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농업단체연합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coagri&logNo=220298895592&parentCategoryNo=&categoryNo=91&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연합뉴스 / 미래농업을 보다 "한국서 LED 식물공장' 붐 일어날 것"]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25/0200000000AKR20171125045200030.HTML


[멀쩡한 햇빛을 차단이라. 유럽은 그 햇빛이 안 멀쩡하다. 겨울은 일조량 가뭄 그자체]


1. 식물공장 : 재배환경을 인공적으로 제어해 실내에서 식물을 연속 생산하는 시스템

 - 인공광형 (완전제어형), 태양광병용형 (부분제어형)

2. 장점 : 상품 규격화 안정화, 병충해 없음, 도시에 적용가능, 극한 지역 (남극, 선박 등)

           유용함, 

  + 개선된 농업 근로 환경 조성가능, 근로 지역 도시 근처 위치가능

3. 단점 : 투입 에너지가 높음 (LED단가, 에너지가 화학양액임), 농업의 다원적 가치

           실현과는 거리가 있음 (생태계 순환과는 거리가 멀다), 맛이 떨어짐,

4. 현황 

 - 북유럽은 대형유리온실 + 인공광 

 - 미국은 연구 중, 고층빌딩형 식물공장 상용화는 아직

 - 일본은 꽤 꾸준히 하는듯 (히다찌 중앙연구소, 고자이 도요키 지바대 교수)


5. 의문점

 - 어떤 LED 가 식물 성장에 필요한가 : 식물이 필요한 광원은 식물마다 어케 다름?

 - 밖에서 기른 식물과 수직농업에서 생산된 식물의 맛이 정말 다른가?

   : 식물의 맛을 결정하는 요소는?

 - 독일의 수직농업 현황은? 아마 단가가 훨 높아서 연구단계일 것 같긴 함.

 - 인공적 양액의 성분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