로 예습에 1시간 반.
- Stramenopila : Die Gruppe der Stramenopilen (Stramenopiles, auch Chromistaoder Heterokonta) besteht aus eukaryotischen Lebewesen, die zwei unterschiedlich ausgebildete Geißeln besitzen.
- Geißeln, Flagellen : fadenförmige Gebilde auf der Oberfläche einzelner Zellen, die der Fortbewegung dienen
- s Gebilde : structure
- Eipilze, Scheinpilze, Oomycota : Stramenopilen 의 ein Taxon,
원생생물(原生生物, Protista)은 진핵생물 중에 동물이나 식물, 균계에 속하지 않는 생물의 분류이다. 따라서 현대의 계통학적 관점에서 볼 때 원생생물이라는 분류군은 단계통이 아니며 진핵생물 중 주요한 분류군을 제외한 생물들의 거대한 집합, 1969년의 분류에 식물, 동물, 풍기, 모네라 와 함께 5분류 중 하나
유사균류(Pseudofungi)는 부등편모조류 분류의 일종으로,[1][2] 부등편모조아문(Heterokontimycotina)으로도 알려져 있다.[3] 난균류와 역모균류로 구성되어 있다.[3] 비록 수많은 생화학적이고, 초미세 구조와 유전 형질 등이 이들을 부등편모조류로 명확히 분류토록 만들지만, 성장 모습(균사로 이루어진)과 단백질 형태는 (밀접한 관련이 없는)균류와 닮았다.[3]
SAR 상군은 부등편모조류(Stramenopiles)와 피하낭류(Alveolates) 그리고 리자리아(Rhizaria)를 포함하고 있는 생물군이다.[2][3][4][5]
명칭 내의 "SAR"은 각 포함된 각 생물군의 알파벳 첫 글자를 딴 것이다
크로미스타 : 엽록소 a와 b를 함유한 엽록체를 가진 모든 조류
프로토조아 : 하나의 세포로 구성된 현미경적 크기의 동물
| ||||||||||||||||||||||||||||||||||||||||||
Äußere Systematik der Pilze |
| |||||||||||||||||||||||||||||||||||||||||||||
Innere Systematik der Pilze |
[3.Stramenopila]
* 복습
1. phylogenetisches Spezies Konzept는 Taxonomie 에 있어 상대적으로 neuer Ansatz(approach) 이며 진화론을 기반으로 한다.
2. Stammbaum은 Sequenzalignmen 를 기반으로 그려진다. Taxon을 밝혀내는 과정은 Sequenzen 의 Gesamtähnlichkeit를 비교하는 Distanzmatrix Methoden 과 Sequenz 의 einzelner Position 의 Zustand를 비교 (Charakter) 하는 Charakterzustand Methoden, 의 2가지가 있다.
1. Pilzen 의 2가지 Thallustypen (Vegetationsköper, somatischer Phase)
1) holocarp : Thallus 전체가 Fortpflanzungsorgan 이 된다! halo = ganz
2) eucarp : Thallus의 부분에서 발생, eu = echte
- monocentrisch : 1개 , polycentrisch : 여러개
2. Thallus 를 어디 만든다?
1) Im Wirt : endobiotisch
2) auf Wirt : epibiotisch (epi 표피의), 특히 Rhizoide 가 Substrat 위에 이짓을 한다고.
3. unechten Pilze : Stramenopilia, Rhizaria, Amoebozoa
- Stramenopila : 물에 적응한 아이들이다. 원래 이름은 Heterokonta (Hetero : verschieden, konta : mit Geißeln) 즉 대부분 2개의 Geißeln을 가지는데 Aufbau 과정이 Pilze 와 다르다.
그리고 Mycota 와의 차이 6가지있는데 말이지...
1) 미토콘드리아 : tubülar, nicht Christae (접힌 형태)
2) 세포벽 : Cellulose(보통 식물세포벽), nicht Chitin(절지동물 표피, 균류 세포벽, 연체동물 껍질 등 과 동일)
3) Lysin 이 DAP weg 에 있다, nicht AAA weg (?)
4) Vegetativ gebildete Zellen 이 diploid다! Pilze는 진짜 예외인 아이들만 Diploid 란다. -> 유성생식이란 뜻인가? V G Z 이 Thallus를 말하나...
5) Sterole 은 식물세포의 스텐다드 물질로, 많아질 수록 세포벽이 단단해진다. 근데 이게 만들어지는 경우 Fucosterol 이라는데 이게 biotroph 의 증거인가?
6) Kohlenhydrate Speicherform이 Glucan, 특수한 경우 Vakuolen, nicht Glycogen 근데 이게 무슨 의미지?
4. 결론 : Stramenopila 는 오랫동안 Algae 와 비슷한 Ursprung 으로 부터 entwickelt
- grüne Algae, Red
- Oomycota 는 Plastid 를 잃은대신 biotroph (=pathogen) 하게 전환되었다.
5. Stramenopila 의 종류
1) Hyphochytriomycota : 20종, Boden & Süßwasser, Oomycota나 Glomeromycota 의 Sporen 에 saprotroph & Parasiten, Chitin 과 Cellulose가 세포벽에 둘다 있다.
Zuggeißel 1개를 가진 Zoospore
2) Labyrinthulomycota : 60종, 물있는 곳 전부 다. Wasserpflanzen 이나 Torfmoosen (물이끼) 에 붙어먹는다. 분류학적으로 굉장히 다양한 Diversität을 자랑
- Labyrinthula zosterae : 아주 유명한 놈이다. 1930년에 Nordatlantik Küsten 의 90프로 Seegras를 발살냄. 요샌 그렇게 안무섭단다
3) Oomycota : Stramenopila의 광합성 Algen으로 부터 0.7-1.0 miliaden 년전 분리됨.
-1000종이 넘으며 담수, 해수, Land 다 존재. 60프로 이상이 Pflanzenpathogen이며 동물세포에 대해선 saprotroph, 즉 죽은 동물 세포를 통해 맘마섭취.
- Septen 이 없으나 Vermehrung 할땐 있음요, 그리고 Sterole를 Synthese하는 놈도 있지만 obligat biotroph 경우 굳이 만들기 보다 살아있는 놈한테 가져오면 되니까 Wirt 로부터 보통 가져온다.
- Hyphen, Myzel 균사체의 형태는 Mycota 와의 konvergente Evolution의 증거!!! Begeißelung의 소실 또는 Windverbreitung 과 같이 수렴진화의 Mycota 증거
이거랑 HGT랑 무슨 관계징. 여튼 이런 관점에서 충분히 발달한 Oomycota 의 Thallus는 사실상 Mycota 와 다름없다.
-
6. Vermehrung : Monozyklisch (한번만 Sporen발사), Polyzyklisch (여러번 발사, Pflanzenpathgen은 보통 여기 속함)
7. Eukaroyte의 생식시 Kernphasenwechsel : 유성생식하는 모든 Eukaryont에 해당됨 나중에 마저
1) Diploid : n, n
2) 중간과정 Meiose :
8. Gametangiogamie : Pilze의 방식이며 Chromosom 간 Verschmelzung (Fusion)을 거치지 않고 Organe에서 그냥 entstehung 이게 왜 Fusion이 아니지
Im Prinzip Pilze는 그냥 두놈이 만나서 Kern을 교환하면 그게 Verschmelzung -> 4)
1) Gametogamie :
2) Gametangiogamie : 위에 설명한거.
3) Somatogamie :
4) Iso-:
5) Aniso- :
6) Oogamie : 인간이 대표적 예.
* Homothallus : 성별 구분없이, Heterothallus : Männlich, weiblich 구분
9. Oomycota 의 Lebenzyklus, 일반적인 경우
: Diploid가 주요한 Zustand 이며 Karyogamie 는 크게 중요하지 않음.
asexuell의 경우 Zoosporen을 가지며 sexuell 의 경우 Überdauerungsform 을 가진 Oosporen을 만든다. (몇년간 버틸 수 있음)
10. Oomycota 의 진화 : 좌하단은 Oomycota의 Verwandte, 우상단으로 갈수록, 즉 더 늦게 entwickelt될 수록 2가지의 주요 특징을 나눠 가진다.
1) Saprolegniales-Linien: wenige phytopathogene Arten
2) Peronosporales-Linien: viele phytopathogene Arten
-
'독일 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PG] 1강, 2강 (다 놓침), 3강 (0) | 2018.04.20 |
---|---|
[Diagnose und Behandlung] 1강, 2강, 3강 (0) | 2018.04.13 |
[Züchtung von Obst usw] 1, 2강 (Arzneimittel, Gewürz), 3강 (Obst) (0) | 2018.04.13 |
[Org Chem] Organische Chemie im Überblick - 1 (0) | 2018.01.30 |
[Chemie] 1. Einleitung + 1. Übung (0) | 2017.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