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정리 - 왓츠앱에 있음
- Vorbildung : die Leute haben 기존에 받아놓은 교육 레벨
- 2.Prüfung ist noch nicht festgelegt
- daran sonst nicht scheitern
- e Schonung : protection
Schonung natürlicher Ressourcen
- Überkommen : traditional
Lr37 ist schon überkommen
- e Ausdehnung : extension
- Nachkommen : 자손, offspring
- Bakteriosen : Bakterien-verursachte Krankheit
- Pilze haben ganz unterschdliche Ansprüche
- Roggen ist Vorreiter für Schwarzrostbefall
25-26.02 Prüfung, 25.03 2.Prüfung
14.01-17.01 Übung,
프락티쿰 : 가운 키텔 가져가기. 9시부터 4시까지.
[Vorstellung von JKI, Bedeutung der Resistenz]
Bundessache (국가단위), Landessache(주단위)
1. JKI : Bundesoberehörde, Bundesforschungsinstitut, Beratung für die Politik,
원한다면 여기서 마스터를 쓸수도 있단다, Quedlinburg, 베를린이랑 Groß Lüsewitz 에서 Züchtung 담당,
- keine Privatzüchtung in DT ?
- Quedlinburg : biotischer Stress 위주 Forschung,
2. Bedeutung der Resistenz
- 시작은 일단 Phytophthora infestans
- 1893 Mendel Genetik 근데 1900년대 wieder entdeckt 이 때부터 systematisch Phytopathologie angefangen
- 11 M hectar in DT, Bt- Mais 는 전세계적으로 180 M hectar
3. Resistenz 가 있으면 어떤 장점이 있지?
- 일단 PSM reduktion 으로 시작해서 확장,
4. Ertragsverlust von Weizen, Gerste : 평균적 20%
5. Gerste 는 확실히 echter Mehltau (auf der Seite) 에 ㄷㅐ해 성공적으로 breeding
6. Resistenz muss mit Ertrag kombinieren
- 1-9 Einstufung für Anfälligkeit
- 1-3 Einstufung in der Regel gilt
- 2010년 내용 보면 Ertrag 도 챙기면서 Resistenz 같이 챙김
- Fusarium 은 Mycotoxine 땜에 문제됨, 주로 돼지에 강한 독성
- Weizen 도 보면 2010년에 훨씬 많은 Sorten 이 resistent und höher Ertrag
7. Gelbmosaikvirose der Gerste
- bodenbürtige Viren은 nicht bekämpfbar, 70cm 깊이까지 갈아엎어도 문제가 된다고
- 오른쪽 그림보면 갈아엎어도 종 자체의 Resistenz 가 없으면 심각한 Verlust erschienen
8. 55 Sorten zugelassen werden,
9. Volkswirtschaft
- YMV, MMV 때문에 이정도 경제적 Schaden auftreten
- 저항력이 돈으로 봐도 이마이 중요하다 이말이야
10. Lr37 은 Braun Rost resistenzgen인데 2013년에는 Rost 가 이겨냈다고
- 왼쪽 아래 Schema : 저항력 가진 새로운 종은 하나의 저항유전자를 가지고 absolut wirken(monogene Resistenz), 근데 어케 이게 깨지는가? Mendel Genetik 으로는 Mutation. zufällig 하지만 viele Sporen 있으니까 Wahrscheinlichkeit 도 높아진단다 je, desto
- 오른쪽 아래 : 이 상황을 극복하고자 야생종이용, Bottle neck Selection. 야생종과 Kultursorte 의 대표적 차이는 무슨 Geschwindigkeit 인데...
11. Resistenz und Klimawandel
- Kulturpflanzen 은 an heutiger Klima angepasst
12. Herausforderung : Weltbevölkerung, Bioenergie (Energie Mais), Verzehrgewohnheit (베간이 늘어나기도 하지만 중국같은 경우 인당 닭 소비량이 한마리씩만 늘어나도 식량 수요가 확 달리짐),
- Klimawandel ist immer regional, aber
13. 왼쪽아래 표시된 낮은 Ertrag Jahre 는 유독 Trocknenheit 가 심했던 때
14. Temperatur 와 Insekten Auftreten positiv Beziehung
- Pilze도 마찬가지. 사실, 곤충보다 Pilze 가 더 schädlich
15. Insekten :
16. Maiszünsler 의 경우 따뜻해지면서 Lebensraum 변함
17. Maiswurzelbohrer : Serbien 에서 점점 서쪽으로 왔다구.
- wie Maiszünsler in nordlicher Region heimlich geworden
18. russische Weizenlaus : überwintern 못한다. 그래서 독일서는 못살아남음
19. Dratwürmer (?) :
- 정리 : Klimawandel 때문에 따뜻한곳에만 유행하는 해충들이 남쪽에만 있는게 아니라 독일 전역에서 발생가능, 또는 발생한다
20. Rapsglanzkäfer : 시기가 당겨져서 피해가 더 커졌다 이말ㅇ이ㅑ
21. 또 다른 예시 : 새로운 발생 외 기존 녀석들의 Populationsdichte 가 높아져서 새로운 문제로 부상하기도.
- Zikaden 은 selbst nicht schädlich, aber Viren übertragen
22. Blattläuse : 점점 빨리 날기 시작해서 Viren übertragung 도 früher
23. Viren : BYDV
- 아래 그래프 : 빨리 더워질수록 바이러스 발생이 더 빨라지낟. Überträger 가 일찍 나니까
24. WDV : 다른 대부분의 Viren 과 달리 DNA
25. WSMV : neu heimlich werden. 독일은 없는데 미국에서는 왕 피곤한 녀석들,
26. Bakteriosen : chemisch nicht bekämpfbar,
27. Pilzliche Pathogen : Pilze haben ganz unterschdliche Ansprüche.
- 조건만 맞으면 바로 발생
28. 겨울이 따셔져서 이놈들이 더 문제된다고
29. weltweit eine bedeutende Krankheit : Schwarzrost
- S31 라는 Resistenzgen 이 대부분의 Rasse wirksam 해서 한동안 ㅂ문제가 없었는데
30. Zusammenfassung :
R-Typen
1. Definition : 2가지로 나뉨.
2. qualitativ : 중간이 없다. keine dazwischen.
- MLO 같은 Mehltauresistenzgen 은 예외적으로 qualitativ 하지만 40년간 nicht überwunden
3. Toleranz : Einbuße?
5. 다양한 실사례로 보는 시간경과에 따른 Resistenztypen
- Sorte B 는 상당히 Befall이 낮아도 Befall 이 있다는건 horizontale
6. Zwergrost : 사실 Braunrost 인데 Weizenrost 와 비교하기 위해 붙인 이름임.
- rassenspezifische R는 이처럼 시간에 따라 gebrochen
7. Gen für Gen Hypothese
8. 그림 좋네. 깔끔하게 정리
9. HR : 오른쪽 표 순서대로 발동된다. programierte Zelltod
10. LR37 : HR
- Rost, Mehltau 는 obligat biotroph. 이런 병원균의 예시를 들라. in der Prüfung wichtig
11. Weizen 사진으로 보는 경과
12.
13. qualitativ R : 굉장히 많이 연구되었음.
- 이유 : züchterlisch einfach, monogenisch,
- Blattdürre같은건 R 가 거의 확인되지 않음. 즉 keine (oder wenig) obligat Resistenz
14. Quantitative R : Bentije 종은 아주 빨리 시작해서 100프로 감염에 달한다. 다른 2 종은 Entwicklung langsamer
- 여러 Gene 가 관여하기 때문이다. typische Reaktion (Ablauf)
- 오른쪽 아래 : Romanus 종은 모든 Rasse 에 대해 비슷한 저항력을 보인다. 즉, quantitativ
15. 이건 Ausnahme!
16. quantitativ 는 확실히 Normalverteilung 을 보인다
Erfassung von R - Inokulation : Voraussetzung 은 Pathogendruck 이 아주 높아서 반드시 감염될 수 있어야함 Inokulation 이 이를 위해 필요함
1.
2. Pilze : obligat biotroph 의 경우 살아있는데서 분리해야하는데 이 사진은 Rost. 키워서 Sporen분리해서 건조시킨 후 왕 냉동. Biotroph 는 이런 방식으로 Inokulum gewinnen
3. Infektionsstreifen : extreme anfällig 한 Sorte 를 한줄로 식재하여 Infektionsdruck 을 발생시킨다. Mehltau, Rost 같은 biotroph 의 경우 이렇게 inokulation
4. hemibiotroph : Petrischale 에서 Isolat gewinnung 가능.
5. 종 별 평균적인 보관 기간 등
6. 오른쪽 아래 Brandpilze : 보통 대부분의 필째는 감염하고 3주후면 결과 확인가능하다. 이녀석들은 해를 넘어서 Saatgut 에 영향을 미쳐서 사진처럼 Ähren Spitze 를 확인해야되나봐
7. 분자단위에서 Marker 를 쓰기 위해선 Resistenz Daten 이 정확히 모여야 하며 이를 위해선 우선 phenotypische Entdeckung 이 충실히 선행되어야 한다
8. bodenbürtige Viren 은 곤충을 이용해서 Vektor 로 이용 테스트하는듯
9. 왜 Frühsaat 인가? Blattläuse 대상 실험인데 이녀석들은 겨울 지나서 발생하기에 시기상 Frühsaat 이 알맞다고 한 듯 . (안 확실)
10. 이렇게 곤충을 같이 길러서 한다. 근데 이건 sehr aufwendig. 그래서 이런 Pathogen은 molekularer Marker 가 중요하다!
11. bodenbürtig 한 경우??
12. mechanische Inokulation : 상처가 있어야 Viren 이 들어간다. selbst nicht eindringen kann. 그래서 상처를 인공적으로 내준다는 듯
13. 이처럼 Viren 은 Vektor 를 통해 Übertragung 되기에 쉽지않다구. 반면, Bakteriosen 은 농업에서는 영 중요도가 떨어진다. 겁나는 녀석들이 많ㅇ지않은듯.
- 그나마 중요한 예시가 Kellerkartoffel : Feuer...
14. Inokulation : 갖다 뿌리든지 Bakteriensuspension. Schnitt 이게 feuerbrand 할때 쓰는 법
15. 사진으로 설명한다구. Feuerbrand
- Feuerbrand의 증상은 사진처럼 타는것처럼 마른다
16. Resistenzformen
17. 해충 기르기 : Blattläuser 는 상대적으로 기르기 쉽다. 다른 녀석들은 상대적으로 기르기 어렵다우
18. Resistenzbestimmung : 각 유형별 장단
- Freilandversuche :
19. 유형별 Bestimmung 방법
20. BYDV- R.padi 전류변화로 곤충의 행동을 확인가능.
* 프락티쿰에서 마커를 쓰는 저항성을 테스트하든 하려면 확실한 Inokulationsmethoden 으로 접종이 제대로 되야한다.
Phänotypisch
1. ermitteln der vertikalen R : im Prinzip ja oder nein 인데 Boniturschema 는 구분이 있다
2. 표 : x 축이 Isolat 이다. 이렇게 여러 실험결과를 갖고 있으면 unbekannte Sorte 가 어떤 resistenz G 을 갖고 있는지 실험을 통해 알아낼 수 있다. 물론, 시퀀싱하면 더 간단킨하다.
3. Horizontale Resistenz : subjektiv 할 수 있기에 Bonitur 는 반드시 selber Person durchführen
- 즉, Erfassung von quantitativer R 어렵다 상대적으로.
4. Datenerhebung : 시험에는 안나오지만 알아놓을 필요가 있다고
25.6d | 296 | 37 | 77 | 11.7d | Isolat | |
Genotyp1 | 0 | 3 | 5 | 5 | 5 | |
2 | 1 | 10 | 15 | 20 | 20 | 17.13 |
3 | 20 | 40 | 50 | 50 | 50 | |
4 | 4 | 8 | 15 | 15 | 25 | 13.125 |
5. quantitativ 는 이와같이 AO 나 Progress Curve 로 erfassung 한다.
6.
Mikroskofisch
1. 프락티쿰에서 이런거 할거임.
4. HMZ : Haustorien Muta Zelle
5. T. monococcum : Triticum monococum 은 Einkorn 이다. 현생종의 Gen Donor
6. 이건 오직 현미경으로만 관찰가능하기에 의미가 있다.
Serologisch : Antigen-Antikörper. Immunsystem von Säugertier
1. Schlüssel-Schloss Prinzip
4. Polyklonaler Antiseren : 최 우선은 Virus Aufreinigung. 특히 식물 단백질 같은게 (별도의 antigen 역할 가능한) 없이 깨끗하게 만들어야 함.
5. Epitope :
6. Monoklonaler : 장단 나열.
- 특정 컨디션에서만 작동.
7. Präzipitationsteste : 원리 설명중. 폴리에는 없고 따로 설명함,
8. DAS-ELISA :
9. Tissue print immunoassay : 검은부분이 Phloem 이라네.
10. 원리랑 언제 쓰는지 이런거 설명 주루룩
Ausstattung der PCR Maschine mi
molekularer Nachweise
1. Real-time PCR : 이걸 독어로 짧은 시간내에 설명하기
2. 어떻게 PCR 실시간의 결과 : 매 사이클 마다
3. SYBR Green :
4. Schmelzcurve 완전 다 졸았다.......
- wie geht man vor?
??
1. Mendelische Genetik : 멘델 유전학을 독어로 다 설명가능한가? in der Prüfung wichtig
2. 독어로 멘델 법칙 definieren. 1, 2, 3 중 3번째가 ganz wichtig. 왜냐하면 이건 틀렸응께 stimmt das nicht. (Kopplung, or crossing over)
3. Rekombination : T Chromosomal / Intrachromosomale...
- Meiose 와 Mitose 의 차이는? 감수분열은 서로 다르고 그 과정에서 크로싱오버 가능.
- ja näher die Loci, desto geringer die Rekombination
4. Rekombination 본격적 설명 mit schema
- Position der Loci und Rekombinationshäufigkeit
- 이 관계가 DNA Marker 의 Prinzip
5. Populationsstruktur Autogamer
- Selbst/Fremdbefruchtung (Weizen, Tomaten / Raps, Roggen) 을 어떻게 쉽게 밭에서 알아보나?
- 각자 대표적 예시는 in der Prüfung wichtig
- 그림에서 보자면 Hetero 가 25프로 남는다
6. Allogamer : Hardyweinberg-Gesetz
- 필기로 Selektion이 됐을 때 Frequenz jeder Allel 계산해봤음. 핵심은 aa 를 selection 됐을 때 남은 AA, Aa 의 Häufigkeit 를 비율상으로 나누는게 핵심
7. Haploide(Sporen) 를 어떻게 doppel Haploide 로 만들까?
- 무슨 Gift 로 만든다
- 왜 Haploide를 doppel 로 만드는게 중요한가? 왜냐면 이녀석은 Reiner Erbgang, Homozygote 이기 때문이다
8. Doppelhaploide Spaltungsverhältnisse : 당연히 멘델따라서 가지요
- 좌 상단의 A (mikro Sporen) 을 도펠로 만들면 깔끔하게 멘델 Genetik을 따라가는 AA, aa 조건을 조성할 수 있다.
- 도펠 하플로이드 (Homozygote) 가 Resistenzgenetik(Züchtung) 에서 가지는 의미 : 표현형 3:1 로 나뉜 Homozygote 는 샐렉션을 거치고 나면 각각의 세대를 개체별로 다시 테스트할 필요 없이 유전적으로 깔끔하게 나뉠 수 있다는 것
9. dihybrider Erbgang : 2개의 Gene 가 이처럼 관여된 경우 (Gelbmosaic virus, Mehltau)
- AaBb 를 그대로 Selbstung 하면 복잡한 16가지 가 나온다
- AB, Ab, aB, ab 를 Doppelhaploide 한다면
10. 연관된 Dominante, Rezessive 의 개수를 Verhältnisse 를 통해 추측할 수 있음
- Chi² Test 를 통해 wie entschpricht Beobachtung der Erwartung
11. ist es signifikant oder zufällig?
- 28 : 72 (Beobachtet), 25 : 75 (Erwartet)
12. 이 표를 통해 우리가 알아낼 수 있는 것은 2가지
- 어떤 Gen이 dominant/rezessive 한가
- 대상 형질에 몇개의 유전자가 관여하는가
- klassische Resistenzgenetik für monogenen Erbgang
- 이 표를 어떻게 이해하는 가가 이 부분의 핵심
13. Quantitative Variation
- 오른쪽 최상단 qualitative : keine Überlappung phänotypischer Merkmalen.
- modifiziert : 환경의 영향 등 많은 Einflüsse 가 작용할 수 록 표현형으로 각 유전형의 구분이 힘들어진다.
14. 이 실험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genetisch, umweltbedingte 의 영향이 둘 다 작용하나 가능한한 환경영향을 적게 받고 유전적 영향을 받는 쪽으로 가야한 다는 것이다
- 환경영향은 Züchter 가 nicht nutzbar, nur genetische Bedingung nutzen kann
15. Heritabilität : 0-1 까지 있다.
- Heritabilität 의 측정은 엄밀히 말해서 내가 얼마나 Umwelteinfluss 를 측정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16. Heritabilität und Selektionsgewinn : phänotypische standardabweichung
- wenn ich zwei Generationen betrachte, wie sieht es aus?
- eine Sonde dauert mind zwei Tagen
Grundlagen und Entwicklung molekularer Marker
1. genetische Karte (genetic map) : 이 사진은 엄밀히 말하면 genetische Karte 는 아니고 크로모좀 사진임
2.
3. Marker typen
- morphological : 중요한건 monogenisch 란것, 즉 qualitatives Merkmale
- molekulare Marker :
- 마커를 위한 조건 : Spaltung in der Population, linked (koppelt)
4. segregating PP (spaltende PP)
- F2, RILs (뭔가 설명했는데 이해가 안감), ...
5. genetic linkage (Koppelung) : 어떻게 Koppelung을 확인할까?
6. 일단 phänotypische Marker 예시 (분자사이즈로 보면 뭐 한도끝도 없이 가능함)
- 2가지 유전자 : hair and dwarf
7. P1 : groß und haar, R1 : groß und haarlos, R2 : klein und bart, P2 : klein und haarlos
- RF 는 생각보다 쉽게 얻어진다! 씨퀀싱을 하는게 아니라 그냥 섞인 형질 개체를 전체 개체로 나눠서 나온값에 cM 갖다붙이면 끝.
8. Übung : groß, behaart, runde früchte 의 3가지 Merkmale 를 갖고 한다
- cM 정의? it is not a true physical distance
9. 결과 : wildtyp 의 형질이 2개가 따로 논다. 이 말은, 두번 꼬였다는 것이다. double crossover
- DhE, dHe 와 같이 double crossover 를 포함해 RF를 계산하고 싶다면, double crossover는 2 를 곱해야 한다. 즉, DE 의 거리를 알고싶다면 double crossover 는 2번 꼬였기 때문이다. 알간?
- 앞의 genetische Karte 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런 계산을 쪼로록 해서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것임니다
10. RFLP : Restriktions-Fragment-Längen-Polymorphismus : Restriktionsenzyme schneidet bestimmte vorgegebene Stelle von DNA.
- 이 과정은 유전학 초기 기술이며 extreme aufwendig
11. 한번 결과내본 것. Kodominant는 다른 양상을 보여줄 거임
12. SSR : mikro sateliten. sehr konservative Sinn. 이 부분은 식물의 유전자에서 아주 잦게 발견되며 예전에 왕 연구되었고 지금은 많이 규명된 상태. damit der Nutzung ist einfach.
13. AFLP :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14. 시간이 지나며 시퀀싱 가격, 속도, 품질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 박사생이 1 마커로 3년 걸쳐 작업해서 한 map 을 만들면 나쁘지 않은 성과였으나 지금은 반년 걸리지 않는다.
15. Mapping many loci
이 부분은 중간에 한번 더 복습된다.
1. Vererbung quantitativer Merkmale QTL-Kartierung
- 이 순서가 Prinzip!
2.
3. 예시
4. Genotypisierung : 앞에서 언급된 AFLP 등을 이용
5. Software : 앞에서 모인 데이터 돌려돌려
6. LOD 3이 QTL 의 Grenzewert.
7. 그림을 보면 (fig1) 특정 부분만 LOD가 3이상이고 모여있는 솟아있는 부분이 있다. 여기에 QTL 이 아마 위치할 거라는 것
8. Assoziationskartierung
- Humangenetik 에서 빌어온 건데, 유타 주가 휴먼 게네틱의 중심이었다고. 몰몬교와 관련있는듯?
- 왜 Übertragbarkeit 가 별개의 population 에서 begrenzt?
9. Assotiationskartierung 은 Kopplungsungleichgewicht (Linkageungleichgewicht) 를 이용한다.
- 와 엄청 복잡하다..
10. Linkage disequilibrium
11. Assoziationskartierung 의 종류... 잠이 엄청 온다
12. Schema : 그림으로 보는 비교
- 어렵다...
- harnessing : Nutzung
Beispile für monogene Merkmale
1, Bulked segregant ananlysis BSA
- monogene Merkmal 마다 하나의 DNA Marker 를 단다,
- 섞고 100 DH linien 을 phänotypisiert 하고 예를들면 15 anfällig, 나머지는 resistent,
- Blauer Gene 가 zielgen. F2(또는 DH)
- 아마 2번째 ㅅ대의 결과를 합쳐서 비교하는듯
- 결과적으로 4번의 Analyse 가 durchgeführt.
- dieser Polymorphismus (=Unterschiede) 오른쪽 아래 사진 Anzahl der Rekombinante ist 4, Anzahl der Proben ist 100, dann 4cM 이란 결론
- 이 분석의 핵심은 이게 monogene Merkmal 에 관한것이란것. Polygene (Quantitativ)이었다면 뚜렷한 phänotyp 이 안나올 거라고 함...
- 하아... 몬살긋다
2. enger gekoppelote mar
- 마커 있는 녀석은 저항성이 있다 이말이야
3. Beispiel als Praxis : Weizen SBCMV Resistenz
4. 지금까지 알려진 Resistenz 마커랑 Neo Nikotino3eyyyyyyyyyyyyyyyyyyyyyyy
중간에 엄청 지나감 QTL 어쩌고 하고.
복습 부분임
5. Fragestellung : Gauß-Verteilung 을 이루는 녀석들. 즉, 이들은 Segregation 을 이루지 않는다
6. Untersuchung der Vererbung quantitativer Merkmale QTL-Kartierung
- Aufbau einer Kartierungspopulatioin - Phänotypisierung - Genotypisierung - Erstellung einer genetischen Kopplungskarte - QTL Analyse
- QTL 는 매번 말했던 것 처럼 mehrere Ortne/Jahren Test 가 필요하다. 왜냐면 Wechselwirkung mit Umwelteinflusse 가 심하기때문
7. QTL-Kartierung : in der Regel DH Linien. 왜냐면 Homozygote 니까여
8. Phänotypisierung : Variation 확보. 여기서 보듯 keine Segregation (=eine Säule ganz viele, andere auch, getelit nicht verteilt)
9. Erstellung einer genetischen Kopplungskarte : 소프트웨어 (PLABQTL, MapQTL AMAZon 등) 으로 맵 생성
10. Beispiel : Kronenrostresistenz in Gerste
- CRS1,2,3 : drei verschiedene Rassen. 그래서 다음 폴리에서 나오듯이 각각의 마커는 Intervale 를 생성한다. 솟아있는 Säule 를 말함. qualitativ 는 이렇지 않다
11. 그림으로 보는 인터벌
12. biparentale PP 의 의미 : 2 부모를 섞어서 생성한 PP 라는 뜻. 그래서 식물에는 백퍼 안맞을 수 도 있다. 젤브스퉁도 가능하니까. 단점은 DNA 마커를 쓰려면 수많은 페노튜피지어룽이 필요하다는 뜻 이건 너무 aufwendig, 또한 다양성 발생못시키고 새로운 Sorte는 또 다시 이 짓을 반복해야함. 또 제일 큰 단점은 마지막꺼. 아까 보여준 마커는 우연한 Austausch 의 산물이다. 이 발견을 다른 PP 에 적용시킬 수가 힘들다 이말이야.
- Assoziationsstudien 은 앞의 예시에서는 59.7-71.8 (약 10cM) 를 커버했는데 이녀석은 수많은 . 메어크말마다 새로운 포풀레이션을 생성할 필요가 없다ㅏ. 비파렌탈 포풀레이션과는 달리!
- 또한 unverwandte Eltern 을 쓸 수 있다 *größere Anteil der genetischen Diversität, 결국 식물 쮸히퉁에 적절하다 이말이야
13. Biparental 의 예시는 종이로 했던 토마토 예시. 이건 첫번째 링키지 gemeinsame Vererbung ... in Familien 을 보여줬다. 그러나 Assoziation 에서는 2 Allelen an 2 Loci . 이걸 KopplungsUngleichgewicht
- KopplungsUngleichgewicht 은 je nach Pf 마다 다르고 Selbstung 의 경우가 Fremdbefrchtung보다 짧다?
- 오른쪽 아래 Detektion MTA를 보면, 중간 그림의 아래 칸들은 resistenz Marker 를 보여준다. 위의 칸은 안펠리히. 그래서 상보적 그래프를 보인다.
14. Linkage Analysis... : 그냥 넘어가버렸다.
15. Vorgehensweise : Verwandtschaft가 뭔가 중요 키워드인듯
뭔가 엄청 넘어감
1. Marker based harnessing of genetic ... : 우상단 사진을 보면 HR 로 인해 Nekrosen이 발생한 걸 확인가는ㅇ,
2. 2900 Marker gleichzeitig ananlysiert
3.500 칩 이 현재는 있다.
4. 다다다 넘어감 (그 전날 한걸 여기까지 복습한 듯)
QTL 그전에 수업에서 했던거 다시 한번만 가볍게 훓고 이 수업을 보자.
Beispiel
1. 첫째 사진에서 BYDV resistent 종을 DH Linien 으로 분석함
- 여러해, 여러 장소에서 이 분석을 진행함 QTL 분석해봤다 이말임
2. 7 Chromosome 으로 보는 genetische Karte 이다
- 맵 길이는 1300cM, 마커 간격 12cM 이지만 Assoziation에는 간격 5cM 도 충분
3. 3H 상단 : 몇개의 튀는값 (LOD 넘는것) 확인가능
- 아래에서 확인되는 LOD 차이
- 이걸 다른 PP 에 Übertragung 이 가능할까여? 옮기고 확인을 해보자
4, QTL auf Chromosom2(2H) in der PP Post x Nixe
- 이걸보고 어떤 조건이 nutzbar QTL 인가? Verwandtschaft 와 연계해서 설명가능할것
5. 이건 ㅅ확실한 표현형 다튼 확보를 위함
6.
7. 조일레 확인가능. 오른쪽의 퍼센트는 이 결과가 표현형의 몇프로만큼을 설명가능한 결과인지 나타낸다
8. 이게 3년 걸려서 발견한 새로운 결과인데 석사로 하기엔 너무 긴 프로젝트이고 박사로 했다캄
- neue Entdeckung : 7H
9. 이건 klassische QTL Analyse Beispiel
- 왼쪽 아래 cM 변화 : 41.9cM 의 의미는 너무 길어서 züchterisch nicht nutzbar. 2.8cM 은 züchterisch interessant,
- 오른쪽, 아래에 설명된 테크닉들의 도움을 통해 1.3 cM 까지 줄였고 훨 효용성이 높아짐
- 그럼에도 우리는 quantitativ 를 다루기에 ja, nein 이라기보다 책임있는 유전자 위치를 훨씬 높은 해상도로 밝혀냈다는 것
10. Ziel :
11. Genotypisierung : 450 개의 Akzession (Genbank 의 엑세스가능 데이터를 말함) 가 이렇게 맵화됨
- 우쯕 그림 : 3개의 거대한 1,2, 4분면의 Flecke 집단을 볼 수 있다ㅏ.
- 이거를 Marker Chip 으로 만듬 > 10% fehlende Werte 는 55개 정도는 의미없다는 뜻? ,
- 5% minor allee.. 의 의미는 häufig 등장하는 Allel을 고려하여 맵을 필터링했다는 의미인듯. Wahrscheinlichkeit 를 높이려는 의도
- Imputaion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내가 갖고있는 표현형/유전형 데이타와 여기에 매치된 데이터의 통계적 유의성 차이>?? 를 좁히기 위해 다음 페이지의 뭔가를 했는데,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404522/
이 링크에서 설명하고 있는듯
12. 이 표의 의미 : 별개의 환경에서 이 QTL 데이터를 적용한 것. für die Züchtung besonderes interessant
13. Phänotypische Ergebnisse :
14. Development of HEB-25 : Vorteile von Assoziation + Vorteil von biparental PP = Nest Assoziation
- 이거 Pillen 이 여러번 언급하고 시도하고 있는 거인듯
16. NAM results net blotch : 1400 Familien analysiert,
- dadurch 일단 25개의 WT 을 분석하는데 이건 Assoziation의 장점 als biparental
- 동시에 약 100 DH 를 생성해서 biparental 의 장점을 취함
17. comparison : 오른쪽 칸이 이 새로운 방법을 통해 얻은 결과.
Markergestützte Resistenzzüchtung
1. Züchtung은 3가지 Stufung : Schaffung genetischer Variation - Selektion - Prüfung, Erhaltung, Vermehrung
- Schaffung : Kreuzung을 통해. intra 는 innerhalb Arten.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Variation을 확보하기 힘들 수 있다. interspezifisch 는 zwischen Arten 쿨투어플렌쩬 중에서 예시는 Raps, . 앞에서도 variation이 확보안되면 intergenerisch 의 예시는 Weizen-Roggen für resistenz Mehltau. Triticale 가 이 섞음으로 생성된 Kulturpflanzen
- 또 다른 Schaffung : Mutation 은 어떤 비율로 발생할까?? 쮸히퉁을 위해선 보통 selten. Richtung 은 Dominante zur rezessiv, 10 hoch -, 10 hoch
2. Genmutation 은 단순하다. Basen Austausch
- Gentechnink : 새로운 기술. 예시는 Glyphosat. 이건 Bakterien 으로부터 왔다고. 의도적으로 genetische Variaition을 만드는 것 이것 역시.
3. Chromosom
- Deletion, Duplikation, Inversion
- Translokation : Weizen, Roggen 에서 중요한 변이.
4. 어떻게 뮤테이션 holen?
- Physikalisch : Radiostrahlung, Infrastrahlung 이들은 상대적으로 거시적인 뮤테이션을 발생시킴
- chemisch : Punktmutation. 예를 들어 Nitrosamine (고기구울때 높은 온도와 Eier만나면 발생), 메튤술파트, Basen-Analoga. 가장 유명한 bekanteste Agent 는 Etylmetan Sulfanat (EMS)
- Cholchizin 콜히찐은 Genonmutation 이라는 듯
- 이런것들이 Mutagene Substanzen
5. 뮤테이션 Mechanismus : generell Wirkungsweise
- 좌상단 Adenine인 바뀌면 Tymine 이 아닌 cytosine과 결합하게 만든다. 즉, A-T 대신 G-C
- 오른쪽 Cytosine 을 우라실처럼 만들어 Adenine 을 달라붙게 반듬
6. Selektion aus Landrassen : Was ist wesentlich in Mutation? zufällig
- 크로스파카스
7. Pflanzenzüchtung : 참고로 Triticale 는 Selbstbefruchtung
- kontollierte Befruchtung : hybrid,
- vegetative : Klonen (Erdbeere, Kartoffel,
8. Linienzüchtung
- F1 은 셀렉션할 필요가 없지. 멘델에 의해 다 동일하니까.
- Züchter 는 최고의 Linien 을 추구한다. 보통 F3 부터 꾸준히 셀렉션. 그리고 셀렉션한 녀석은 항상 자동적으로 Rückkreuzung 하는데 Ertrag 을 위함. 이 두번째 방법을 Stammbaum. 단점은 너무 많은 헤테로를 생성하고 이른 세대에서 셀렉션이 안된다는 것. 또한 매 셀렉션마다 Risiko가 항상 크다. 이것도 요새는 안한다.
- Ramsch : 7세대에서 시작이 Homozygote 이기에 장점이 있다. 단점은 중간 2-6 에서 Naturselektion 되기에 이것이 entscheidende Nachteil. 이건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이제는.
- Pedigree-Trial : 보통은 쮸히퉁은 10-12년 걸리는데 이건 좀 짧다. F4 에서 beste einzel pflanzen 을 선택하고 오른쪽 처럼 별도로 길러 Leistungsprüfung을 다시하는듯. 근데 정확히 장점이 뭘까 Hetero가 섞일 가능성을 좀더 확실히 막을 수 있다고는 함
9. Fremdbefruchtung 의 가장 큰 문제? 인간과 마찬가지. Vater ist immer unbekannte. 이걸 위한 방법이 Restsaatgutmethode
- Restsaatgutmethode : 일단 맨위에 시작에서 최고 아인쩰끼리 섞는다. 더 나은 검은녀석을 내리는데 이 상황에서 당연히 안좋은게 섞여있을 수 있다. 그래서 그다음세대에서 기존에 검은거를 만들어낸 좋은 Pollen 을 다시 이용해 nachbauen. 맨 마지막은
- 왜 Hybrid 가 Züchter 로부터 많이 사랑받는가?
- 하디바인베어그와 이 레스트잣굿메토데의 연관성은? 전체 풀이 유지되기때문에 어쩌고...
10. Phasen der Hybridzüchtung :
- 2번째 : 어떤 녀석과 어떤 녀석을 섞었을 때 베스트였나
- gelenkte ... : 마이스는 로겐보다 훨씬 일찍 Hybridzüchtung이 적용되었다. 그 이유는 쮸히퉁이 쉽기때문 monozyklisch. 이 단계에서 cytoplasmisch männlich Sterile (CMS) 자주 사용됨. Roggen, Sonnenblumen 등 Zwitterblumen 식물에 자주 사용됨. Mais 는 쉽다구
- Tester : allgemeine, general Leistungsfähig, Kombinationseignung
- SCA Test : beste Ertragsfähigkeit
- Einfachhybride 는 거의 30년동안 안쓰이고 있는데 Saatgut 이 수지타산이 안맞아서. mütterliche linien 생성은 Inzuchtlinien인데 Eltern이니까 당연히 힘들다구.
- Dreiwegehybride : Mutterlinien 은 F1 이고 höher Ertrag 이다. 즉 위 상황에 비해 Mutter 를 생성하기가 쉽다.
11. Klonzüchtung : genetisch nicht ändert sich.
- F1 는 엘턴 섞어서 생산하고 F1 의 Knollen 을 여러 Orten 에서 기르며 테스트. 즉, F1 는 이미 neue Sorte 이다.
- 단점? Viren. 크놀렌을 다음해 경작을 위해 보관하는데 조금의 Pilze, Viren 이라도 있으면 다같이 문제가 생김
- gesunde Lager : Küste 같은 Blattläuser 위험이 아예 없는 곳에서
12. klassische Pflanzenzüchtung : DNA
- primäre Genpool (제일 안쪽 종들) 에서 원하는 Resistenz 유전자를 찾는데 만약 못찾으면 sekundäre 그룹에서 찾는다. 이 그룹의 차이는 Kreuzbarkeit 이며 프리메레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뒤로 갈 수록 제한이 있다. embryo rescue 이런게 필요하다거나... 폴리에서 이 사진 없을 수 도 있다. 덮힘.
- 표현형 확인이 역시 중요하구나
13. Pflanzenzüchterisches Instrumentarium : 오른쪽은 마커없이 저항성 테스트를 해야하는 사황. 기르고 늘려서 테스트
- 왼쪽과 같이 molekulare Maker 를 사용하면 기르는 수고를 던다.
14. Marker assisted backcrossing : Genbank의 데이터대로 Resistenzzüchtung했을 때 문제는 Ertrag 이 영 빠이라는 것.
- 오른쪽 Anfälligkeit, Wintersträke가 아주 높은 녀석은 Ertrag 이 좋은 종에 비해 50% 밖에 안되기도 한다
- 이를 극복하고자 Rückkreuzung : 여기서 저항성 Donor 는 Chikurin Ibaraki. Rückkreuzung 할 수록 기존 Ertrag 낮은 녀석의 유전적 기여도는 낮아진다. 얼마식 낮아지나여? 구체적으로.
15. 왼쪽은 konventionelles Rückkreuzungprogramm : 앞에 설명한 2 종으로 시작
- 만약 목표 유전자가 rezessiv라면 이 그림처럼 시간이 2배가 걸린다! - F2 에서 homozygote Rezessiv 가 resistent 하다.
- 반면 Marker 를 이용하면 Selfing없이 왼쪽처럼 5년 걸릴거 4년에 쇼부친다.
- 장점은 한마디로 F1 을 륙크로이쭝에 바로 쓸 수 있다는 것
16. Markergestützte Rückkreuzung
- 마커를 통해 오른쪽에 나온듯 벡크로싱 후 엘턴의 유전자 기여를 알 수 있다
- 이론상으로는 75% 가 되어야지. 근데 94프로도 나오고 하는 이유는 Gamete 될 때 우연히 Rekombination 되니까 그러면서 저런 비율도 나오는것. 이 비율은 이론상으로는 3번 섞어야되는거임. 아래 논문이 이와 관련된 내용
17. Pyramidisierung
- rym5,9 를 섞으면 모든 모자익바이러스에 resistent 한 종자를 얻을 수 있을 거싱ㅁ. 이런 결과를 위해 피라미드화해보는거임
18. 이거 매직 쮸히퉁아닌가? 이런 결과는 molekulare Marker 없이는 불가능하다.
- 이건 ganz konventionelle Pyramidisierung
- nachteil : 2가지. 상대적으로 오래걸리고 2개의 DH 를 생성해야함 (코도미난테 마커와 무슨 관련이 있다는데...)
19. 이건 좀 더 간단한거라고. 앞과 비교했을 때
- 왼쪽 아래의 서던블롯을 통해 HVM67은 kodominante 마커 획득. 이 다음에 1번의 DH 를 얻어 셀렉션한다
- 단점은 F1´에서 아주 많은 종자를 얻어야 하고 또한 반드시 kodomonanter Marker 가 얻어져야 한다
20. Barley yellow dwarf virus : 이걸 통해 위와는 또 다른 피라미드화 예시를 보고자 한다
21. 또다른 예시
22. BYDV pyramiding 한 결과를 보면 Chi² 도 아주 높고 신뢰할 만하다고
- 오른쪽 사진에서 왼쪽 아래 작은 녀석들은 완전 negativ sss 종자를 inokulation한 결과. 다른 경우는 아주 잘 자라네예
23. ..
- Das kommt daher, ..
Genisolation : Markerentwiclung 을 위해 중요
- 트랜스포존, 클로닝, MACE 등이 모두 일련의 과정이다. 수업 마지막에 쭉 따라가면서 설명하심.
1. Transposon Tagging : springende Genen. 예를 들어 옥수수에 있단다. 바바라 언니는 이걸 발견해서 83년에 노벨상 받음. 일단 소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1735&cid=60266&categoryId=60266
- Ac/Ds Transposon. 색깔이 없는 하얀 마이스는
- Transposa 는 효소를 의미
2. 트랜스포존 메커니즘 설명 : 기억해야할 것은 이 유전자는 위치를 뛰어넘고 이를 통해 뭘 끌 수 있다는 것
3. 어케 이걸 쓰나
- genomische Bank (Library) : 제한효소로 식물 유전자를 잘라서 보통 세균에 옮겨 이제 연구를 하던 뭘 형질변이를 하던 하는데 이런 유전자 정보가 쌓여서 식물하나를 다 구성할 정도가 되면 이제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이걸 말함
4. Transposon Tagging : ?
5. 실 적용사례 : 이 기술을 통해 스크리닝이 왕 erleichtert
- 잘은 모르겠는데 트랜스포존으로 기능을 켜서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꺼서 스크리닝하는 듯
- Genisolation은 오랜 기간동안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6. Map based Cloning (Kartengestützte Klonierung)
- zwei flankierende Marker (eng lokalisiert)
- Auflösung der genetischer Karte hängt von Anzahl der analysierte Meiose ab
- BAC library :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
7. Genomgrößen von kulturpflanzen : 5년 까지만 해도 이런 유전자 사이즈를 측정, 쌓는게 아주아주 힘들었다네. 왜인지는 이해못했음
- Brasiccacae 에 속한게 Arabidopsis 뿐만 아니라 Raps 도 있다
8. 1cM von Gerste 는 약
- 인공적으로 만드는 BAC의 사이즈 어쩌고
- 이 정보까지가 ㅡㄹ론을 위한 전제 Vorgehen
9. Weizen, Gerste는 유전자 사이즈가 너무 큰데 그렇기에 ... 하아
10. Figure 3. Chromosome 3H(3)
- 3.5 Milionen Basen entspricht in der Regel 1cM von Gerste
11. Aufbau einer hochauflösenden Kartierungspopulation
- je enger desto höher Auflösung(resolution)
12. Markerabsättigung : 이건 예전 이야기. 힘들었다카드라 요새처럼 hoher durchsatz Marker없어서
13. 요사이는 훨 낫다. 이 그림을 통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 수 있음. 뭘 1년만에 isoliert 했다고
- Genomezipper :
14. Syntenie : 제일 안쪽에 있는건 유전자 크기가 안큰 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68871&cid=61233&categoryId=61233
15. Marker saturation of Rph
16. Genome Zipper marker saturation
17. gene isolation : BaMMV resistance : 오른쪽에 잘 정돈된 마커 시그널
18.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s - BACs
19. Chromosome Walking
20. Physische Kartierung und Sequenzierung
21. Pflanzenzüchterisches Instrumentarium - Genom Sequenzierung : 여기서부터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주로 다룰 것이다
22. Sanger Sequenzierung : 생어 씨퀀싱. sehr aufwendig, 뒤에 나올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 아주 비싸고 제일 옛날거 (그래도 2000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1512&cid=60266&categoryId=60266
23. Hv-elF4E
24. Sequence polymorphisms (SNPs)
25. Gene isolaiton via map based cloning : rym11
- 샤페론 과 ATG 부분이 연관. 좌하단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69234&cid=61233&categoryId=61233
26. DNA Microarray
-1.
-2. ;arkierung der Proben
-3. Datenanalyse
- 그다음꺼.
- 여튼 모든 분석은 목표하는 RNA 또는 DNA 를 깔끔하게 분리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녀석을 티가나게 만들고 (형광을 시키든 뭘 하든)
- Screen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Phytophthora infestans induced genes in potato leaves with horizontal resistance
27. Expression profiling : qPCR 도 표현형 analyse 에 사용됨요
- DNA Chip 과 기작이 비슷해 보임요
28. Massive Analysis of cDNA Ends (MACE) : Braunrost
- MACE 는 GenXpro 라는 회사에서 개발된 기술임
- 아래 그림에서 말하는 건 초록색이 바란색, 빨간색보다 4배 더 많이 발현됐다는 소리임
29. Crop wild relatives in breeding for resistance : Puccinia triticina (Braunrost)
- 어떻게 저항성이 있지?
30. 우선 현미경으로 관찰합니다.왜 그런지
31.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rehaustorial resistance by. ...
- 천단위의 숫자는 유전자 숫자를 말함
32. mapping of DArT markers, identification of QTLs and candidate genes
- 4개의 QTL 이 확인된다 이말이야. LOD 가 3이 넘어서인가
- Transposon 이 뛰어서 저항성 또는 반대의 유전자를 꺼버리면 그걸로 알아챈다는 건가.
- gerichtete Mutagenese : directed, aimed, vectored
Nachweis der Genfunktion : welcher ist richtige Gen und Komplementationsanalyse
1. Klonierungsvektor : Vektor 는 플라스미드가 잘 들어갔는지 확인을 위해 Antibiotika
2. 그림 : 컴플리멘테이션 분석에 필요한 Genstruktur
3. Komplementationsanalyse
- Makroprojektiv bleibt hängen,
- der Punkt ist, 최초의 gen modifizierte MonokulturPF 은 이 Particle gun으로 생성됐다는 듯
4. Agrobakterientransformation : Agrobakerieum löst Wurzelgallen aus
- T-DNA
- Auxin : Phytohormon zum Wachstum
- 좌측 하단 그림의 각 요소들은 무엇을 의미하나?
- T-DNA region stabil in PF DNA eingebaut werden
5. Ti Plasmid
- Antibiotika Resistenz : 메디엔 위에서 길러서 제대로 kontroll하려고
6. 그림으로 보는 Agrobakterientransformation
- ganz verschiedene verfahren!
8. Elektroporation
- Protoplast : Zelle ohne Zellwand
9. Mikroinjektion : 이걸 하는 이유 중 하나가 Protoplast 는 너무 weich 하기 때문에,
10. Beispiel : rym4
11. anfällig mit aa (rezessiv)
- 이 예시에서는 반대임. AA, Aa 가 anfällig,
- NIL.4,1-6 이 Ausgangspopulation (resistent)
- 이게 컴플리멘테이션 분석의 대표적 예시 (옮겨서 표현형으로 오른쪽 사진에서 확인가능)
12. Tilling : Targeting Induced Local Lesions in Genomen
- ReversGenetik basiert auf Mutagenese
- 리버스 게네틱은 표현형이 확인되고 유전형을 찾는 기존의 유전학(VorwärtsGenetik)과 달리 여러 유전형 Candidate 가 있고 이를 통해 Phänotyp 을 연결
13. Prinzip : 모든 렙은 각자의 Tilling Population 이 있ㄴ다 이걸 생성하는게 매우 aufwendig 하기 때문
- M2 에서 몇천개의 유전자를 extrachieren
- Heteroduplex Analyse
14. Heteroduplex Analyse : 뮤턴트와 WT
- 이상적으로는 그림처럼 작은 부분이 뮤턴트되는거임.
- 달라붙는 건 효소
15. 이와같은 그림은 앞과 같이 한 부분이 mutation 댔기때문에 상보적으로 Heteroduplex 에서
16. 틸링 결과 : 제일 위에건 anfällige한 아우스강...
- 제일 위에건 Ausgangspopulation : 03_06, 35_90, 172 이 세개가 별개의 Linien
- 아래 둘을 보면 빨간 동그라미친게 발생한 Mutation
- 일단 뭔가를 발견한거지. 그럼 과연 이들이 우리의 candidate일까?
17. Allele Editing
18. Zinkfinger Nucleasen :
- NHEJ : Non Homologues End Joining
19. Transcription activator-like effector nuclease
20. Weizen-Mehltauresistenz - Simultaneous editing ...
21. CRISPR/Cas : 신기술
22. RNA-Interferenz / Gene Silencing
- 예전에 한 적 있긴 함
23. VIGS : GFP 를 목표로 Silencing시킴. 아래 그림
24. 멍하니 있었음...
- 전반적 정리 :
Resistenzgene - Wie funktionieren Resistenzgene eingentlich?
1. Pflanzliche Abwehr : 그전에 배웠던 내용 한번 다시 훓는다
- 프리메어가 막히면 제쿤데어로 넘어간다. falls Übergang,
2. Vertikale Resistenz (monogene, klassische Resistenz )
3. NBS LRR resistenz : 이건 파톨로기 하기 전에 봐도 괜찮을 듯
4. C,I 16151 : Beispiel
- mit zwei flankierende Markern
5. Feinkartierung
6. 칼모듈린 나오는 Mlo Protein
- 오른쪽 b 사진을 보면 필째가 주변 세포로 옮겨가지 못한다. 그냥 세포안에 위치하고 있음.
7. LRR 어쩌고 한 부분 in der Prüfung wichtig
- 잘 못들음
8. 우하단 사진 : 그륜 부분이 pathogen,
- 여기까지 klassische Pilzeresistenzgene
9.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s : 바이러스는 상대적으로 적은 DNA 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따 복잡다.
10. rym 그림들
- korea
11. Bymoviruses and membrane bound proliferation
12. Rezessive Resistenz to plant viren
13. cellular chaperones and folding enzymes are vital contributors to membrane bound replication and movement...
14. isolate viruse resistance genes : rym4, rym11
- 어제 했던 Pyramidisierung, 아따 복잡다.
15. Zum Schluss - eIF4E allel mining
- 크리스퍼도 그렇고 필요한 Allele Mining 이 필요하다?
16. Development of allele specific markers
- 이게 의미하는 바는 쮸히퉁할 때 이제 Gene 를 뭘
시험관련
- 올려준 리터라투어는 다 읽을 필요는 없다, 하지만 관심있음 봐라 이말이야
- 왜 이거 ㄹ하는지, 어떤 verschiedene Arten 운터샤이덴, 어떻게 특정 레지스텐쯔 , 어떤 종류의 저항이 있는지
- 어떻게 마커를 개발하고 사용하는지
- 피라미드화가 뭔지, 마커 슈튯쯔트 벡크로싱이 뭔지 이런게 예시
- 전반적인 gesamte Zusammenhang 살펴볼 것
- 가능한한 질문에 답하라 이 말이야. 마냥 아는걸 쏟지말고. 뭐 당연한 말씀을.
- 09:00 JKI Bauernstr, 27.
'독일 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Züchtung von Obst-, Gemüse-, und ArzneiPF] (0) | 2019.04.10 |
---|---|
[Pflanzgenetische Ressourcen und Genomforschung] (0) | 2019.01.28 |
Write a Protocol (Lab Report) (0) | 2018.12.07 |
[Molekulare Phytopathologie] (0) | 2018.12.03 |
[molekulare Ernährungsphysiologie] Übung (0) | 2018.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