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중에 정리할꺼!
[Vorbesprechung]
- don 15:00 - 16:30
- frei 10:30 12:00
- alle tage (mon-don) 13:00-14:30 (-13.12) 다른 교수님
- 2,3 Terminblöcke für die Prüfung : mündlich
- Mineralüberschuss : 미네랄 과잉
- kontinuierliche Reizung durch ein pathogen : stimulation, 자극 (e Reizung)
- beliebig : randomly, arbitrary 임의적인, 제멋대로의
- Präfomierte Abwehrstrukturen : passive abwehr, 미리 형성됨 preform
- Phenole : 폴리페놀 형태로 식물에서 발견됨, ROS Detoxifikation,
- Tannine : quantitative pflanzliche Sekundärstoffen. Alkaloide는 이와 반대로 qualitative Wirkstoff 인데 아마 Verdauung에 영향을 줘서 Pflanzenfresser 를 막는다고. hydrolysis 된 페놀산 등. 물에 잘 녹고 수용액은 산성, ferric 과 Salz생성,
- Saponine : saponin, Detoxifikation, Defensivstoffe gegen Pilzbefall, Insektenfraß. 토마토, 감자에서 이런 기작이 두드러짐 Steroidsaponine
- Defensine : basale Peptide, 세균, 곰팡이에 대한 살균활성. 신기하게 곰팡이에서 처음 발견됨
- Phytoalexinen : 미생물 침입이 있을 때 식물에서 합성, 축적되는 저분자의 항균성 물질 Bildung von Phytoalexinen
- Peptide 결합 : COOH 카르복실기에서 OH, 2HN 아미노기에서 H 가 빠지면서 물이 빠지고 결합하는 형태. 애당초 아미노산의 정의가 이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를 동시에 지닌 화합물을 말함. 단백질에는 20종. 아미노산 기의 수에 따라 2-10개면 Oligopeptide, 10-50 이면 Polypeptide, 50 이상이면 단백질
- Chlorogensäure : 클로로겐산. Pflanzenfresser 방어작용, caffeic acid + quinic acid + easter 결합.
- Quinone, Chinon : als Oxidationsprodukte von Aromaten, insbesondere von Phenolen, 벤젠고리 수소 2개가 산소 2개로 치환된 녀석들. p-벤조퀘논도 퀴논이라고 함
- Terpene : 천연물 약 60프로가 이 종류. 식물 간 혹은 동물 간 유인용 휘발성 신호분자, 또는 미생물 및 Pflanzenfresser 방어, 공격물질
- Auxine : Phytohormon, Biegung 을 유발. Phytohormone für Wachstumsregulation
- Gibbereliline : Phytohormon. Diterpene와 관련있음. Früchte, Blätter, Blüten 에서 생성되며 Geschlechtsdifferenzierung, Keimung 외 Wachstum 에도 영향을 준다
- Cytokinine : Phytohormon, 여러 작용. 생장 조절, 세포분열 촉진, 휴면타파, 노화억제, Gibbereline 과 함께 단백질 조절, 기공 개폐, 꽃 개화 등. ABA 는 닫게 만들고 이놈은 열고. 어린 종자, 과일엔 많다가 시간이 지나면 차츰 감소
- Ethylene : Phytohormon, C24. 아주 단순함. 메티오닌으로 시작하며 Reifung, Blütung
- Abszisinsäure ABA : Phytohormon, 낙엽 촉진, 수목 휴면형성 관여, 발아억제. 그 외에 수분스트레스 등 환경 스트레스 반응의 Signal
- cutin, wax : Zellwand, 큐틴은 각피질. 화학적 단일물질 아님. 지방산축적된 것이며 세포벽 외부에 발현되며 물, 기체 unpermeable (unpermeabel)
- Zellwand-Auflagerung : 세포벽 유지, bearing
- Abscissionslagen und Tylosen : 탈리. Auxine, Ethylene, ABA 에 의해서도 발생. 식물이 상처를 입었을 때 발생하는 조직.
- Botrytis cinerea : 잿빛 곰팡이병, noble rot,
- Vertebrates : Wirbeltiere (반대 : Wirbellose)
- Drosophila : 초파리. 독어도 동일
- fold change : 배수 (2배수, 3배수...) 또는 FC 유전자 발현량을 두 조건에 대해 비교. 즉, Treatment / control.
how many times bigger the mean expression value in group 2 is relative to that of group 1
http://blog.genoglobe.com/2017/10/fold-change.html
- Dimerisierung
[Herr Schell] - 일단 중요한 원리, 펙터간 인터렉션을 공부하고 그 다음 주요 실험들과 연계해본다
1. Krankheitskonzept
- 생물로 인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건 실험하기 *präsentieren 매우 어렵다
- Gruppen 중요하다.
2. 언제나 Ernteverluste 최대 요인은 Pathogen. das größte Verhältnis
3. 아시아는 유독 손실이 크다. 농약 마이 써야될듯
4. 나라별로 차이가 난다. 비용때문이라는데
5. Baumwollen 은 중국서 주로 하는데 유난히 Verluste 심하다
- Poteintial : kalkulieren, alles kartiert, damit kann man Potential der Verluste einschätzen. 비교를 위해선 Potential 이 중요한 Parameter
6. 면적당 Ertrag 이 마이 늘었음을 알 수 있다
7. Zunahme der Bevölkerung 은 Entwicklungsländer 에 달려있음 을 알 수 있다
8. Typen : 1번 폴리와 연관지을 수 있음, tierische 는 여기 딱히 안나와있는듯
9. 식물-병원균 간 반응 schema
1) keine pathogene Reaktion, sogar positive Wechselwirkung möglich
2) sequestration?
3) Phytopatho infestans 처럼 토마토, 감자에만 나타남 : Gen für Gen
4) schon angepasst mit Abwehrmechanismen,
10. Pathogenerkennung : Oberflächenrezeptoren auf Zelle
1) MAMP (PAMP) : spezifisch, Proteinkinase 와 인산화를 유발하여 반응이 진행 CNGC - cAMP - Ca2+,
2) DAMP : ähnliche Rezeptoren mit MAMP,
3) Effectors : 완전히 특정Spezies 에 angepasst. interagieren mit verscidenen Signalleitung. Kinase 같은 방어기제와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식물의 디펜스를 무너뜨린다
- 방어 프로틴이 녀석을 디텍팅할 수 있으면 효과적으로 방어된다
11. minimal motif 는 spezifische Peptide 임니다. Prinzip 이다
- Eu-Tu : intercellular
- NLPs : große Rolle bei Pathogen
- gp92 : Anhefung
- Lipid : 세포벽 바깥에 Lipid auslösen
12. PAMP :
- PTI : pattern triggerd immunity
- ETS : 상대적으로 꽤 복잡한 과정. Krankheit auflösen
- ETI : Abwehrreaktion
13. 아까 쉐마와 PAMP반응의 용어 매치 Terminologie
14. avr (avirulenz GEn) nicht da ist ... 항상 K,
- 왜 r 에서도 발생하지? nicht funktionelles 인데? Funktion의 의미는?
16.
1) Präfomierte Abwehrstrukturen : passive abwehr
2) HR : lokale Neklosen 을 의미.
17. biochemisch
18. Angriffstrategien
2) Chemisch
- Enzyme
3) Wachstumsregulation : 이거 골때린다.. Hormone
19. 세포벽 Schema :
20. Kutikula : Schutzfilm der Oberfläsche von Pfzelle
- 식물마다 unterschiedlich
21. Kutikula Bestandteil : Acyllipide,
22. 계속 가지치기 되니까 schwer zu zerknaken
24. Haustorium 형태를 B Abbildung 이 보여준다.
- 하우스토리움 찬양중. hohe Druck,
25. 식물은 Pilze 를 erkennen해서 Cutin 붙이고, 반대로 Pilze는 Cutin erkannt - 서로 인식 Erkennung
26. 중요한 부분은 Suberin 이라 되어있는 lang kettige lipide...
28. Zellwand-Struktur
29. Fibril zusammengelagert sind.
31. Cellulose 가 분해되는 과정. 각 과정에서 verschidene Enzyme betieligt
34. Pektin : Polygalactoren Säure
36. 이 사진은 세균이 낸 효소에 의해 펙틴 층이 데미지입은 사진
37. Ligninpolymer: Suberin 이랑 잘 verbunden. Strukturfinktion한다 당연히 Bacteria Enzyme 에 공격받는 대상
38. Conidien keimen - 멜라닌 in 아프레소리움 쌓인다 - 높은 Druck - eindringen
39. Korkschichten :
40. 들어간 다음에는 각 Patogen 에 따라 다른 전략발휘 - Appresorium usw
41. 공격 수단??
42.
- 바이러스, 박테리아 :
43. 예시
Antimikrobiell : Glykoalkaloide, Solanidin (Toxisch)
44. 다른 예시 : Wirt 마다 다양하다.
- Trichome : 토마토도 verschidene Trichome 트맇효메
[3. Abwehr] - 쭉 나열하고 주요 예시를 든다
1. 2번째 로칼 에서 Abwehrproteine - PRP Pathogen related Protein
2. Phytoalexine : teilweise konstitutiv expremiert, damals nicht entdeckt
4. 퓨토알렉시네 종류도 여러가지여. sehr große Spektrum
5. Synthese : 쿠마릭엑시드, 페닐알라닌, Stilbenes, Terpene (mono, di, tri-), 감자에 중요한건 Chlorogenic acid
- 페타질리에 나타난 로칼 Akkumulation von Phytoalexinen이다ㅏ. 국소적으로 쌓이고 분비됨을 보여줌
아래는 퓨토알렉시네 종류들
7. Phenylpropanstoffwechsel : 쿠마린이 된다우
8. Furanocoumarin : Modifizierung der Molekül hat biologischen Sinn, für Detoxification. BMT 를 통해 R 기가 붙는게 그 예시
9. 사진 : BMT 의 상단에 원형 같이 뚫려있어서 위협에 잘 노출되는 곳은 konstitutiv 하게 sekretiert
10. Phenylpropanstoffwechsel : CoA Co Enzyme A 란 의미
12. Medicarpin :
15. Camalexin : 시스테인이 붙는다 Konjugat
16. Resveratrol : 제일 짧은 작용기라는 듯.
17. transgene 를 통해 면역력을 확보! Resistenzerhöhung
18. 3번째 그래프를 통해 Resveratrol 과 Anfälligkeit 가 상보적 관계임을 보여줌. 더 많을수록 덜 anfällig
19. Defensin : universeller Abwehrmechanismen. 작은 프로틴, 다른 프로틴과 ähnlichkeit 가 없고 spezifisch
- Lipid-trassfer Protein
- Endoproteinase : Tomato 에 연관이 있는 녀석. 다음 폴리의 P69B
21. Antikörper Herstellung 이 Adaptive Immunsystem 의 예씨 : 중요한 폴리
- PAMP 는 im Prinzip 모든 셀이 가능하다.
- 공격의 대상이 아주 확실하다.
22. Flagellin 이 그 대표적 예시.
23. Vertebrates, Drosophila 로 보는 PAMPs 예시
24. 인간을 대상으로 여러 박테리아에 대한 Abwehr Regulation 테스트
- 사람에게도 있다.. 이말인가?
30. 어떻게 무엇이 minimales Elicitormotif 인지 알지?
31. 이 폴리가 PAMP 에서 생물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내용임
- Transglutaminase
32. 수많은 Phytophthora 종들에서 PEP-12 (Transglutaminase) vorhanden
36. 또 하나의 주요한 minimal Motif - Oligoglucosides
38. 어디에 쌓이는지 Lokalisation 을 통해 어디 Abwehr에 유효한지 알 수 있다ㅏ. 이 경우, Wurzel
43. transformieren 한 게 정해져있다. 이 경우 befall
47. Flagellin 요놈도 꽤 중요하다.
49. jm-cyto : junction domain
50. Korezeptor ist für weiter Reaktion verantwortlich
53. 다소 알기쉬운 개요
55. Lokal von FLS2 mit GFP
- Energie Verschwendung 을 막기 위해 Abbau mechanismus 도 달려있음
56. eindeutig PTI (PAMP Trigered Immunity)
- 비용이 발생한다는데, 얼마나?
- Tomatinase : Tomatin, Lycopersicin. a glycoalkaloid, found in the stems and leaves of tomato plants, and in the fruits at much lower concentration
- Blumeria graminis hordei : Gerste.
- DAB :
- oberhalb des oxidative burst
- in der Gegenwart von
- Pseudomonas syringae
- lokal 한 konstitutiv aktiv Form
- scavenging system :
[Abwehr 3]
12. Septoria lycopersici
13. Tomatinase 의 영향
14. Phytophthora infestans : Zellwand-Auflagerung, Zelltod, 압게슈테어벤, 스토마타가 닫힘. 굉장히 lokale Reaktion von Zelltod
15. 이건 일종의 programmierter Zelltod.
16. wichtige Bestandteil der Reaktion : ROS. W2A 는 컨트롤 그룹.
- Pep : Pump
- DAB : Farbstoff
17. 아주 lokale Reaktion 임을 확연히 보여줌
18. Vesicle 도 염색된 걸 보면서 메커니즘을 확인 할 수 있다
19,. Zellkern 이 어떻다고?
20. 아주 빠른 반응이라는 걸 알 수 있다
21. ROS 반응을 알기 위해 우선 알아야 할 것은 frühere Reaktion : Ca Signal
- Aequorea 이용 : 에쿠오린
- coelenterazine : Co-Substrat. 전구체인듯?
22. 이걸로 Ca2+ Quantification :
23. FLG22 라는 채널과 flg22 프로틴이
- La2+, d3+ 는 칼슘과 크기가 비슷해서 채널을 막는다. 즉, 이걸 통해 칼슘이 전구체임을 확인한 것이다
- 순서는 왼쪽부터 이어짐
24. 순서 : DPI - DDC -
- Catalase : Entgiftungsreaktion
- andere Abwehrreaktion : mit Peroxidase - 파토젠이 세포벽을 공격하는 엔자임을 내는데 여기에 대항해 세포벽을 지키는 Abwehr로써 활용. 즉 안티 공격 엔자임 정도
26. EF hand : Ca2+ Bindungsprotein (Protein Complex)
27. 어떻게 ROS 가 NADPH-Oxidase에 의해 Reguliert 되나여
- Rboh : respiratory ...
- Rac Protein
- 만약 칼슘 농도가 계속 올라가면 마지막 단계로 들어간다
28. Atrvoh oxidase 의 역할 실험
- Pseudomonas syringae
29. 이 CDPK5 Abwehrmechanismen 은 최소한 이 2개 파토젠에 유효한 전략이다
- PVS3 프로모터에 의해 발동되는 이 반응은 innerhalb paar Stunden 인 빠른 반응이며 굉장히 국소적 lokal 한 konstitutiv aktiv Form.
- Line-7 의 마지막 사진을 보면 철저히 로칼적으로 반응하여 inhibitiert
31. Nekrotroph Pathogen 인 솔라니에 대해 이런 로칼 반응은 효과적으로 반응한다.. 일거다 아마
33. ROS 의 다른 역할 : Tyrosin
34. ROS 의 다른 역할 2: Signaltransduktion 예전에 했던 ROS response.
35. NO : Stick-Oxid. 우리 몸의 주요한 Nerven Signal 이기도 하다.
36, L 어쩌고는 NO inhibitor
37. 이걸 통해 Abwehr 에 NO 가 주요한 역할임을 알 수 있다우
39. NO Abbaumechanism : NO는 reaktiv 한 녀석이니까. Protein-Nitrosylierung
- NPR : No PR (Abwehr Protein). 여기에 NO 가 붙어서 S 다리를 활성화 시키면 핵으로 들어가서 방어 프로틴을 transcription 하게 된다. 일종의 트리거인 듯.
40. 전체 총정리 : SA 는 intercellular 가 아닌 다른 생물에게로의 Signalleitung을 담당하기도 한다.
[Abwehr 4] - 계속 PAMP 예시들 다룬다. 계속 실험들을 통해 무엇이 무엇에 대해 원인, 리셉터 등 을 다룸
1. Enlongation factor Tu(EF-Tu)
2. 2번째 그래프를 통해 Rezeptor spezifisch 함을 확인할 수 있음
- fold change after 60 min?
- 왜 인펙션 전 후 가 거의 같지..?
4. elf18 은 펩티드 minimal motif,
5. 2번째 그림에서 박테리아를 염색했으며 efr-1 뮤턴트가 확실히 empfindlich 함을 알 수 있다
6. EFR-1 Übertragung zu anderer PFlanzen (Brassicae말고 Nicotina
- 아래 그래프가 보여주듯, typische Reaktion als Abwehr 보여줌
8. Xylanase gegen surface-exposed pentapeptide
9. 토마토
10. Zipper Domain 은 Protein-Protein Interaktion 의 전형적인 녀석
- Endocytosesignal : Ligand Verbindung 어쩌고
11. Xylanase 에 대해 Silencing 작용할 하는 RNAi 있다
- 컨트롤은 펩티트 발랐을 때 네크로제 반응이 있지만 3, 4번은 사일런싱되어 반응이 없다
12. Complex
12. 반응을 위해선 우선 Bindung 그다음 Rezeptor induziert 되어야 풀 리액션 발동
14, Kinase 설명
16. NLP und nlp20
17. RLP3 auf Solanaceen Übertragung : 갖다붙이니까 효과있는 녀석들
18. 18, 19는 각각 다른 방법으로 BAK1-SOBIR complex 테스트 결과를 보여줌
-
20. Lipopo...
21. 이번껀 Ca2+ Signal
24. 384개 뮤턴트한 결과 2개가 반응이 없엇다. 그걸 분석해서 어떤 녀석이 이 반응 담당인지 확인
25. 분석결과 : S-Domain receptor kinase 가 LPS recognition verantwortlich 확인
26. S Domain 스트럭쳐 : 아주 복잡하다.
- GlcN 만 좀 특정한데
28. MPK : Protein Kinase,
31. Säuertier 에게도 있는데 메커니즘은 매우 다르다
- Recognition 에 한단계 더 있거나 아니면 직접적으로 인식되는데 식물은 LPS 가 LORE에 붙으면 바로 발동
32. Chitin - Specific oligosaccharides 매우 중요
33. 이번엔 쌀이다
- a 는 DNA Sequenze, b 는 transkirptierte Sequenze (RNA)
35. 이번에도 RNAi 로 사일런싱해서 테스트
36. 아라비돕시스에는 Rice 와 달랐다!
- 우선 LysM 이 2개가 아닌 3개,
- 최소 4개 이상의 키틴 Glyco NA Pe 있어야 Verbindung 된다
38. Dimerisierung 이 Auslösung der Abwehrantwort 의 핵심
40. 쌀의 경우 OsCERK1
- 근데 키틴 시그날을 위해선 필요하나 키틴 Receptor 는 아니다
41. 그럼 왜 필요함? 그 설명.
- 키틴은 사실 CEBIO 에 갖다 붙는다구. 하지만 아라비돕시스의 LYM과 같이 CEBIP는 kinase 가 없다.
- PGN : Peptido Glucan 세균에 많이 포함된 물질.
- 꽤 복잡하다. 쌀의 경우 PGN bindung은 아직 다 규명되지 않음
43. LysM Protein 은 여러군데 쓰인다우.
44. DAMP 는 또 다른거임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
47. 총정리
48. PRR?
49. 점유하는 병원균-호스트의 사이즈에 따른 분류.
- 이걸 먼저 보고 하나씩 보는게 어덜
https://plantmethods.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1746-4811-2-19
- Cladosporium fluvum
[Abwehr6]
1. 복습
- 3번째껀 Gen für Gen, 아주 효과적이므로 농업, 육종 등에 많이 활용됨
2. Effektorn 은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다양다양
3. T3SS (Type 3 Seckretion System) 이 제일 중요하다!!!
- Flagellum : PAMP detektiert,
4. TTSS (T3SS) :
- 아래 그림에서 hrp (hypersensitive response) 끊으면 한큐에 안펠리히,
- hrc 는 컨저브, hpa 는 콤포넨트
- 이 모든 단백질 컴플렉스가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 TTSS 를 이루고 있다.
- 앞 페이지의 다른 분비 단백질들은 Apoplast 로 분비분비
5. TTSS 가 식물, 박테리아 양방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개요
- macrophase : 주요한 방어기작,
6. 대부분의 Organism 은 Protease 이다
- Target : RIN4 호스트 인식과 관련
- XopD : SUMO protease
10. Stomata 로 들어가는 녀석
11. 스토마타ㄴ는 2개의 Schließzellenㄹ ㅗ 이뤄지고
- sehr responsiv auf Umweltfaktoren
- 예를 들어 CO2, Wasserstatus, Licht...
- ABA
12. 3번째 그래프에 따르면 코로나틴이 유도하는 반응인데 초기에는 스토마타가 닫혔다가 이걸 다시 열도록 유도한다
- 5번째 그래프 : E Coli 는 감염시켜봐도 스토마타가 다시 열리진 않는다. 즉, 코로나틴 특유의 기작
13. MES Buffer 등장
14. SA salicylsäure 가 결국 스토마타 여닫에 주요 펙터
- ??
15. NO
-L-NNA 는 다시 NO 처리 해줌
16. 코로나틴은 analogue von Phytotoxin Jasmonat
- hrcC ...
17. 결과적으로 코로나틴은 스토마타가 닫히는걸 막는다
18. 코로나틴을 인식하고 잡는 과정인듯
19. DC3000 은 코로나틴을 말한다
20. OST 는 ABA, SA abhängige Kinase
23. XopD
-SUMO 는 Proteinabbau beteiligt.
- ubiquin ähnlisches...
- 단백질 뿐 아니라 transcripionsfaktor 를 분해해서 비활성화시키기도 한다
24. 아 헷갈린다...
25. AvrBs3, PthA 의 타겟은 DNA bestandteil이다
27. 전형적은 Tal Effektoral Struktur :
28. C 그래프 : 박테리아, 즉 Effector Protein 과 Bs3 가 딱 있으면 디펜스. 여러 Variabel 을 다다다 테스트해봤음
29. Repeat Domain (Wiederholungs Domanä)
32. Tal Effektoren : 계속 설명
34. Rezeptor 의 유형 Klasse
- NB-LRR 많은 유형이 여기 포함되며,
36. RIN : PM 에 위치하며 수많은 Resistenz Prozess 에 참여하는 단백질
39. 또 다른 흥미로운 예시
- AvrRpt2 Cysteine Protease
40. Cyclophilins : 와 복잡하다. 엄청 꼬여있다...
42. AvrRpt2 와 MPK activation
52. PBS : Abwehrprozess 참여하는 친구 중 하나
54. 머리 깨진다...
JAZ : Jasmonat 는 식물호르몬이다! In Arabidopsis thaliana, JASMONATE ZIM-DOMAIN (JAZ) proteins are negative regulators of JA signalling
58. Oomyceten 는 어떤 이펙터를 갖고 있는가 : 오랫만에 나왓다!
61. 예시로, Cladosporium fluvum
68. Zusammenfassung 왕정리!
69. 우와 예시까지 전부 왕정리. 아마 요걸 그릴 수 있을 수 잇는 정도가 되야될 듯
- r Speichel :
- derivative :
- anlocken : attract
- Maiszünsler
[Abwehr 8]
1. vielfältige Disziplin in Herbiboren Forschung
- behavioral ecology : direkte Wechselwirkung
- Population :
- community : alle player einbezogen sozusagen
2. Scale
3. Reaktion 에는 Jasmonat, Derivaten wichtig rolle
- verschieden sorte Jasmonat gemessen : A-E 는 증가되었다가 Vakuole 에 abgelagert.
4. Jasmonat ist Signal
- NO, ROS, ABA, 에틸렌, 시스테민 *원리설명함)
- FACs, OGAs : 알려는져있으나 원리는 잘 모름
- 오른쪽은 어떤 과정을 거쳐 JA 가 되고 Ja가 다른 녀석과 konjugat (mit Me, LLe..) 되는지 볼 수 있다
5. Herbivoren 의 무엇이 eclicitor 인가여
6. 이 반응은 그전까지 봐왔던 반응과 유사함여.
- 우리가 봐야할 부분은 오른쪽 부분 : JA-lle, JAZ, 등
7. Prosystemin : systemin 이란 이름은 chemische Signal 역할 때문이라는 듯
8. 토마토 예시 :
- Strahlung : 리간드에 마킹하고 테스트해보니
- 오른쪽 분자가 시그날 케치?
9. 왼쪽은 각종 Wundreaktion Transkription DNA, acx1 은 JA 담당 스위치가 꺼진 상태!
- THW는 허비보어 saliva같은건가?
- E : 방어기작이 작동함으로써 Verdauung 을 방해해서 애들이 사이즈가 작아진다. 뮤턴트는 애들 사이즈가 와방 큼
- 곤충 먹이를 찾을 때 이런 기작을 완전히 꺼트린다면?
11. 시스널링과 생산을 두고 지엽적, 전체적 연관성을 추적
- A : scion은 시스템 반응, stock 은 로컬,
- B : spr 로 실험하면 야스모나트 생성 뮤탄트인데, 생성이 안되니까 아주 그냥 반응이 없다우. 해석이 좀 어렵다
12. 여기서 elF4A는 뭐임?
- 오른쪽 그림 PI : Protease Inhibitoren
13. ProSys : Prosystemin
- SR160 레젭토어가 인식 - 타겟 유전자 anschalten - 플로엠으로 transportiert - 시스템적 반응
14. 아래쪽 에서 아르기닌이 변형되는 harnstoff 는 toxisch!
15.
- C 는 WT 에 의해서 먹힌거. 엉망진창
- D 는 over expressor 된걸로 훨씬 피해가 덜하다.
- 먹힌 물질을 분석해봐도 오버엑스프레서는 Arginase 가 많이 발견된다.
16. Terpenoids : 잎이 손상되면 이 volatile Terpenoids 가 freigesetzt.
17. HIPV 는 위의 flüchtige Substanz 포함된건데 이게 있는 환경에서는 Protease inhibitore 가 빨리 생성된다.
- 이건 Luft로 나가는 거니까 한 식물이 공격받으면 주변으로 이 물질을 내뿜어서 다른 녀석들도 Abwehr process (PI) 을 준비시킨다. 그럼 빨리 방어할 수 있겠지요?
18. 그래프는 휘발성 물질 측정한것
- 맨아래의 Caryonphyllen 역시 터페노이드 한 종류. Hauptsubstanz bei Mais
19. Auswahl Experiment 진행함
- EPN : Käfer
- ㄴ네마토덴은 WCR 에 공격받은 쪽으로 가려고 한다, 콘트롤은 아무것도 없는 곳.
- 이 실험의 마이스는 유럽, 아시아종
20. 맨 앞의 그지같은 반응은 아메리카 종인데 카로필렌 터페노이드 생성을 못한다
- 다들 연관성을 보여주는데 터페노이드 못만드니까 네마토덴에 더 많이 물어뜯김.
-
21. Caryophyllen
22. Anlockung : attract.
- schönes Beispiel für indirekte Abwehr
- 이 카로필렌을 사서 땅에 뿌리면 농약처럼 효과가 있다고.
23. 마리엔케퍼는 착하답니다
26. Insektizide : keine Pflanzen pathogene, 바실러스는 오직 특정 insekten에만 toxisch
- Bt-Toxine 은 사람에겐 해가 없고 그냥 단백질처럼 분해되니까 이걸 식물에다가 발현시켰다!
27. Toxicität 원리 :
- 이 Bt 톡신 가지는 식물
28. 오오
29. Baumwolle 는 농약을 아주 많이 치는 종이라서 이 기술로 인해 돈 왕 아깜
- Mykotoxin...
30. Fumonisin : tixisch. 확실히 Bt Mais 강점을 가진다
31. 단순히 돈만 되는게 아니라 Insektizide 를 적게 썼기에 다른 곤충피해도 적어서 생태적으로 좋다 이말이야
32. Resistenzentwicklung 은 다른 Bt Toxin 도입을 생각 중
- 왜 Resistenz 가 잘 안생기냐 를 본다면, 아마 박테리아에 비해 Bt Mais는 Toxine 을 와방 쏟아내기 때문인듯.
33. 벌레가 왔다갔다 못하니까 그것도 도 하나의 주요한 효과
34. Virus :
36. Weisse Fliegen 은 Gewächshaus 에 큰 문제
37. Übertragung : 감자의 경우 vegetative Vermehrung 하는 녀석이라 이 상황에 특히 약하다.
39. 파파야 바이러스 : 온갖 단백질 슝슝
- Mungbean .. mosaic...
40. TMV genom : Movement protein, Coat Protein
41. 중간에 보이는 RdRp, MP, CP 다 TMV infection에 핵심적인 역할이다
42. GFP 로 발현 관찰 > 플로엠타고 내려갓다가 물관으로 올라가서 개판
44. siRNA : RISC transportiert siRNA - mRNA abgebaut
45. 식물의 방어기작은 바이러스의 RNA를 리보좀으로 확인해서 Dicer 로 2 strand 로 쪼갠 다음 RISC 로 abbauen 한다. 그러면, 발현되지 못한다 이말이야.
- 이 모든건 바이러스 서프레스 프로틴이 인식해주셔야함
47. 형태를 바꿔서 Plasmodesmata 통과 못하게 함
50. Papaya 는 그 이점이 극단적으로 발생
51. PRSV 가 휩쓸었을 때 난리도 아니었음,
54. 확실히 바뀐 뒤로 효과가 잘 나는구나
[Herr Daising]
- s Warmlaufen : 아마 warm up
- Hygromycin resistence gene Cassette : for Vector construction and Selection. 식물 변형을 위한 툴. Hydromycin-B 가 사용되는데 이건 Antibiotic. 기작은 stabilizing tRNA-ribosomal acceptor site, so that Inhibition of Protein synthesis. Resistance Gene 은 Kinase 인데 Hygromycin B 를 phosphoryration 해서 inactivating. 식물이 제대로 transmormation 됐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 쓰는데 non-transformed calli 는
- Transformation of plant with Agrobacterium : Immersion of Arabidopsis inflorescences in a suspension of Agrobacterium, with surfactant, was sufficient to generate transformed seed. 셀렉션은 kanamycin, Hygromycin B 같은 걸로 진행.
- immersion : (액체에) 담그기
- suspension of agrobacterium with surfactant : 현탁액(부유액) + 계면활성제
- homologe Integration und ektopische :
- Transformation of fungi (Aspergillus...) :
https://www.ncbi.nlm.nih.gov/pubmed/21468206
- Candida albicans : 면역력 약하면 invasiv werden
- Deformismus : 계속 설명. 언급된 필째 중 어떤 녀석이 이건가? ovale conidien
- Neurospora-Isolaten : Model Pilze. 자낭균류 Ascomycetes 붉은빵곰팡이속. 핵,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ER, 이 있다. 세포막, 세포벽. 유전학적 실험재료로 쓴다고. red bread mould 라고도 함
- Regidifizierung : Verfestigung
Einführung
1. 기본적으로 Infektionsstruktur 는 Appresorium
- 80 bar : höhe Druck
- CWDE :
- Alternaria alternata : Nekrotroph 의 예시. 토마토, 감자. Toxin
- Flagelin : immer gleich produktieren, Variabilität, Chitin Erkennung,
- Signal 이 나와서 레쩹터에 붙으면 Abwehr 발동
- Haustorium : Mehltau, 등 absolute angewiesen auf lebende Gewebe
- PHytoalekxin : 퓨토알렉신, 뭔가
- Effektoren : Verteidigungsmechanismus von Pilze, Rezeptor inhibitet
- Toxine : 식물을 그냥 죽여서 바로 영양화. 근데 nur Nekrotroph
2. Pilzes는 식물로부터 Kohlehydrate 냠냠
- Zellwandfragmente
- Zuckersensing : SNF kinase Sucrose none Fromenting ? 이녀석은 CRE1, HEFE에서 발견된 현상인데 아마 다른 필제도 이럴것으로 예쌍한다, 이건 필째의 세포벽 Abbau Enzyme Regulation 메카니즘 설명. 너무 많이 sekretiert안하게. 식물의 탄수화물을 감지해서 한다는 얘기인듯
- Siderophore : hoch Fe Affinität. 흥미로운건 Peptide 인데 리보좀에서 생성되는 Peptide 가 아닌 sekundäre Exkretion,
- 필째가 철을 훕수하는 기작
3. 각 Organ은 DNA를 갖고 Dogma에 따라 DNA - RNA - Protein 과정으로 살아감
- Endosymbiose Hypothese : 모른다는건 있을 수 엄음....
4. 알파헬릭스, 베타 쉿 의 특징은?
5. DNA : 5. Streich, 3. Streich, PCR 을 이해하기 위해 이 화학적 구조를 꼭 알아야해여
7. Denaturierung und Renaturierung : 분해해도 (끊이거나 하면) Basen 끼리 다시 붙는다,
- aufschmelzen : Korellation을 보여준다. C,G가 많을 수록 Schmelztemperatur 가 올라가는 경향
- 온도가 중요한 이유는 Denaturation 은 온도가 올라가면 (적절한 녹는점) 분해되고 다시 내려가면 지들끼리 붙기때문
- 디엔에이 분석에 중요한 정보
8. konstitutive Gene : Glucose kinase, Hexo kinase. 항상 필요한것 nicht je nach Umweltbedingung, Alch
- Adaptiere Synthese
- Intron :
9. Zehn hoch Acht Basen paar :
10. 초파리의 13,600 개 유전자가 사실상 필째에게 한계 숫자
- 사람은 25,000, 아라비돕시스는 27,000 (너무 안많ㅇㅏ서 좋다우!),
- 겐이 하플로이드면 아주 큰 큰 장점 : 필째가 대표적 예시인데, 하플로이드 겐은 껐다 킴으로써 바로 활성, 영향을 알 수 있다
- 하플로이드 겐이 도대체 문가요?
10. wie sichtbar machen? : DNA 너무 기니까 fragmentiert, 그리고 Agarose를 통해 크기별 sortieren.
- 어디에 내 Zielbasen 이 있는지 확인 Isolat
- 이 작업이 왜 중요하냐? 어느 랩마다 뮤턴트를 만들어낼 때 이러한 위치 확인은 항상 중요
11. 5 Strich 엔데와 3 슈트리히 엔데
- glatte : keine Überladung haben... 정확히 어떤 역할?
- Basenpaarschneider Fragmente : 아까 쪼개던 걸 통해 우리가 원하는 Basen 이 어떤 크기의 Fragmente 에 들어있는지 알아내야한다?
13. nitrocellulos paper : filter
- 플라스틱 벡에 넣어서 열을 준다 - Denaturierung. 그리고 빨간 점은 labelled Probe : 원하는 Basen verbunden (Antikörper, Antigen)
- wie viele Kopienzahl eines Gens 요게 현재 핵심. 언제 어디에 들어있능가
- 어떻게 겐을 스위치하나?? : 원하는 겐 좌우에 5-end, 3-end 가진 곁다리 겐을 PCR 해서 그 사이에 스위치할 Gen 을 위치시켜서 붙인다.
- 붙일 녀석은 기존 겐보다 길다. 그렇기 때문에 서던블롯을 하면, 그리고 염색해서 나타내면 성공적으로 스위치된 경우 크게 나타난다.
- 염색은 어디에 하나?
- Resistenz Kassete
- Hygromyzin ? zufällig 하게 다른 위치에 달라붙은 경우인듯 extopische Transformanten ㅇ
diese Mutante ist gelungen 성공했다는 뜻이죠
14. C23 으로 보면
16. muss ein Primer design, der perfekt verbindet mit zielgen
17. wie Primer ableiten? 모든 프로틴은 메티오닌부터 시작한다. 왜?
-
18. Interkalation in die DNA. 이 에티디움브로미드는 염색시키는 건데 왕 독성. 디엔에이에 달라붙어서 그런가
20. 노던블롯도 프린찝은 서던과 같음
- 프로베를 갖다 붙이는 걸 Hybridisierung 이라 캄
21. 18 h p.i (Post Iniculaiton )
22. RNA확인은 DNA 와 마찬가지로 PCR, 근데 RT-PCR
23. 아까와 마찬가지로 RT-PCR, PCR 단점은 Semi-quantitativ 하다는 것.
24. 아까랑 같은데 Fluore Probe 를 붙여서 im Lauf der Transkription 반짝반빡
- Zyklenzahl을 통해 원하는 종, 생물의 DNA, RNA 를 딱 bestimmen kann.
25. 흐음...
26. Mäusen, Kaninchen 등에서 Antikörper 만듦.
- SDS PAGE 원리 설명 : elektroblotting 할 때 Luftblasen 조심
- 왜 sekundäre 항체? Preiswert 또한 AP 를 바꾸면 Sensitivität erhöhen kann,
28. Kaninchen은 상대적으로 필쩨같은 거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자란다. 그래서 여러가지
- 웨스턴 블롯 원리 좀 더 정리해놓을 것, 아직 2중 항체 이해가 안됨
29. 이 Selektionsprinzip을 간단히 설명하라
- Schlüsselwort : Plasmid, Transformieren, Reportergene,
30. GUS : Wunderbar. aktiv oder nicht aktiv. 발현되면 Pilze 는 죽는다 diese Pilze umbiringen
31. GFP system aus Aequoria victoria : 발현되더라도 Pilze nicht umbringen
- Melanin 을 생성하는데 오직 Melanin 만드는 경우에만 빛이 남. 다른 사진들을 보면 안타나나지만 마지막 휴페는 빛이 난다. 즉, 멜라니지어트
32. Beta Glucan Syntase GLS1
- 유전자에 붙이는 게 아니라 단백질에 붙이면 언제, 어디서 subzelluar Lokalisierung 확인가능
- 빨간건 멤브란 파브스터프. 즉 두개를 다 비교하면 이 단백질이 오직 apikale Spitze 에 모여서 Spitzewachstum 에 기여함 을 알 수 있다
[1. Mutagenese und Klonierung von Genen]
Zufallsmutagenese - Transformanten untersuchung -
1. 랜덤으로 뮤탄트를 만들어 관찰 : 단점은 겐이 마킹이 안되있기에 Identifikation 어려우
- 그래서 Tagging (Markierung) : Hygromycin Casette ???
- heterologe : konventional 은 뮤턴트를 많이 못만든다. 반면 REMI 는 höhe Grad 로 생성가능
- homologe : 둘다 아그로박테리움 이용 가능
2. Pathogenität - qualitativ (Ja, Nein), Virulenz - quantitativ (1,2,3..)
- Transformation 된걸 일단 넣는다. - 하지만 랜덤이다 in die Zelle hinein. 제대로 잘 들어가있으면 아래와 같이 한놈은 아주 튼튼
- 이걸 통해 구분 가능 : 어떤 겐이 Pathogenität gen (첫번째 사진) 또는 virulenze Gene (다른 4개. 그건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상해있음)
- 첫번째껀 WT
- 파토게니텟을 결정하는 Gene 을 찾는 것이 Erfolg - 왜냐하면 아주 감염을 시작하냐 마냐의 큰 차이
3. 파토게니텟 찾았으면 Retrict enzyme으로 쪼갠다.
- 파란 선이 Restriktionsenzym : 랜덤으로 쪼개서 verdünnt (너무 농도가 높으면 다시 뭉친다) - 그걸 E-coli 에 다시 심는다
4. REMI : Restriction Enzyme-Mediated DNA Integration
- 근데 이렇게 자르면 원하는 위치 말고 달느 곳이 잘려서 Vektor 로 인한 현상이 아닌 DNA Verlust 때문일 수도 있다.
- REMI 의 Markierungseffizient는 약 50% 정도다. 나머지는 다른 곳이 wo anders kann dafür verantwortlich
- 이 난리의 원인은 Sequenzing 이 예전에는 10,000 정도. 지금은 1/10 왕 싸졌다
5. 이건 optimal 게임
6 - 16 순서를 바꿔서 함
없다
17. 아재가 제일 좋아하는 필째 Magnaporthe grisea 근데 새로운 이름은 Magnaporthe oryzae
- Biotroph 에서 뭘 끄면 Nekrotroph 가 된다.
- Appresorum 만듬.
- 오른쪽 표 : REMI 로 처래했을 때 발견된 파토게니텟 뮤탄트 수.
18. 이 표가 설명하는건 휴고뮤찐 카셋 레지스텐즈 한 녀석은 오직 인터그레타찌온 된 녀석만 보여준다는 거슬
- 왼쪽 표 확인 : 위에 있는 녀석은 제대로 코플룽, Integretation된 녀석
- 표 아래의 녀석은 잘못 잘려서 DNA Verluste 로 인한 녀석이란 거슬
19. pth : pathogenecity
- pth3-10 은 virulenz 인데 사실 Pathogenität 말고는 씹히는 경향
- 교수 생각에는 안좋은 흐름이란다. Missverhältnis 라고
- 오직 팔기 위한 상품성을 위한 트렌드라고...
20. 하는 중
21. pth3 가 교수입장에서 흥미로웠다고 : 히스티딘 단백질 생산이 필째 에서 식물로 넘어가는 어쩌고
22, 23 안함
24. 히스티딘 단백질 설명
6. 아그로박테리아 원리 설명
7. 저 부분이 식물로 슥 들어가서 옥신, 사이토키닌, 오핀 등을
- 교짱 말로는, 핵도 없는 녀석이 어케 알고 식물의 핵을 표적으로 자신의 유전물질을 갖다 붙이는게 sensational하다고.
8. vir Region 은 버리고 오직 작은 T-DNA만 식물로 삭
9. Acetosyringone : 식물이 secretion 하는 물질이며 T - DNA 를 식물로 넣기전에 박테리아가 식물임을 (즉 타겟임을) 인식케 하는 Signal 물질이다.
- danach T-DNA transfer zu machen
- 4개가 발생한 거면 나중에 Ausschaltung 할 때 어느걸 해야할 지 힘들다. 서던블랏...
10. 이 방법으로 파토게니텟, 비룰렌쯔를 효과적으로 definieren 할 수 있다
11. 설명함
12. germination - Appresorium - Melanisation - penetration
13. 나름 놀라운 거라는데 Allantoicase 는 avirulenz 한 녀석거라서
14. 설명함
15. 왜 Allantoicase 가 어째서 이런 반응에 중요한지 여기서 설명됨
- 필째 반응 초기에 여차저차해서 알란토이케이즈를 통해 암모늄이 생성된다고.
- Purin 은 N 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
- ein Beispiel für Zufallsmutagenese
16. 논문이 추가된 폴리 von Chou
- enorme Daten 강조함 ㅋㅋㅋ . 마스터 당 15-20개
- gene density : wie viel Gene pro Gen Stück
- 왜 값들이 정규분포가 아니라 지맘대로 나타나다
없는 폴리 : 크로모좀 스트럭쳐.\
- 위의 이유가 크로모좀의 형태때문
- 히스톤 단백질을 DNA가 감고 있다, Histon Octamere
- Chromatin 이란 개념이 등장. beads on a string
- lockeres Euchromatin von dicht gepacktem Heterochromatin
- 어떤건 록커하게 엮여있고 어떤ㄱ너 덴스하게 엮여있다. 이건 트랜스크립션 펙터의 다양성에 나름의 직관을 준다
- 크로마틴의 구조가 Pathogene Pilze 의 Entwiclkung 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없는 폴리 계속 : 크로마틴 구조, Wie kommt es zur Veränderung der Chromatin-Struktur?
- Euchromatisch / Heterochromatisch 인지는 Histon-Acetylierung auf Ladung und Struktur
없는 폴리 : Effekt der Histon-Deacetylierung auf Ladung und Struktur von Chromatin
- neue Gene Identifizierung 에 필요한 관점
- T-DNA 를 통해 태킹하는 것과 연관성?
25. 호몰로그는 예를 들면 휴그로뮤찐 레지스텐스 카셋을 성공적으로 austauschen
- Antibiotikum Gene 가 있지만 동시에 WT Gen 도 포함한다...
- 이건 이거 나름 페노타입에 있어 의미가 있다고?
27. CHSV : Chitin synthese Gene
없는 폴리 : Deletion von FET3-1 FET3-2
28. 어케 유전자 클로닝?
- 컴플리멘트 : 히스티딘 유전자를 메디엔에 주고, 어쩌고
29. 시작은 A T G (Met)
- 왜 5 프라이머와 3 프라이머가 필요한지 설명하시오
30. hoch konservierte Bereich : 빨간부분. 아마 프라이머가 작용하는곳?
- Sequenze 를 컴퓨터로 계산해서 가능한 아미노산을 생산할 수 잇는 가능성 계산
- 빨간건 아마 엔자임 같은 단백질을 담당하는 곳일 가능성이 높다
- 동시에 기존 알려진 필재의 유전자와 비교
31. 위의 과정을 거쳤으면 Agrose Gel (예시) 로 스크리닝한 후 Bank 에서 비교하여 결과 gelangen
32. 이 부분은 Gen Bank 이용 : 왜 vollständige Verdauung 을 안하고 partiell 하나
- Digenstion 이라 부른다 : Fragment 를 리스트릭션 효소로 얻어낸다, 근데 어디가 잘릴진 모르잖아! millionen 쪼개서
- 문제는 gDNA 는 Intron을 갖고잇으니까 쓸데없는게 들어있을 수 도 잇다
- Hybridiserung : 다시 설명. gDNA 를 높은 온도에서 schmelzen. 동시에 markierte Sonde (gezieltes Gen, 예를 들어 Histidin Kinase, radioaktiv markiert) 도 Schmelzen 한다. 둘을 같이 둔 후 온도를 천천히 낮추면 섞여들어감, 그게 Hybridisierung
- 그림에서 Filter 를 실제로 적용해서 저렇게 2개만 점이 딱 보이ㅡㄴ거라고.
33. CP 되있는게 carrier protein
34. 4‘-Phosphopantetheinyl transferase : PPTase. 아주아주 병리학에 중요한 녀석. 여러 역할을 한다
- NRPS 없으면 식물로부터 철 못뺏는다
- 지방산
- PKS : Melanin 생성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데 멜라닌은 Appresorium 생성에 핵심역할. 이건 virulenz가 아닌 Pathogenität을 결정하는 요소. 아주 중요하다 이말이야. 이건 한 Pigment 의 역할
- 결론적으로 PPTase 를 막으면 병원균 성장을 원천적으로 차단가능
35. npgA : non pigment A 란 의미.
- 8백만개의 클론 중 npgA , lys5 를 겨우 찾아냄
- 다 하고 그걸 이게 겐방크에서 돌려서 찾은 듯
36. Lustiges Dinge..
- invertase
- HXT : Hexose transporter
- Sekretorisch weg : Vesicle - Golgi - PM - Sekretion
37. Invertase 를 이용한 앞에 말했던 스크리닝 디테일
- c DNA : Sekretationssignal
- 골지체서 SUC2 sekretiert
- 그럼 밖으로 나간ㄷ SUC2 - Hefe wachsen
- tubulin ?
- verschmelzen : fuse
- CoA
[2. Pilzezellwände und Hyphenwachstum]
1. Lipid는 매우 가벼워서 Sporen 휘리리
- apikal wachsen 은 큰 특성. 무조건 끝에서 자라나낟.
- Hefe : mutter / Tochter, Gärung
2. apikal Wachstum : 수많은 Vesicle 이 첨단에 모임. 40,000 엄청 많은 숫자인듯...
- 첨단에서 멀어질 수록 세포 방향이 pararell 하게 서서 Turgor Druck 높이고 반면 맨 앞 첨단은 막 섞여있어서 상대적으로 weich
3. Hypothese 다 이말이야 RegidaZelle
4-15 수업 쨈. Streiken
16. 어떻게 B-1,3 Glucan 생산되는지 설명중. GLS, GLT, Rho1, 재료는 UDP. 어디서 이들이 작용해가 글루칸이 만들어지나여?
- GLT 는 아직 많이 연구가 안된듯
- Chitin & Immunsystem
17. 어떤 녀석들이 베타 글루칸을 만들고 어디서 발견되는지에 대한 실험
- C.graminicola 의 의미는 이녀석이 M.oryzae, 의 친척이며
- 키틴 생산은 osmotische Stabilisierung 과 관련에 여기서 관련이,
- 베타 글루칸 생산이 저해되면 세포는 osmotische Stabilisierung 에 큰 문제를 갖나?
- 이 실험, genetische Complementation 은 무엇을 말하나? 여기선 어떤걸 바꿨지?GLS?
- 실험은 오른쪽으로 갈 수록 verdünnt, 10, 10², 10³...
- AG300 플라스미드 : Transformieren 할 때 만날천날 나오는 녀석이라고.
- YPDS 를 통해 여기서 차이를 만드는 건 osmotische Stabilisierung 라는 걸 알 수 있다고
- GFP 어떻게 갖다붙였는지 설명 : GLS1 의 끝트머리의 1k 정도되는 Basen과 같은 파트를 GFP 의 앞에 붙이고 GFP 맨 위에도 같은 위치에 맞는 Basen을 붙여서 유전적으로 문제없이 그대로 GLS1 뒤에 GFP를 붙입니다.
- confocal microscopy : jeder Schichte 를 잘라서 관찰,
18. 박사생이 집에도 안가고 죽어라 해서 이걸 확인했다고
- HeteroChromatin
- Heterochromatisch 는 더 짧은데,
- 왜 넉아웃이 안되는가? 잘 교체됐는데도?
- 아주 많이 했는데도 안되면 어쩌면 그 Gene이 essencial하거나 heterochromatisch 한 거인지도??? 그건 그거나름 큰 발견
19. 세포벽 생산에 관여하는 대부분의 유전자는 필째에게 필수적이라 Deletionmutagenesen 이 무리데쓰.
- Lösung1: Verwendung regulierbarer Promotoren,
- RNA Interference : RNA-Interferenz (RNAi)
20. RNA Interference : Silencing,
- dsDNA : double strand
- DICER : 두줄 째로 쪼개는 효소
- RISC :
21. 워낙 잘 연구된 종이다.
- P-trpC 시작 프로모터
- 그래픽 B,C 를 통해 iRNA 가 GLS1 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잡았음을 알 수 있다. GLS1 발현률이 낮아졌으니까.
- 또는 D,E 처럼 GLS1 에 GFP를 붙여서 발현을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도 있다 : D 를 통해 GLS 발현이 낮고 동시에 그래픽 E를 통해 B-Glucan 생산이 연관성있게 낮아졌음을 확인
22. 그래픽 E ㅇㅔ서 알 수 있듯 그래픽 D와 비교하면 필째는 세포벽이 없으면 Figmentiert 구획화된다는 거슬.
- 즉, C 처럼 까맣게 점점이.
- 이번껀 베타 글루칸 실험. 키틴 synthese 와의 실험과는 어떤 결과적 차이가 있나여?
23. 코니디엔-아프레쏘리움- 공격적 휴페 - 그다음 독 생성해서 Necrotroph Umwandlung - 새로운 코니디엔 생성 - Sporen
24. 문제? 식물은 언제나 조금씩 B-glucanase, Chitinase 를 sekretiert 하는데 요걸로 필째 벽 녹여지면 딱 걸림이건 PAMP 에 딱 걸린다고
-PR1 은 키티나아제, PR3 는 베타글루카나아제이며 typische Abweherreaktion
25. 24HAI : Biotroph 에서 Nekrotroph 로 바뀌는 시점에서 베타 글루칸, 키틴 생산이 확 줄어들고 그 다음 sh 독이 생성된다.
- 여기서 가능한 스펙큘레이션 : 특정 Gen 이 anschalten 되는건가?
26. 이 실험도 세포벽을 강하게 몬만들어서 아프레쏘리움 생성이 안되서 그런듯
- Turgor Druck : 세포벽이 강화되어야 하나 B 글루칸 생성이 안되면 verschweichert.
27. ph : primäre Hyphe
- 세포벽 생성과 관련하여 침입단계에 변화가 생기는데 단순히 형태학적 변화 외 생리학적 변화도 동반될 것이다
- Toxin Transporter 같은거
28. PtypC 는 베타글루칸 항상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만약 오버엑스프레션되면? 비오트로프 휴펜에 문제가 생김
- D 에서 보듯 퓨토알렉신이 관찰되는데 E 에서 보듯 아프레쏘리움 왕 쎄졌다
- G : PR (anti micro DNA, Pathogenesys Related) Protein, 이건 시험에서 항상 묻는다, in der Klausur wichtig,
PR1 은 키티나아제, PR3 는 베타글루카나아제이며 typische Abweherreaktion, 희안하게 더 잘걸린다?
29. 이로인해 알 수 있는건, biotrophic Hyphen은 Abwehrreaktion 을 유발한다는 것
- 베타글루칸은 eng betroffen, 하나가 만들어지면 하나가 만들어지고..???
- 베타글루칸 센싱과 Abwehr (PAMP signal) 의 연관성을 유전자 시퀀스 비교로 설명중
30- 안하고 넘어감
31. KRE5, KRE6 는 Killer Toxine Resistence
- 둘 다 B-1,6 Glucan Synthese 하는 녀석인데 이게 없으면
- A : YPDS - Killer toxin 메디엔을 통해 이 둘이 톡신 생성에 연관이 있음을
- B : KRE5, 6 이 funktionell entsprechen,
- B 오른쪽 : 사실 아직까지 KRE5, 6 의 작용은 알지만 정확히 프로틴의 역할은 모른다, biochemische Struktur nie bekannt. 논문으로 낼라할 때도 사람들이 잘 몰랐다캄.
베타 글루칸1,3은
- 2번째 Verzweigungen 베타글루칸은 공격에 있어 중요 : Pf Erkennung hinkriegen 만약 베타글루칸이 나눠지지 않다면!!!
32. 베타 글루칸 1,6 염색물질을 당시에는 안팔더라고, 그래서 이ㄴ터넷에서... 아 못알아들음
- für jedes genetischen Problem, gibt es genetische Lösung
- 염색물질 스토리 왕 복잡. 멜라닌이 있으면 Wellenlenge 문제가 있어 잘 안보이는 일이 있는데 그게 말이지...
- 어떤 물질은 아프레소리움을 염색시키기도 못하기도. 정확한 물리적 기작은 모른다 교짱도. 그러나 20개정도 염색물질을 테스트해봤는데 여튼 하나 얻어걸린것이다. 그것만해도 대단
- 오른쪽 그래프에서 보듯 biotroph가 끝나는 시점까지가 중요하다. 그다음은 독 뿜는 시점이니까 들키는 말든 상관없음
- 오른쪽 그래프 GBP : Glucan Binding Protein
33. B1,6 글루칸 Down regulation :
- 베타글루칸이 없으면 Festigung, Vernetzung 이 안된다, 쉬바흐 흐물흐물 *E,F,G그래프 비교)
- I,K,L 을 통해 다운 레귤레이션 확인가능
- M 을 통해 알 수 있는 것 : Korerrlation zwischen B 1,3 und B 1,6
- N :
- 그럼 이 연계가 Verkünpfung 이 Infektionsprozess와 어떤 연관? :
- 오른쪽 A : Appresorium 생성이 다운레귤레이션에서는 좀 시원찮다, 즉 Penetration 과 관련
- C : 왼쪽 A 에서 보듯 RNA생성이 (즉 트랜스크립션 활성) 50프로 정도 줄어들었지만 아프레쏘리움의 공격성은 거의 100프로 가까이 손실됐음을.
- D : 아프레소리움의 anheften 이 시원찮다!! 못 붙어있으니까 공격도 몬한다
34. C 가 보여주는건 WT 는 Infektionshyphen 제대로 형성됐으나 뮤탄트는 시원찮음
35. A : 흥미로운건 상처가 있는 경우 Biotroph 를 거치지않고 바로 Nekrotroph 로 진행된다는 것!
- 이 페토젠은 사람도 감염될 수 있다 : 식물에 의해 상처나면 글로 포자들어가면. 근데 아주 희귀한 경우. 이걸 통해서 Fungizide 가 Humanmedizin gegen Pilze 의 Anwendung 을 엿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는 무좀에 대한 것도 이런 가능성을 볼 수 있음,
- D, E : 빛나는 단백질들이 아주아주 높음을 알 수 있다. massive Steigung der Immunsignal
- F : 어떤 시그날들이 구체적인가? Terpene 는 putativ 즉 바샤인리히 한 지표Parameter 로 이해하라고. 비오트로프일 때 시그날이 터진다
36. Down regulation of B-glucan synthesis and modificatiion of chitin during biotrophic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evasion of plant defense
- 30 페이지 껄 여기서 다시 설명 : hoch sensitives Verfahren um Abwehr zu aktivieren, 아프레소리움에서 볼 수 있는 4, 5개 짜리 연보라 베타글루칸 1, 6은 Signal Effektor 이다. 그래서 그 다음부턴 안만들다가 네크로트로프에서는 다시 만든다
- 30 : GPI 는 verahncohrt 프로틴.
- Biotrophphase: iv, ph 는 큰 볼륨을 가지고 더는 베타글루칸을 만들지 않는다!!! ausschalten. Abwehr 피해야 하니까
- Polyglucosamin : schlechtes PAMP 그래서 압베어 아주 쪼금만 유발하는듯. 키토산
- 오른쪽 그림이 키틴이 키토산(폴리글루코사민) 으로 대체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Chitin Erkennung zu vermeiden
- 비오트로프파제에서는 붉은색 키틴 대신 노란색 키토산으로 바뀌면서 PAMP Erkennung 을 삭 피한다
37. 위의 스토리를 분자단위에서 Polymer 위주로 다시 설명 - 모델 in der Klausur wichtig
- GPI : 페어앙커트, dadurch 필째가 식물의 PM Kontakt halten bleiben kann, GPI assoziasiert mit verzweigerten Chitin
- Kreuzungsnetz 는 GPI 에 달린 프로틴이 달ㄴ 위치의 프로틴과 이어지면서 생성됨. 엮인다 이말이야
- 좋은 말씀하시네. 본인은 석박하고 연구할 때 혼자서 주로 했는데 지금와서 보면 그게 gute Strategie 인지 의심이 간다고. 작은 그룹이라도 여러 사람이랑 토론을 하며 발전시키는 과정이 더 도움되었던 것 같기도하다고.
32. 그 다음인데 32 라고 되어있음. 페이퍼도 읽어봐라고 하네. 교짱 2번째 박사 논문이라고 in der Klausur wichtig
- Gpi 12 는 키틴 아세틸라아제.
- 당시에 확인한건, Gpi12 Mutant 는 만들 수 없엇는데 어쩌면 Gpi12는 lethal Faktor für Pilze 인지도.
- gpit12 에 의해 글루코사민 이 쿹고나면 여기에 에탄올아민이 달라붙고 이 GPI transamidase complex 에 의해 에탄올 아민에 프로틴이 달라붙으면 그제서야 GPI anchor 가 완성된다.
- 이 complex 는 프로틴의 C terminus 를 쪼개고 거기에 프로틴과 에탄올아민을 엮는다.
- 이 프로틴은 예를 들면 키틴케테, 베타글루칸에 Affinität 을 갖고있어서 Festhaltung 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34. 뮤턴트 못만드니까 RNAi 전략을 사용 for down regulation
그다음 폴리는 안함
34. 그 다다음 폴리
- keine Virulenz besetzen
- C : 야생종은 굵고 튼실한 휴페 가짐. RNAi 로 약화되면 영 히바리가 없다
42. 이런 연계를 통해 얻은 새로운 효과적 면역획득방법 : RNAi Silencing pilze über Pflanzen
- HIGS : 식물의 유전자 중 Pilz spezifische Fragmente 를 골라서 만들도록 한다. 물론 생각되면 위험은 있을 수도. 이 식물을 먹은 사람에게 RNA 사일런싱이 발생할 지도 모른다는 걱정. 근데 이 대상이 키틴 처럼 필째 ㅌ특성으로 한정
- RISC 라는 Kette Ausgangspunkt 를 침묵시켜서 휴페 Verlängerung 을 원천적으로 막는다. 기발하다 이말이야
- hochspezifische Geschichte
- 문제는 뮤코릿쩌에는 해를 안끼쳐야 되니까... 해법은 아마 Blatt Promotor 를 만들어서 거기에만 발현시키는게 어떨지?
- Sense-anti sense 관계로 들어있는 RNA?
32. Short dsRNAs are taken up by the pathogen
- Podopphaera leucotricha : echte Mehltau von Apple. 마켓에서 살 수 있다
- dsRNA (double stranded RNA) 는 앞의 HIGS 사례처럼 Pathogen에 의해 흡수됩니다. 여기선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지요
33. 그래서 HIGs 는 이 녀석에도 유효
- Bonitur : tranierte Leute beobachten und Virulenz einschätzen
34. CaMV35S 는 프로모터인데 T724 와 비교하면 Stengel 에만 국한되고 감염이 잎은 발생치 않는다?
35. Venturia inaequalis : apple scab fungus
- 뭔소리??
36. Expression of a HIGS construct trageting a single fungal cell wall biogenesis gene in maize mediates resistance to C.graminicola and mimics the mutant phenotype
- 이 폴리는 없다!
- angewendet um resistenzpflanzen zu erzeugen
- 독일 교육 및 과학 어쩌고 부에서는 이런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할 때 꼭 작은 지역 회사를 끼고 하길 원한다. 바로 프락시스에 적용하기 위해서임.
36-41 은 하지도 않음. 폴리에 없다
43. 왜 베타 1,3 글루칸을 연구해야하능가
44. 일본에서 연구
- 델타 ags 는 B에서 보여주듯 pflanzen oberfläche. 알파 글루칸은 아마 필째 주변을 덮고 있을 것이다. 근데 아마 필째는 스스로 글루카나아제를 갖고 있지 않고 식물에 코딩되어있는 걸 쓰는 것 같다고.
- 이 페이퍼 꼭 읽어야한다고. in der Klausur wichtig
45. 여러 별개의 병원균들도 마찬가지로 식물의 AGL 집어넣으니까 병원균이 다들 힘을 몬쓰네예
- 가설은, A-glucan 이 녹으면서 Pore in cell wall 이 넓어져서 식물이 내는 디펜스 물질이 효과적으로 닿을 수 있다는 거임
- Rhizoctonia solani
- Photo bleaching experiment : FRET
46. 해석이 어렵다.
- 수치는 Abwehrgene in Pflanzen angeschaltet.
-앞의 44와 비교하자면, 그래프 A 에서는 7시간이 지나도 아직 Infektionsstruktur 안만들었으니 식물 밖에 있고 PAMP 도 식물 외부에 있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2시간만에 식물의 방어기작이 활동했다. 어떻게 PAMP 가 인식되었는지는 교짱에게도 unklar
- exerted over the palm of
- sind KO-Experimente unerlässlich
[3.Druck und Enzyme bei der Penetration]
1. 여러 침입 전략들
- 제일 왼쪽 : Appresorium
- p´Penicillium-Fruchtfäule : ?
2. Rost Pilze 는 오른쪽 그림에서 보여주듯 세로 줄이 있으면 이걸 가로질러 가려고 하는 성향이 있다
- 그 의미는 필째가 기공처럼 식물에 자연적으로 발생해 있는 구멍을 찾아서 들어가는 성향을 얻었음을 알려준다
3. 또 다른 침입 전략 / 휴드로포비찌텟 : 오른쪽 아래에서 그 연관성을 볼 수 있다
- Erkennung 의 다른 펙터 : Hydrophobizität
- 어떻게 측정? Wassertropfen 의 형태를 볼 수 도 있다. 그 형태가 하이드로포빅할 수록 작고 똥그란 물방울 형태를 이룰테니 그 Durchmesse 를 휴드로포비찌텟 인덱스로 삼아버림 ㅋㅋㅋㅋ
5. osmotische Aktivesäure 를 아프레소리움 안에 모은다 *Glycerol 이겠지. 그러면 물이 숑숑 들어와서 Turgor Druck erhöht wird
- 오른쪽 페트리샬은 Melanin꺼버린 녀석
6. fig.1 18시간 정도 지났을 때 외부의 삼투압이 ... 이거 이해 잘 안됨
- 여튼 Turgor Druck 을 측정하는 방법을 묘사중
- Cytoricy : cell collapse
- 오른쪽 아래 그림 : weich Membran 은 팽압이 얼마든 잘 뚫린다. 거진 100프로 뿅뿅
7. 멜라닌 생성은 매 단계마다 H2O Spaltung되며 진행된다.
- DHN (디휴드록시 나프탈렌) 이 Radikalisierung 되서 멜라닌된다?
- 멜라닌 형성이 안되면 필째는 살아남지 못해우. 그ㅐ 예시가 오른쪽 Cg 1.502
- Tricyclazol, Carpropamid 둘 다 Fungizide 이며 멜라닌화를 inhibit 함으로써 병원균 조진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spezifisch 한 풍기찌데이며 이거를 위해선 쭐라슝이 필요하며 꽤 비싸다.
- 멜타우나 로스트면 뭐 당연히 중요하겠지, 근데 아프리코제나 에어드베어 같은 특정 쿨투어플란쩬 대상인데 그닥 흥미가 없다. 쭐라슝에 비해 생산자가 판매로 인해 얻을 기대소득이 거지같은가보지
8. Poly Kitin Synthase 1 : melanin 생산에 핵심적인 엔자임. 실험방법에서 CP, ect 의 의미는?
- 휴그로뮤찐으로 넉아웃 생성 확인함
- CP(complementary ...) 는 아무래도 넉아웃에 다시 멜라닌 살리는 뭔가를 넣은 녀석인것 같은데 안확실하다.
- mock은 스포어 없이 그 물을 넣은것. 피펫팅에서의 오염을 염두에 둔 조치인듯
9. 또 엑스트라 오스모틱 프레셔로 측정
- 의외로 PKS1 없어도 투어고 드룩에는 야생종과 차이가 없었다!!
10. A : a 에서는 외부에 파란 휴페가 식물 밖에 형성되어 있음 을 알 수 있다,
- C : 핵심은 Lysierte...
- E :
- D : 요지는 아프레소리움이 세포벽 분해 효소를 분비하는데 멜라닌 없는곳이 아프레소리움에 있다면, 그쪽이 녹아버린다 이말이야
- 위의 결론은 교짱 개인의견. 실험 하는 중인듯
12. optische Wellenleitern :
- 아프레소리움의 드룩은 사이즈를 고려하면 어마무시하게 센데 그걸 버티게 해주는 CPI Protein 도 주목할 만함
13. Melanin notwendig für Kraftwendung
- SCD1 : 오른쪽이 빌트튭?
14. Penetrationsvorgang 에 필수적인 효소 = 침입 과정
- Cutinase : Cuticular abbauen,
15. Suberin : 큐틴처럼 Pathogen 이 뚫어야되는 튼튼한 녀석. 카스파리안 대 구성요소
16. 큐티네이즈가 Serine esterase 임을 아래 그림으로 알 수 있다
- 모든 cutinase는 serine 에스터네이즈 지만 그 역은 성립치 않을 때도 있다
17. 필째의 Cutinase 유발을 위해서 필요한 진 transcription 연구
- 여기서 보여주는건 eine spezifische Reaktion 이라는 것인듯
18, 오른쪽 흐름 : 큐틴 erkannt - 그리고 Cutinase activated
19. 아주 좋은 실험이라함
- 오른쪽의 - 는 큐틴 모노머 없는거, + 는 모노머 있는거
- M21, M25 는 후사리움에 있는 큐티네이즈 유전자를 다른거에 넣으니까 발현됨. 이게 왜 놀랍냐면 다른 병원균에 있는 게 다른 종에 들어가서도 연동됐다는 것... 인듯
- 오른쪽 그래프 : Quantifikation des Proteins
- ELISA 또는 Western Blot, 엘리자 설명할 수 있어야 함 in der Klausur wichtig
- ELISA :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y Kaninchen 여기서 또 나옴. 왜 항원항체 반응 할 때마다 Kaninchen이 등장하나여?
20. 교짱 관점에서 Spektaculär!
- Position 6:
- 이 실험의 시사점 : Cutinase 는 Pathogenitätsfaktor 라는 것
21. 적절한 시점, 적절한 위치에서 분비된다 이말이야
22. 큐티네이즈를 필두로 하는 감염 단계
- 큐틴 감지 - 큐티네이즈 생성 및 분비 -Antikörper???
24. 오른쪽 그래프의 야생종과 맨아래 컨트롤의 큐티네이즈 활성을 볼 것
25. 흥미로운건 큐틴이즈 넉아웃도 감염을 열라 잘 시킨단 말이지
- 그 말은, 후사리움에게 있어선 큐티네이즈 는 파토게니텟펙터가 아니다?
- 그런 해석보다는, 큐티네이즈 생성과 안티바디 반응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들이 있다고 해석하는 편이 낫다는듯
28. Diversity of cutinases from plant pathogenic fungi : different cutinases are expressed during saprophytic and pathgenic stages of alternaria brassicicola (뮤턴트는 Cutinase deficiency)
- PNBase activity : cutinase 처럼 활성화한다는 의미인가?
- Glucos 는 큐티네이즈의 Reppresor
- 오른쪽 : 야생종(1번) 은
- 문제 : saprophytical 인 녀석으로만 실험했다는 것
29. Infektionstest
- 아래 그래프 : 위에서 보듯 야생종과 뮤턴트는 큐티네이즈 활성 차이가 있음에도 아래에서 보여주듯 Virulenz 에는 둘다 차이가 없었다ㅡㄴㄴ 것
30. unterschiedliche Cutinase 는 abhängig von Substrat
- Wirsblättern 이라는 다른 기질 위에서 기르면 별개의 큐티네이즈 활성이 이뤄진다
- 즉, 한개의 유전자만 관여하는게 아니고 여러개가 기질 별로 활성을 달리 한다는 것
31. ?? 이해못함
32. 이번엔 펙틴이다
- 펙틴 : 펙틴메틸에스터레이즈 는 카르복실기를 아래에 갖고 있고 디폴리머레이ㅈ는 glycosidische Bindung 갖고있다.
즉, 저 두 부분이 깨지면서 분해되는 듯
- 펙틴은 아래와 같이 단계를 거쳐서 분해된다고.
- 네크로트로프 필째는 120개 정도의 세포벽 분해 효소를 갖는데 이건 아주아주 많은 Menge 임미.
33. Die Zellwand monokotyler Pflanzen
- 모노코틴은 디코틴보다 펙틴이 적으며 파토겐의 이 둘을 구분하는 지는 말하기 어렵다!
34. 엑소 슈팔튭은 DAMP 를 유발하기 어렵다, 왜냐면 특정 길이를 인식하게 하려면 계속 내야되니까.....???
- 엔도는 슈팔튭은 DAMP 유발이 엄청 빠르단다
35. echte Mehltau 와 falsch Mehltau의 생장형태, 위치, 증상 차이는?
- Oomycetes 연구의 차이 : 필째와 달리 Diploid 이기 때문에 넉아웃을 만들지 못하고 RNA 전략을 써야된다.
36. Endopolygalacturonase :
37. Säulenchromatography : 뭥미. 프로틴은 각자 아미노산을 갖기에 그 프로틴이 같는 아미노산들을 주욱 늘어놓고 그 중 뭐가 들어있는지 구분하는듯
38. PGN, PGX 는 엔도, 엑소 의 차이. 이거 관련 실험은 다시 읽어야 이해할 수 있을 듯
- GPD :
39. 6 번을 보면 PGN, PGX 가 없다우.
40. 뮤턴트해도 여전히 Virulenz.
41. 1번 넘버는 전부 다 넉아웃됨
42. Xylanase
- 오른쪽 : -는 그냥 잎, + 는 inoculated.
44. Putative DAMPs
- 결론?
45. 앞의 내용들을 zusammenfassung 하여 만든 모델인듯
- Snf1 : Hefe에 있는 Saccharose Abbau Enzyme.
- Cre A : Catagory Reprresor, 이건 대부분의 폴리 어쩌고 *PGN 같은거의 프로모터에 붙어있는 녀석이다.
- CWDE 발동은 SNF 를 필두로 진행된다구
46. 위의 모델을 실험해봤다
47. Gene expression profile and growth rates on different carbon sources
- Glucose,
- Xylan, Maize cell walls 처럼 poly 한 녀석에서는 뮤턴트와 야생종의 성장이 확연히 차이난다
- 어떤 의미론 spezifisch
48. control 은 아무런 페토겐도 없음
- 오른쪽 비교를 통해 Toxin 생성은 뮤턴트와 야생종이 차이가 ㅇ벗다
- 즉 SNF1 은 독성을 만드는게 아니라 세포벽 분해 효소와 연관있는 친구다 이말이야
50. 해석은 Cre A Bindestelle 의 여부와 유전자에 대한 페토젠 종간 차이 설명
51. 설명함
52. 세컨트 균사 주목 : 노란막대기. ??
[Toxine und Virulenz]
2. 한 세포가 100개의 host cells 를 umbringen kann
- Epoxid 그룹은 Toxine 에서 자주 발견되는 구조다.
- 오른쪽 : 이녀석은 Windverbreitung
3. wirtspezifisch : Alternaria, Helminthosporium 2가지 Gattungen 이 대표적.
- HC-Toxin : carbonum 은 지금은 Helminthosporium , 오직 이 종만 특정적으로 생성가능한듯
- AM : Alternaria
- HV : victorie는 host?
- T : T Rasse 는, 온갖 이름들은 그래도
- NH zusammengefügt, 한데 이들은 ribosomale Protein이 아니다. Polypeptide 와 nicht ribosomale Peptide 이 두개가 독 중에서 대표적 종류인듯
3. 종특이성에 따라 400,000 배나 도제가 차이난다구
4. AK : 일본에서 왕 난리치는 녀석
- HC : histone deacetyliereung영향을 미친다.
- HM-T : 특히 미토콘드리알레 멤브란에 데미지
5. 공격 대상인 히스톤의 역할과 구조
- Beads on a string
6. B 에 나와있는 구조가 Beads on a string 방울방울 엮여있네. Euchromatin
- C. 가 다른 또 하나의 구조. 특정 구조들은 Gen-Regulierung 과 연관있다. Heterochromatin
7. Deacetylierung 은 크로마틴의 무엇에 영향?
- Acetylierung되어야 Euchromatin이 된다.
- Hetero크로마틴은 강하게 엮여있어서 발현이 안된다는듯
8. HC Wirkung : 아래 병 Northern Corn leaf blight 는 광합성을 못하게 된다구
- 오른쪽 아래 : Histon Deacetylase (HC) 는 유독 낮은
- 공격 기작은 아까 설명했던 데아세틸을 하는데 코딩된 유전자를 발현시키는게 (예를 들어 Abwehr) 아니라 모든걸 발현시켜 엉망으로 만든다.
9. dialysis : 5kda, 10 등 사이즈를 다르게 좀... 이해가 어렵네.
- HC : 악티비텟 터진다ㅏ. 근데 HC가 줄어들어도 L-Aeo 가 아마 영향을 계속 발휘해서 독성이 잔류한다는 거싱ㄴ듯
10. TOXA 에서 HC 를 만드는데 만드는 족족 외부로 보내서 세포막 내에 HC 농도가 안높아지게 유지
- ausgeschieden 이
11. GT : Keimstoff
- AI : Appresorium, MA : 이것도 appresorium 이라는데 '
- 아프레쏘리움과 HC 톡신 생성과 시간적으로 너무 ㄴ낮든다!
12. TOXA 는 톡신 트랜스포터
13. CEHF gene
-+는 톡신 유. 반대는 없음
- 이 실험으로 꽤 큰
14. HTS : unspezofische Prptec
15. 모든 소소한 엔자임, 단백질 등이 어떤 연유로는 관여하고 있다.
16.. 이 단백질 Tetracylain :
17. Virulenz Faktor 라고유-
- SNF 굳
18. 또 다른 Wirtspezifische Toxin : T-Toxin (이게 요음.
- Stickstoff 가 없고 리보조말레 가
- T-urf13 여튼 꼬 큰 문제가 되는 외구긴ㅇㅈ
19. 아래보면 T-Toxin드간뒤로. 완전 재앙이라고
막 정신없이 지나가는데 내가 잠이 너무 와서 다 놓침
25. NPS4 는 기억해줄만할 정도로 큼직하다.
26. 여러가지 색깔, 즉 여러가지 메디엔에서 기른다
- N이 부족한 경우 필째는 독을 스멀스멀?
27. 중간결론 : Wirtspezifisch 한 녀석은 Pathogenitä에도 크고 주요한 역할을 한단다
- 위의 Virulenz 테스트 :
가장 빠른 필째 비룰렌쯔 테스느
- H2O2 는 대표적인 Abwehr anfwlflllllllllllllllllllllllllll
28. PPTase :
29. AAR 은 Lysin sythesize 에 관여한다.
31. in vitro Versuch
32. Mobilitätssschift는 무슨 의미?
- 사실 CgPPT1 의 역할은 -- 이따.
31. D : 류진을 다시 주니까 자란다? PPT1 는 류진비오쥰테제, 멜라닌 비오쥰테제에 필수적이다.
- D 의 여러 관계 해석을 통해 PPT1가 컨트롤하는 요소들을
32.
33. C에서 보듯 멜라닌이 생성이 안되서 뻥 하고 터져버린다... 아주 효율적이다 이말이야.
34. 필째가 식물을 죽이기위해서 톡신이 필요하고 기본적인 내용 쭈자멘파쑹햇다.
35.
'독일 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istenzgenetik] Vorlesung, Übung (0) | 2019.01.07 |
---|---|
Write a Protocol (Lab Report) (0) | 2018.12.07 |
[molekulare Ernährungsphysiologie] Übung (5) | 2018.11.14 |
[Ertragsphysiologie] Vorlesung, Übung (0) | 2018.10.26 |
[Molekulare Ernäh.Phy - I] STP, FTM, PMS (0) | 2018.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