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molekulare Ernährungsphysiologie,
https://en.wikipedia.org/wiki/Apoplast
https://en.wikipedia.org/wiki/Casparian_strip
http://www.robinsonlibrary.com/science/botany/anatomy/roots.ht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1560&cid=60266&categoryId=60266
공부 요령
1. Transporter je nach Nährstoff/Mineralstoff
2. wie Homeostasis erreicht wird
3. Wechselwirkung zwischen Stoffe
- Auxin : 생장력이 강한 줄기와 뿌리 끝에서 생겨나는 호르몬으로, 길이 생장과 세포 분열, 발근을 돕고 곁눈 생장을 막는다. 또한 낙엽, 낙과를 방해하는 등의 다양한 생리 작용을 수행한다. 옥신 농도는 뿌리와 줄기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낮은 농도의 옥신은 줄기 생장에 도움을 주지 않지만, 뿌리 생장에는 도움을 준다. 한편 높은 농도의 옥신은 줄기 생장을 돕고 뿌리 생장은 방해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통해 같은 농도의 옥신이라도 조직에 따라 효과가 달리 나타나며, 옥신 농도 차이에 따라 조직세포에 미치는 효과도 다름
- auxin polar transport : such as gravitropism. This process, which ensures that the root grows downwards, relies on the redistribution of auxin by the columella cells (the cells located at the very tip of the root), Once arrived in the elongation zone, the extra auxin inhibits cell elongation and cause the root to re-orient downwards, parallel to the gravity vector.
- elongation zone EZ : 뿌리가 성장하는 부분
- abscisic acid ABA : 식물호르몬, 생장억제작용. 종자와 구근 발아, 정아 · 줄기 · 뿌리 등의 성장을 억제하고 조직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건조와 저온 등의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높인다
the osmotic stress hormone ABA is required for hydrotropism
- TIR-dependent auxin signaling : TIR 은 옥신 transport 에 관여하는 프로틴
- shootward cytosolic Ca2+ signal : shootward 는 Keimling 이 성장하는 방향을 말하는 듯. upward?
- columella zone : columella 는 a distinct tissue layer in the very tip of the root
- meristematic zone : 분열하는 곳이겠지요
- meristem : 분열조직, the tissue in most plants containg undifferntiated cells Bildungsgewebe
- root apex of the EZ : 근단, root apex = root tip, This growth area is called the apical meristem. A meristem is any part of a plant where the cells divide rapidly, forming new cells continually. The apical meristem is covered by the root cap
- cell-permeant Ca2+ chelator : 킬레이트는 리간드 화합물을 말한다, permeant : to spread or flow throughout,
- ionophore : 이오노포어. 이온운반체 Ion Carrier. 금속이온과 결합하며 지질에 대해 용해도가 매우 높아 세포막 통과를 용이하게 해줌.
- microsome : 세포질 속에 들어있는 작은 알갱이들의 통칭, vesicle-like artifacts, reformed from pieces of ER, when eukaryotic cells are broken-up in the laboratory, microsomes are not present in healthy, living cells
- cyclopiazonic acid CPA : known inhibitor of ECA1, toxic fungal secondary metabolite
- GFP isolation kit :
- Western blot analysis : 웨스턴 블롯 검사... = protein immunoblot,
- ubiquitin : 수명이 다한 단백질에 달라붙어 단백질 분해 과정에 참여하는 단백질, 즉 단백질 분해에 관여
- C terminus of ubiquitin Cub : C 말단. 즉, 단백질이나 펩티드 사슬 끝의 카르복실기가 peptitde bond 에 참여안하는 온전한 부분
- N terminus Nub : amino-terminus, N 말단. 이것도 단백질의 폴리펩티드 사슬에서 끝부분이며
- ER-localized Ca efflux carrier
- ER-localized CCX2 (Ca / Cation exchanger)
단어
1. chemisch
- Carboxyl : 카르복실기. R-COOH 를 갖는 모든 화합물
- hydroxid : 수산화물. -OH- 같는 화합물
- citrate : 구연산. s Zitrat. hydroxyl 을 가지는 carboxyl 중 하나. TCA 회로의 시작물질
- Dissociation : Freisetzung 분리, 해리
- dimerization of ATP binding domains : Dimerization 이합체화. 두 monomer (단위체) 가 합쳐서 2 배의 분자량을 갖는 oligomer (소중합체) 가 되는것.
- Domäne : domain. eine Kombination der Elemente von Sekundärestruktur eines Proteins. Aus dem Abschnitt von Polypeptidkette zwischen 50-350 Aminosäurereste.
- Polypeptide : short chains of amino acid monomers linked by peptide. carboxyl 기를 가진 amono acid 가 covalent chmeical bond.
- Sucrose : Saccharose. 광합성탄산고정의 중간체인 디히드록시아세톤인산(DHAP)에서의 설탕합성은 녹색세포의 세포질에서 일어난다. 우선 DHAP는 엽록체외막에 존재하는 인산트랜스로케이터를 통하여 세포질의 오르토인산과의 교환에 의해 세포질로 이동하며, 과당-1,6-이인산포스파타아제(FBPase, EC 3.1.3.11)나 SPS의 작용으로 설탕이 된다. SPS는 인산화-탈인산 등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며, 설탕합성에서의 중요한 조절효소로 되어 있다.
- polymer : a large molecule, or macromolecule, composed of many repeated subunits
2. Zusammensetzung von Boden
- humus : r Humus 부식질 soil organic matter
- variscit : Al 함유 인산염 Phospat
- apatite: r Apatit 에퍼타이트, 인회석. in high pH -> formation of calcium phosphate
- hydroxylapatite : 수산화인회석. 열역학적으로 생리적 조건 하 가장 안정적인 인산염 광물 (인산칼슘화합물)
- strengit : Strengit 스트렝석. 철+물 인산염광물
3. 세포단위 Organelle, Struktur
- middle lamela : a pectin layer which cements the cell walls of two adjoining plant cells together
- Plasm = Cytoplasm : 원형질. inside of membrane. = cytosol (세포기질) + Organelle (세포소기관, z.B Mitocondria, endoplasmic riticulum 등)
- nucleus (pl. nuclei) : Zellkern. 세포핵(핵). = nucleolus (인, pl. nucleoli, = DNA+RNA+Protein) karyoplasm (핵질) + Chromosome..
- endoplasmic riticulum : 소포체. rough(granular) + smooth(agranular) ER. rough ER 은 besetz mit Robosome (Protein synthese), smooth ER fehlt Ribosome, sondern funktioniert als Herstellung von Lipid, Steroid Hormone, metabolism + Detoxification.
- chloroplast : 엽록체. Photosynthese
- vacuole : 액포
- membrane vesicle : a large structure within a cell, or extracellular, consisting of liquid enclosed by a lipid bilayer
- Suberin : forming a protective barrier. main function is as a barrier to movement of water and solutes
4. Pflanzen
- epithelium : 상피조직. 표면을 덮는 세포
- legume : 협과. 콩과식물의 전형적 열매 형태. a plant in the family Fabaceae (or Leguminosae), or the fruit or seed of such a plant (also called pulse). Legumes are grown agriculturally, primarily for human consumption, for livestock forage and silage, and as soil-enhancing green manure
- root nodule : Wurzelknölchen. 뿌리혹. rhizobia within the nodules, producing nitrogen compounds that help the plant to grow and compete with other plants, where nitrogen is fixiert.
- Rhizodermis : 근피, root epidemi. 뿌리의 표피
- Epidemis : 외피
- Cortex : 피층. between epidemis and endodermis
- Endodermis : 내피
- casparian strip : a band of cell wall material deposited in the radial and tranverse walls of the endodermis, and is chemically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cell wall. The other cell wall : Lignin, without suberin, Casparian strip : Suberin, sometimes lignin also. a boundary layer separating the apoplast of the cortex from the apoplast of the vascular tissue thereby blocking diffusion of material between the two. This separation forces water and solutes to pass through the plasma membrane via a symplastic route in order to cross the endodermis laye
- pericycle : he outer most part of the stele of plants. regulates the formation of lateral roots by rapidly dividing near the xylem elements of the root.
- Plasmodesmata : 원형질 연락사
- apoplast : 아포플라스트. space outside of plasm membrane. 뿌리의 경우 plasm membrane 과 세포벽 사이에 있는 air space 이며 여기로 물이 휙휙 빠르게 움직여 stele 에 붙은 endodermis 에 도달할때까지 간다. 즉, 식물체 내의 살아있는 세포와 관련없는 부분이며 이와 반대로 살아있는 원형질부분은 symplast 라 칸다.
- stele : inside of endodermis. vascular tissue 가 왕 뭉쳐져있음.
- root anatomy :
Transverse Section
Longitudinal section
5. Material and Method
- confocal microscope : 세포 구조를 연구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지만, 최근 반도체 부품 및 재료의 3차원 미세 구조를 관측하는 데도 많이 이용. 시료로부터 대물 렌즈를 거쳐 광검출기에 이르는 빛의 경로상에 바늘 구멍(pinhole)을 설치하여 시료의 특정한 단면을 통과하는 빛(특정 단면의 영상)만을 걸러 낸다. 이 바늘 구멍을 시료의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적당히 이동시켜 입체 영상을 구현
3. Exudation : Exudation. 식물(z.B 뿌리) 에서 내부의 물질이 밖으로 내보내지는 것.
7. concentration gradient : Konzentrationgradient. 농도구배(경사)
8. symplastic, apoplastic, transcellular transport :
* Nährstoff Aufnahme. Proteine in Membrane. 세포막 구조. P, K 은 잘 움직이지 않는다고. 기초화학 - 산, 염기의 차이, 식물 입장에서 어떤 의미. ATP Syntheasen, ATP-asen. Mortor von ATP (Stator?). Type n von ATPasen. Autogenerisch Domaine - Bremsen der ATPase.
Aktive- Passive Transporte und Anion Konzentration, 칼륨 등 농도 변화에 따른 mV (9.50) 발생수준 및 신경전달 단계. 원형질 내
- e Abgabe : delivery
- verbeulen : dent, 움푹 찌그러뜨리게 만들다
- abgelargert werden : deposited. (~에) 위치되다, 침전되다
- Conformation : Angleichung (동화), 또는 구조
- aufgeschoben werden müssen wie Calcium : delayed, defered 미뤄지다, 밀리다
- Trans-membran domain
- r Durchlass: passage, 통로
STP-18_04. Pumps
57. NBF 가 있는 영역은 상당히 invariabel,
58. ABC : ATP Binding Cassette. 중간에 Durchlass,
- ABC Trasporter : Energiequelle ist ATP. ABC Transporter transportiert Substrat innenseite der Zellmembran.
- 식물에서 어떤 물질들이 이를 통해 transportiert_
59. 박테리아가 대표적 예시 : 세포막 밖에서 Nährstoff 흡수, Bindprotein 가 있어서 딱 영양소를 캐치한다 그리고 안으로 들어감.
60. ABC Transporter 는 Genome Umfang 을 봐도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음.
62. GSH - Gly, Cys, Glu. 이건 식물이 Herbizide에 Resistenz 를 가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음. Glytadion 과 결합해서 허비찌데에서
63. ABC Transporter 의 또 다른 예시 : X (Herbizide),
STP-18_05. Cotransporters
3. Grundprinzip. S 는 당이든, 아미노산이든 Substrate,
4. 응용단계 : Symporter, Antiporter. 액포로 프로톤이 들어간다 안티포트의 도움을 갖고 말이지.
5. 예시 : Model of Na*
6. 합해서 12개의 TMD. 프로톤이 등장하니빈둥이 생기고 해기
9. 한번 다시 복습겸 훓은거에 불과함.
STP-18_06_Ion-channels
3. 속도 : 품페. 물론 얼마나 강하게
04. Wo spiel Kannel eine Rolle? : Nährstoff Aufnahme, Signalleitung, Osmoregulation, Membran Potential Regulation 등 4가지 역할을 한다.
5. 그럼 어케 Kannal 이 작동하는가?
7. KAnnal의 구조 및 ㅅㄷㅇ: Sonderheit 는 strain 이 2중막으로 되어 있어서 한쪽으로는 친수성, 한쪽은 소수성이기에 바른 물질을 흡
수
9, 11. Porins in Bacteria : 그리고 식물의 공극과의 차이, 여기ㅓㄱ
12. Beta barrels :
특징은?? 그리고 대부분의 kannel은 살아남기 힘들다.
.Gating,
14. 2004년 노벨상 : Cannal 의 첫번째 결정 구조를 해석
15. 박테리아 : 첫번째 그림의 초록색. 여튼 각자 헬릭스와 필터의 역할을 설명함.
16. K+ : 머리끈처럼 생긴 녀석이 selektivi. 저건 sekectuvuy fueker
18. K+ 를 건드리지 ㅇㄶ=
19. Potassium 채널 동영상 확인할 것. sehr selektiv sein und geöffnet / geschlossen
21. Ion Channel : 핵심은 식물이 이걸 어케 하능가? Menbran Potential
22. 왼쪽 구조를 보면 아래쪽이 teilweise ingeklappt, 오른쪽은 채널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상황.
24. 막 안에 아미노산이 양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이는 shaker-type channel 이라 불림. 왜? 이게 뮤테이션이 발생했을 때 떨림이 발생해서 그렇다는 것 같은데 여튼 사람, 동물 모두의 이 채널은 쉐이커 채널로 불림.
25. 이걸 결정화하고 싶었는데 문제는 이 채널이 flexibel, kompakt, 하다는것. Gummi처럼. 이걸 관찰하기 위해 Antibody를 이용해 고정하고 그 도움으로 crystallization 했다우.
26. 이 구조를 보면 뭘 떠올릴 수 있는가? 젱장
27. Antibody 를 통해 들어올려져서 우리가 분석할 수 있게 벌려진듯. *opened
28. 앞의 실험을 통해 과거에 알려진 그림이 정확하지 않다는 걸 알게됨.
30. Evolution : 이 단순한 칼륨 채널에서 진화를 거듭하여 4개의 도메인이 한 유전자를 통해 발생토록 나아갔다. 다만 이건 동물의 경우이며 식물은 그 과도기적 형태를 띄고 있다. TPC-1(two pore channels) 가 그것.
31. TPC1 : Elektro-physiologische Methode 로 분석했으며 이 양반 노벨상받음. 아직도 독일서 이온채널 연구중.
32. liegt Spannung an. 60 레벨의 반응을 통해 알 수 있는건 한개의 Kanal이 Aktivität reguliert 하다는 것이라고. 이 테스트는 패치그램이라고 불린다.
33. 무슨 자극을 통해 이 채널이 작동될까? 핵심 구조는 Ligand 라고 불린다.
35. 리간드에 칼슘이 붙으면서 구조를 변화시킨다. Interessanteweise 식물의 경우 뭐가 붙는지 모른다고? 여튼 뭐가 unklar noch.
37. 아래는 원형구조이며 ADP 와 같은 당이 붙는데,
36. CNGC 의 구조와 동물/식물 CNGC의 자그마한 차이. 여튼 Binden을 통해 Öffnen
38. 여기서 드디어 PAMP 와 Pathogen Abwehr 설명이 나온다. HR 로 인한 Cell Death 는 하나의 예시.
39. 리간드에 특정 물질이 닿으면 Membran을 Dehnung (Spannung) 한다. mechnically gated 가 그 사례
40. Anion Channel : 좀 복잡하다.
41. CIC type Anion Channel :
42. 두 채널의 비교 개요도 : 오른쪽이 Kalium / 왼쪽이 Anion Channel. 칼륨 카날과 이온카날의 구성물질 및 역할의 공통점, 차이
43. CIC 단백질 중 일부는 H+ Antiporter이다 왜그런지는 아직 잘 모르것다,
44. 이 Antiporter 가 Nitrate 랑 식물의 생리에서 연관이 된다. Nitrate Speichern
46. 식물에 있어서 Anion어쩌고는 Phosphate mobilisation이런거랑 연관됨. Exudation of organic anions by plant roots. 메탈과 땅과 연고나있는 건? Dipozolierung, Al, Sylikate,
47. Aluminium toleranz, : Alumium, als Ligand,
49. 또 다른 Anion 과 깊은 관계가 있는 개념 : CAM 식물. ( 이 식물의 개념은 무엇인가? 사막에서 광합성 어케하고)
50. malate 와 어쩌고들.
51. 아까 42에서 실험했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단위가 좀 더 작다. Tonoplast
52. Anion 의 또 다른 역할 : Schließzelle. 보호의 역할? 만약 Ca 가 Zelle 밖으로 가면 Depolarize (= Spannung fällt. Membran Potential fällt. 즉 상대적으로 neutral이 된다.)
53. 오른쪽 그림 두개 주목.
54. Anion 관련 작용. SLAC 이놈들은 heterogene
* 이온 카날의 원리는 뭐지? 어케 아래로 또는 위로 Substrat 이 이동할 수 있는건가? Spannung in Membran, positiv Ladung
* C-Terminal cytoplasmic domain 과 같이 도메인이라 불리는 것은 뭘 말하는 건가?
* Beta 어쩌고 : Sonderfall von Kanal. 엽록체, 박테리아 등에서 활약. 막 밖에서 작동.
* 말락 카날?
* Zitrat und Anion, 독, Entgiftung, 알루미늄이랑 Phosphate와 관련있음,
* 질문스타일 : 어떤 현상, 원리의 대표적 예시, 증명을 위한 실험,
- Gating by cytosolic pH
- influx / efflux : r Zustrom, r Zufluss 유입 / r Abstrom, r Abfluss 유출
STP-18_07_Aquaporins 세포막 내 물 투과를 결정하는 막 단백질
4. 세포막과 Wasser, Osmosisdruck 등이 거론됨. Wasser permeability 투수성
5. Aquaporin 은 3개의 단백질이 기반이 된다. Asn - Pro - Ala
6. Aquaporin : Tetramer with four pores
7. 초당 1 billion Wasser Molekule 을 투과시키는데 이온은 하나도 투과시키지 않는다고, 어케?? Pore wall is hydrophobic, 그리고 too narrow for hydrated ions.
8. Asn 이 H+ movement 를 막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H+ 는 Solution내에서 릴레이하듯 전달되는데 Asn이 딱 붙잡는다. Asn 은 그리고 pore 의 중간에 딱 붙어있고.
10. Aquaporin 의 작용 : decreased water uptake by waterlogged plants. 그 원인은 pH drop. 더 정확히는 pH에 의해 여닫 히스티딘 단백질. 왜 떨어짐? 몇 몇 설명이 있긴하다... lactic acid und CO2 accumulation 또는
11. pH 에 자극받은 Histidin 에 의해 열렸다가 닫혔다가.
12. cytosolic calcium 이 Aquaporin을 닫는다. 우측의 실험을 통해 훌륭히 증명됐다고 생각하신다고.
13. Factors : cytosilic pH (His 193 protonation), divalentcations (e.g, Ca 2+, Cd2+)
14. Phosporylation ? 그 원리를 P 와 연관지어서 알아놓을 필요가 있다.
15. PIP, Oocytes, K252a, OA, S115A. 이 뮤턴트가 시사하는 바는, 또 다른 아미노산이 개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17. 노둘린26 은 원래 사람들이 Knollen anschalten 에만 개입한다고 생각하던 것이다. 그래서...?
19. Aquaporin 의 역할 : transport of water (20 의 타박실험을 통해 Aquaporin 이 없으면 Trockenheit 에 아주 취약해짐을 알 수 있다우)
21. 물 외에 이동되는 것 : 작고 ungelargert werden. Si OH4 (Kieselsäure), Boren, CO2,
24. Lsi1 - Rice 에서 silicon transporter 로 활약하는 aquaporin
25. Lsi2 어떤 역할을 하나여?? es geht um Anion noch.
27. Lsi2 는 Si transporter역할을 한다. 그리고 Si 랑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건... Bor! (Boron)
즉, Aquaporin-mediated 는 Boron 도 움직움직.
30. Gatersleben 에서 Raps 과 Boron 의 관계를 연구하는 그룹이 있음.
31. 또 다른 작고 저장되지 않는 Nährstoffe?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Dünger.... NH3, Nitrate, CH4N2O 한슈토프????? 항슈토프???
33. 아까거랑 또 다른거 NH3 : pH 낮으면 NH4+ 암모늄 (주변에 프로톤이 넘쳐나니까) 이 실험이 보여주는 건 Hefe 가 낮은 pH 에서는 암모늄만 transported 됐다는 것. 높은 pH에서는 암모니아를 옮겨서 컨트롤 그룹에서 HeFe 가 자랐음을 보여준다. 이 실험을 페이퍼에서 한번 읽어볼것.
36. Aquaporin 은 Chloroplast 엽록체에도 있다네요!
37. carbonic anhydrase 는 여기 말고도 또 등장한다. 어디에? C4 Weg 광합성에서도 등장한다구! 이거 나온김에 광합성 유형 정리해놓는 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다구우!
39. Aquaporin 의 예시들과 위치 전체 개요.
페리 박테로이드 멤브레인???
* Aquaporin 을 레귤레이션하는 Parameter : pH Werte
* 아스파타?
* 포스페이트가 하는 역할이 생각보다 많은듯. 이 단백질 단위들을 레귤레이션하는 좝도 하는 듯. Fast alle Proteine durch Phosphate reguliert werden.
- viele Praktika von Pf-PHysiolodgie ist anschaulich : klar, vivid(선명한), clealy
- transperation
- Guttation : 일액현상. 식물체의 배수조직에서 물방울로 배출되는 수분. 뿌리에서 흡수된 물은 대부분 수증기로 증산되지만, 육상고등식물에서는 수공 · 배수세포 · 배수모에서 배수현상을 나타낸다. 육상균류 등에서도 볼 수 있다. 근압에 기인하며, 근압이 높아지면 물은 수공에서 밀려 나간다. 따라서 배수는 세포의 물 수분퍼텐셜이 0이 되어 흡수할 수 없게 된 시점에서 일어난다. 그 때문에 야외에서는 밤부터 이른 아침에 걸쳐서 일어나고 낮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액현상 [guttation, 溢液現象]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 Schließzelle, Stoma, Stomata : 기공
- Transpiration : 증산작용....
- sucrose moves symplastically in to intermediary cells
- Suberin : 수베린은 식물 특정 조직의 세포벽에 위치하는 복잡한 소수성 중합체(hydrophobic polymer)이다.1) 수베린은 코르크의 주성분이며 코르크참나무(Quercus suber)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수베린은 줄기의 주피(periderm), 목화 섬유(cotton fibers), 뿌리의 주피와 내피(endodermis), 조직의 탈리가 일어나는 부위(abscission zones)와 종자 외피에서 관찰되며, 상처나 환경 스트레스를 받은 조직에 축적,
수베린은 수분, 이온, 가스 등의 수송을 조절하는 방어벽으로 기능하고, 곰팡이나 미생물의 공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한다.
* Suberin : 식물의 오래 된 줄기나 뿌리의 세포벽이 코르크화하였을 때 세포벽 안에 퇴적하는 물질을 말한다. 여러 가지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의 중합체라고 생각된다. 특히 코르크화한 세포벽이 물이나 공기를 잘 통과시키지 않는 것은 수베린의 성질에 기인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베린 [suberin] (두산백과)
질문
- 루프트 블라제?
- 수분 흡수 의 기작은 어케되지? Suberinisierung 은 뭐에 기여하나여
- Sauerspannung, welche Umstände passieren? Trockenheit
- Sonderwege für Wasserverlagerung, Wasserumverteilung Wurzel Rolle hauptsächlich
STP-18_08_Xylem transport
2. Wasser Aufnahme : Wurzel - Wurzelhaar. 흡수 원리는 Suberin 이 관련. 스토마타 관련이 아니었나..?
3. 실제 수분흡수는 Wurzelspitze 에서 대부분 발생함. 이게 가지는 장점 :
5. durch Suberinisierung. Suberin! 특정 성분 Mangel 을 처리하는 식물의 Signalverarbeitung은 컴퓨터와 비슷함. Schließzelle 와 비할만 하다우.
6. Guttation. Veröffnung Stomata 등 아래로 부터 Root Pressure 를 발생시키는 메커니즘 > high soil water, low transpiration rates(?)
7. Keimling 은 루트 프레셔에 백퍼 의존. 그럼 어케 루트 드룩?? Osmose, osmotischer Druck (세포내에 Kaliumbau, 그리고
8. Osmose 원리 :
9. 그외의 Wasser Aufnahme Ursache : Cohesion-Tension Theorie (Tension - Spannung. negative hydrostatic pressure, 전제는 sylinder - Xylem 이 튼튼하고 eng 해야함. 이 압력 측정은
10. 압력 측정 실험 :
12. 왜케 효율적인가? 정맥 구조와 비슷한듯. 왜 gas bubble (Gas Blase) 이 안생기지?
13. Gas Blase 는 Endodermis 에서 filtiert. 그래도 여전히 발생가능 bei Verletzung der Wurzels, bildlich gesprochen.... Trockenheit
14. a. Trockenheit : Steigung 이 가파른 녀석은 아무래도 niedrige Trockenheit. 이 원리를 이해하면 어째서 Tolerenz gegen Trockenheit 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지 이해가 됨. b. embolism c. caviation
15. embolism : 혈전증. 사실 의학용어.
16. caviation : bei Frost. Löstigkeit in Wasser. ㅇ 원리.
18. embolism 막기 : Überdruck 이랑 뭐 그런걸 이용해서
19. Osmotika : 칼륨, Zucker Absammelung. 이걸로 내부 Konzentration을 높여서 osmotischer Druck erzeugen.
22. Driving Force for water loss: ther difference in water vapour concentratino - Wasserdampf, 식물 구조 내에서 발생, 그림참고.
23. water vapour concentration 은 식물 내 Location마다 다르단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abhängig von Luft Temperatur
25. Water loss is regulated by the pathway resistance - Leaf parameter (stomatal Resistance)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air boundary layer (Wind speed) 가 결정요소
27. 아주 모범적인 그림이다.
30. Hydraulic Lift : Water retranslocation. 이게 아마 Transpiration 인듯. 이것도 좋은 그림이구만~
- Proximity : 근접성.
- ananstomoses :
- Apoplasitc :
- plasmodesmata :
- plasmolysis
- assimilation of CO2 14
질문 플로임~
- Sink und Sources
- Beladung Phloem, durch Transporter, Entlassung, Passiv und Aktive transporter
- noch anderes Model von
- Polymerisierung, Oligomisierung
- Haphinose ??
- Mit Plasmodesmen Zucker transportieren
- auf welchen Basis transport Phloem, Was ist Bases des Phloems : Osmotika rein und um,
- in welchem Weg sink wieder raus? verschwumm? 중간으로 왔다가 스르륵 퍼지는데...
- Mikroskopie im Phloem. wie Übergang Blatt als sink zu Blatt als source und
- präferentiell dient
STP-18_09_Phloem
3, 4. Struktur von Phloem : transport SE, CC(Companion cell) 은 symplastically 주변 조직들로 부터 분리되어 있다고.
5. Development :
6. Solute distribution : 어디서 받고 어디로 주는가? mature leaves, st
7. 이 그림은 식물의 Nährrichtung 을 P32 를 통해 모니터링한 것이다. 프린찝은 자명함 뿌리 줄기 잎 여기서 마지막까지.
8. Development hängt davon ab, welche Entwicklungsstadium sich Pflanzen befinden.
- 14CO2 를 통해 Sink-Wettbewerb 을 추적해보니 아래와 같이 우선순위가 발견됨.
9. 나름의 Dynamik 이 존재한다. 근데 왜 이렇게 되지?
10. Münch pressure-flow model : lebende Zellen, aktiv, rmfjsk mass flow passiv (driven by osmotically Pressure), 그리고 이거를 위해 쓰이는 에너지는
11. 어케 테스트?? CO2 14 가진 잎을 Chilling 아주 낮게 온도 맞추고 Verlargerung을 관찰(CO2 14 가 있으니가 관찰가능). 근데 낮은 온도에서도 결국 초기 농도와 비슷하게 유지 즉 aktiv 한 역할보다 passiv한 녀석이 Mass flow임을 간접증명
13. Phloem 셈플채취 : 보통은 damaged Phloem 은 바로 sealed 되지만 안되는 녀석도 있어서 이런 cucurbits, Ricinus 등에서 bleeding 셈플 채취.
- EDTA
14. Aphid 진딧물이 pholem 샘플링에 사용된다. 물이 쏘옥 나옴 Tropfen.
- 근데 너무 작고 바로 증발해서 실제 농도가 바뀔 수 있으니까 오일을 이용해 막는다.
- 요새는 레이저
15. transported Zucker : Saccharose, (nicht Glucose, 왜 어떤 당은 운반되고 어떤건 안되는지는 아직 정확하게는 모른다우)
19. 운반되는 프로틴 : 그림을 통해 Versorgung 에서 작게 퍼져서 sink 되는걸 볼 수 있다. (sink leaf, mesophyll) 질문은 어떻게 이 큰 프로틴이 Phloem 밖으로 움지이나. mesophyll zelle 가
21. mRNA 는 Phloem 을 통해 움직임인다 -> Bedeutung : 식물체 전체에서 다양한 현상의 원인이 다른 곳에서 생성된 물질일 수도 있다??
24. companion cell 유형 : ordinary (few or no plasmodesmata), Transfer cells (각 세포들이 붙어있으면서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은 Oberfläche 표면적이다. Oberfläche zu vergrößern, 세포간 물질 교환이 용이?_
25. Apoplastic phloem loading : Kotransporter, Symporter 가 notwendig 이 그림에서 세포벽 간 물질교환을 위해서.
27. ATP-dependent Sacarose transport : Ladung potential 이 원동력
28. 그래서 테스트는 Ladungerfassung 을 해본다. 무슨 의미인가? 초기 100mM 은 식물이 항상 유지하던 평형. 그 상황에서 갑자기 뛰니까 (물론 이런 상황은 식물입장에서 anforderlich 할 때이다.)
- 식물이 이렇게 빠른 속도로 반응해서 막, 벽간 품페, Domäne, Kanal을 이용해 물질교환을 할 수 있는 것은 식물이 단백질들로 Aktivität이 강화된 Pumpe 덕분. 이건 모든 Folie 전체의 종합같은 결말
- 각 Stadien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할 듯. 기존 100 보다 더 내려간 건 그렇게 내려가야 ATP가 다시 돌아...????
29. Immunolocalization :
30. 실험의 의도 : 사카로제 를 통해 작동하는 트랜스포터는 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이다 이말이야
32. 여기서 그동안 있었던 의문 : 사카로제 트란스포터가 작동하기 전에 애초에 여기에 필요한 사카로제는 어떻게 벽을 넘어 넘어왔능가?
33. 이 실험이 시사하는 바 : 사카로제 운반은 안티포트, 즉 엑티브한 반응이 아니고 단지 사카로제를 옮겨 세포내 농도 평형을 맞추려는 수동적 passiv 반응이라는 것. 아 어렵다...
34. Intermediary cells : 마지막 companion cell type. numerous plasmodesmata. 이런 걸 Type 1 species 이라칸다.
35. intermediary cells 포함한 schema. 맨 끝에 Accumulation되는 곳 말고는 말하자면 offenes System.
37. 어케 Zucker 가 translocated (=verlargern) in Phloem : Größe der Zucker 에 따라 일단 verlargert 될지 어떨지 의 Parameter가 된다.
38. Polymer-trapping (Polymer-Fallen) model : intermediary cell 과 sieve elment 는 frei zugänglich
40. 식물의 Phloem Type 별 구분 및 예시
41. plasmolysis
43. from sink to sources : Umschaltung ist graduell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그 시작은 Blattspitz 부터.
45. 위의 저 변화는 plasmodesmatal morpholgy 의 변화도 동반한다우
47, 48. 영양물질 확산 모니터 결과 이쁜 사진들이 나왔다우.
49. Pathways for phloem unloading and short-distance post-phloem transport
- in Samen (seed)
50. Sucrose의 그 다음은? 3가지 가능성. invertase
51. 감자의 경우, Switch from apoplastic to symplastic phloem : Knollen 이 되는 과정에서 사진에서 보듯 Tuber 부분은 전부 symplastisch 하고 끝에서 쇽 하고 솟아난 stolon 은 원래 뿌리답게 apoplastisch 하다. 이 상태가 영양을 저장하는데 훨씬 effizient 하다는 듯.
- Gradient :
- Affinität :
- Auxin :
- Oocytes :
- Nitrat antiporter
- translocation :
- FAD : Flavin adenine Dinucleotide. 여기서 Nucleotide 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 구조를 알아야 FAD 가 이해가 됨
- transcription :
- cystein :
- Ferredoxin :
- Plastid :
- Peroxisom :
- Photorespiration :
질문
- wie Nitrat aufgenomen? - durch symporter
- 어케 이 스위치가 Nitrat Aufnahme 에 있어 켜지나 - Phospho..
- Besonderheit von Nitrat Aufnahme : Schaltung der ... , Auxin transport, dual Transceptor (Nitrat Assimilation)
- 암모니움 흡수의 Besonderheit? - 인과 연계됨, 어떤 경우 트랜스포터 작동 안하고,
- N Assimilation 의 형태? - aus Nitrat, 메카니즘 과 Verlauf,
- 파라독신이 개입하는 상황은 어디서 발생하나? wo involviert? - Chloroplast,
- 파라독신이 개입하는 다른 Nährstoff?
- Nitrat Reduktase 가 갖고있는 Funktion außer Nitrat Reduktion? - NO, NO 등 in Prüfung wichtig
- Phosphorylierung 만으로는 바뀌는게 없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암모늄에 참여하는 중요한 2가지 아미노산은? 글루타민, 글루타맛
- 글루타맛은 어디서 왔누? GS, GOGAT
- in welchen Umstände 2 Möglichkeit
- 뿌리, 잎
- 어떤 상황에서 NH3 톡신이 사라지누- 옥시디나아제,
- Serine 은 어디서 등장하나요 어디 사용됨?
-
FTM_18_01_Nitrogen (Stickstoff) - 큰 그림이 부분적으로 완성되면서 폴리가 진행됨.
1,2 Wiederholung
3. 식물이 필요한 물질들
4. 평균적으로 식물이 가지는 Mineralstoff : 80-90% Wasser, 남은 부분중 >90% Trocknenmaterial O,C,H, 그 다음으로 N, K, Ca, Mg, P, S, 뒤따라서 Zn, Cu, Cl, B, Fe, ..
5. N : DNA 등 여기저기 쓰임. (어디에 주로 필요할까?) CHO 다음으로 quantitatively 가장 중요한 Elemente. 식물은 Nitrate, Ammonium, Hanstoff, Aminosäure(Peptide, 이건 아주 춥고 특이한 환경의 경우)
- NO3- : durch Mortor im Zellwand
7. nitrate 흡수가 membran Potential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 각 흡수때마다 mV sankt. 이걸 해석 -> mehr positive Ladungen -> 하나의 Nitrat Aufnahme 에 1개 이상의 Proton (H+) 가 필요.
- Verhältnis nicht linier
10. Nitrat 흡수는 2가지 별개의 흡수 기작이 존재
- 낮은 농도 - HATS
- 높은 농도 - LATS
- 둘의 Bewegung 은 다르다. 하나는 로그함수적, 하나는 선형적.
12. 이런 다양한 기작은 결국 식물의 Anpassung 의 결과이지요
13. Chlorat 의 흡수 기작은 Nitrat과 흡사, 이걸 이용한 Urkraut 라는 Herbizide 는 지금은 금지됐는데 이녀석은 Nitrat 흡수에 Mutation 을 유발했다. 그 과정에서 처음으로 Nitrat Aufnahme-Mechanismus 가 밝혀짐
16. Nitrat Aufnahme를 관장하는 Transporter : NRT1.1(CHL1). Mutant 를 이용해서 트랜스포터의 정체를 구체적으로 밝혀본다우.
- NRT 1.1 여러개의 Besonderheits 갖고 있다.
17. NRT 1.1 (CHL1) 은 dual-affinity nitrate transceptor (Transporter + Receptor) 다 이말이야.
18. 아욱씨?? (식물성장호르몬의 하나 Auxin) 과 같이 NRT 1.1 은 뿌리 말단을 자라게 한다.
19. Nitrate competes with auxin for transport by NRT1.1 ?
20. Model : NRT 1.1 (CHL1)
24. 왼쪽 그림은 klassische Kinetik unter geringer Bereich 이때는 흡수가 빠름 radikal. 반면에 in höhen Bereich langsam.
- K 과 암모늄은 사실 비슷한 Größe 덕에 비슷하게 흡수가 가능. ㅇ
- 왼쪽 흡수는 카날을 이용한게 아니라 사실 Transporter 를 이용했다. 무엇을 어케?
25. multiple ammonium transporter : Hefe 에 뮤턴트를 줘서 실험.
26. different isoform 실험 : 500 암모늄에선 12, 12, 13 에 대해선 잘 작동한다. 사실 성장 Wachstum 은 간접 파라미터이다.
27. 24에서 보여준 결과를 분자적으로 설명하는 폴리. 시사하는 바 : 식물은 더 배가 왕 고플수록,
- durch Phosphoryation (Phosphomlierung) 을 통해 단백질 단위에서 reguliert
29. 인이 있고 없고에 따라서.. Regulation ist sehr schneller,
30. unter welche Umstände muss Pflanzen ihre Phosp... Aufnahme beschleunigen und muss Pflanzen Aufnahme Ammonium unterdrücken? 일단 암모늄은 사실 일종의 독이다. 어떤 상황에서? pH Werte 가 낮아질 때겠죠,
- Kinase reguliert
30. toxic 한 형태는 methyl-Ammonium
- 야생종과 실험 종들의 차이가 왜 나능가.
- 아래 그림에서 CIPK23#3 과 cipk23 을 비교해서 어떤 Gen 에 발생한 Mutation 이 무엇에 verantwortlich 한지 밝혀낸다.
31. Aquaporin 이 암모니아 NH3 transport mediate
33. Assimilation : 그림 아주 이쁘네. 이걸 위해 식물은 Nitrat 을 Reductase 를 이용해 Reduktion 을 한다
34. Welche Kation lässt Anion hoch : Kalium
35. K 은 zykliert. 이걸 위해 organische Anion 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Malate 을 이용한다.
36. Reduktion : Aufnahme von Elektron
- Mo : Molibden, Co : Co-factor, Heme-Fe : 헤모글로빈에 붙은 철과 비슷.
- NAD(P)H : Elektronträger, verwendet in Photosynthese auch
- FAD : Flavin adenine dinucleotide
37. FAD 는 chemisch ADP 에다가 Roboflavin 이 붙은 거다. Riboflavin 은 Vitamine B2 로도 알려져있으며 우리는 먹어야되고 식물은 알아서 합성할 수 있다.
39. reductase gene는 nitrate 을 통해 induziert.
40. Kinetik ist verschieden
41. Tag Nachtgang. Aufnahme durch Nacht
42. Signal : biologischer Uhr (Circadian rhythm),
- 어케 Enzyme reguliert? 또 다온다 Phosphorylation (Phosphorylierung) 뭐만하면 인이 레귤레이션에 참여하는구나!
44. redutase 가 Phosphorylierung 을 통해 어떻게 구체적으로 활성을 얻고 잃는지 묘사.
47. NO 는 동물, 식물에 있어서 Signalstoff 이다.
- Mit Reduktase -> NO3- 가 NO2-, NO 가 됨미
48. NO 는 꼭 이거뿐만 아니라 여러 상황에서 식물에서 생산된다 generated.
- von PAs, L-Arg / NO2- 의 2가지 큰 Verlauf 존재.
49. NO 의 역할 : Hypersensitive Response 에 큰 역할
51. 여러 Prozess, Gene 가 NO 에 의해 reguliert. 그냥 엄청 다양다양
52. Cysteine 이 관여한다.
54. Ferredoxin : Fdx. 광합성 마지막 부분에 등장하는 친구.
56. Nitrite (Nitritie) redutase reaction : 빛과 관련이 있다.
57. Spinat 으로 보는 식물 내 Nitrate assimilation 의 하루 의 농도변화. 싱기방기
58. 남은 단계는 Aminosäure Aufbau. 크게 Säuregruppe, Aminogruppe
- an eine bestehende Amonosäure
59. 암모늄은 Glutamine synthetase 을 통해 assimilation 된다고.
- Glutamine 의 원재료가 되는 Glutamat 은 어디서 왔누
60. GS -GOSAT Zyklus : 이 부분은 좀 복잡해서 학부 폴리에서는 빠졌다.
62. 복잡복잡...
63. Gerste 를 어둠에 둔 상태로 관찰하며 NH3변화를 관찰 - GS2, GOGAT 의 유무에 따라.
- Robisco : CO2 Assimilation 에 관여하는 Enzyme von Pflanzen. O bedeutet Oxiginase (탄소 뿐만 아니라 이 효소는 산소와 관련있다 이말이야)
64. Rubisco 의 Oxygenase activity : 언제 이 난리가 일어나나? Unter Trockenstress (Stomata schließt) 특히 발생.
68, 69. Peroxisom 도 등장해서 광호흡 시 NH3 암모늄의 사이클을 설명한다.
- 광합성, 광호흡 등 전반적인 식물세포 생리에 대한 상식이 필요. 순서, 필요 Stoffe, 관여 Hormone, Enzyme, 그리고 이 놈들의 구성요소 Amino säure 등. 그림으로 설명
- 왜 광호흡에 NH3 이 들어가있고 어케 도는지는 알아야 하지만 이 전체 그림을 외울 필욘 없다우.
71. Zusammenfassung mit GS1, GS2
- 위치차이, 발현 위치, 작용(과정)
74. Phenotype 으로 보자. (실험 Fdx-GOGAT),
- Ausschaltung - Fdx GoGAT 을 통해 알 수 있는 건 의외로 Fdx GOGAT 이 주요한 역할을 하지만 primary Nitrogen essential 에는 essential 하진 않다는 거다.
77. 질소 농도가 또 너무 높으면 Keimling 의 성장을 오히려 저해한다.
78. 암모늄 동화 이후에는 그럼 무슨일?
79. Transamination durch Aspartate aminotransperper
80. 낮과 밤의 Asparta
81. Kreislauf
82. 아스파라긴은 슈파겔에서?' 뭐라했는데
83. 중요한건 Grundverständnis (막 다 외우기보다) : 땅에서 뭐가 들어오는지, 어떤 Gene 가 관여하는지, 물질 변화의 개요, 물질이 어디 쓰이는지, 주요 Enzyme 은? 그리고 각 요소를 어떻게 실험했는지 (실험설계는 사람이 뭐에 궁금해 햤는지, 한계를 보여준다)
- tonoplast
- Spross, Keimling : shoot, 새싹
- in gegenwart von
질문
- Elektron aufnehmen 해야하는 영양소? Sulfur, Eisen,
- 어떤 형태로 황이 땅에서 흡수되나
- ATP, APS
- reduzieren 시키는 녀석?
- 많은 전자가 황에서 übertragen. 술피트 , 술피드. 그 전자가 어디서 옴? 페로독신
- 황이 오는 최초 어쩌고 - Cysteine ... 그리고 OAS
- Rückkopplungsmechanismus
FTM_18_2_Sulfur
2. 왜 황이 한동안 우리의 관심사가 아니었지?
- Raps
3. Vergilbung,
4. Produktqualität 예를 들어 빵의 Krumenelastizität 에 관여한다. die Frage ist, Wieso?
6. Protein ist auf RNA kodiniert. Schwefelmangel -> freie Aminosäure
- RohProtein in Getreide : 만약 황이 부족하면 Aminosäure 가 frei 해서 RPG 은 같아도 qualitativ schlecht 할 수 있다. Korrelation이 중요함.
- 이 외에 freie Aminosäure 가 초래하는 사건사고 : Bildung von Aklamid ?
7. S 는 가스형태 SO2 또는 토양에서 SO4²- 로 들어옴미.
8. Sulfate Transporter : SULTR
- Wurzel : N 흡수와 비슷하게 낮은 농도에서는 high affinity, 높은 농도에서는 low affinity
- Blatt :
11. 실험 :
12. Overview of sulfur assimilation
- SO4 2- , SO3 2- , S²-
13. 1번 타자 : ATP Sulfurylase für assimilaiton
16. in Raps, Senf, alle Kohl 에서 Glucosinolate 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Null-Null Sorten, (Erukasäure - 독, Glucosinolate - 기름을 다 짜고 남은 걸 동물들한테 사료로 주는데 있어서 문제가 되는듯)
- Glucosinolate 는 또 동시에 옛날에 토끼들이 좋아해서 문제가 됐다고... (잘 들은건지 ㅎ모르겠다)
17. Glutathione..?
18. Sulfur 를 갖고있는 물질들
- eine oxidiert, andere redukziert. -[
19. 오른쪽 을 보면 Gutathione selbt Elektron abgegeben (GSH -> GSSG)
- S2H 는 relativ toxisch. 그래서 반드시 assimiliert 되야함요.
20. Acetylserine - Serine 는 Aminosäure 의 한 종류.
- Acetyl-Coa 는 S 를 갖고 있는 녀석.
- Grundgenom ko-ordiniert )
22. Methionin : 또 다른 S 가진 아미노산. Methylionisierung 인가를 할 때 쓰임유.
23. Cysteine 은 Schwefelversorgungsgrad 와 관련있다.
식물의 Peptid는 보통 리보솜에서 RNA 에 의해 만들어진단다. Glutathione 는 엔자임에 의해 생성되는 Tripeptide
25. 글루타디온 의 생성기작
26. Glutathione의 식물내 역할 : Reduktionspotential. 근데 이게 있으면 뭐가 좋지..?
이 뒤로도 여러 역할들이 있음 대부분 Reduktionsfähigkeit와 연계되어 있다.
28. 제노바이오틱의 디톡스 : Herbizide 와 결합 (Herbizide + GSH = GS-Herbizide) Vacuole 로 가서 저장, 분해됨. 무장해제시킨다.
29. Vacuole 로 잡아넣는 과정에서는 ABC-transporter 가 수고해주심.
31. Gly, Cys, Glu 로 이뤄진 Phytochelatin : Cd 과 연관. 중금속 Schwermetalle 의 독성 Entgifftung 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심.
33. Glutathione
- belasten :
- depletion :
- silencing RNA :
- messen - er misst
질문
- 식물이 인이 부족할 때 어디서 떼다가 쓸까? 포스포리피드에서 술포리피트
- 중요한건 이 Zyklus 가 움직이고 어떤 분자가 핵심역할을, 누가 누구를 regulieren
- 인이 부족할 때 식물의 뿌리는 어케 morphologisch 변하나? Seitewurzel 만들고 Hauptwurzel 은 줄어든다
- 왜 어떤 영양부족때는 뿌리가 길어지고 어떨땐 짧아지지..? hypotheoritisch, da für Pflanzen vorteilhaft ist.
- 인이 부족할 때 생리학적 기작은?
- 인이 아주 없을 때? 포스파타제
- 언제 mRNA 발동시킴?
- 우비쿠틴
- doppel negativer Regulation, 계속 miRNA schalten 하면 2가지 toxin
-
FTM_18_3_Phosphorus
3. P 부족시 : Anthocyans Accumulation (Kälte 또는 인 결핍 시 Dunkel Reaktion이 빠르고 원할히 돌아가지 않는다. 효소랑 뭐가 관련있는듯. 여튼 그럴때 이런
6. 어렵다... Umschaltung für Phosporusmangel. 갈락토리피드 로써 막에 들어있는 걸 비상시에는 갖다쓰는데 당연히 이러면 Nebenwirkung이 없을 수가 없다. 멤브란에 발생하는듯
10. 위의 전환을 SQD2 를 통해 실험하는데 P Mangel의 경우 확실히 이 유전자가 결핍된 녀석은 성장이 야생종에 비해 쉣이다.
11. P 부족한 녀석의 의미 > 핵산도 적다. 즉, weniger RNA, .
- 그리고 여기서 알 수 있는건 P와 연관해서는 Lipid, Nucleic acid, Easter 이 세개가 급격히 올라감을 알 수 있다. 즉 필수적으로 식물에게 필요하다는것. 반면 Inorganic 형태 (inorganic orthophosphate H2PO4 -) 는 필수적이지 않고 단지 Vacuole에 저장되는 형태임 을 알 수 있다우. 그럼...
12. P 가 Saatgut (Samen) 에 저장되는 형태는 사실 동물들에게 주요한 Auswirkung 을 한다. Tierernährung 또는 인간에게도...
- Phytate 형태로 저장되어 있음 : 퓨타트. 근데 이 녀석은 6 negative Ladung 을 갖고 있어서 Eisen, Zinc 등과 결합해버린다. 그래서 인간, 돼지 등은 Energiemangel 이 아니고 Mineral-, Vitaminemangel 리지코가 있다!! (특히 entwicklungsländer)
- 이걸 극복하기 위한 것이 퓨타진 : 퓨타트 형태가 아닌 spaltende Form 으로 Saatgut 에 P speichern 하거나 아님 낮은 농도의 퓨타트만 냄기거나.
13. Samenvorrat
15. 초기 차이의 의미 : Transporter 의 Affinity 차이. 옥수수는 낮은 농도의 흙이기에 초기에 쫙 빨아들이는 형태로, 일단 Wurzelhaar Länge 가 초기에 마이스에 비해서 Raps 가 2배 정도 길다.
16. 즉, P 와 Root hair 는 나름 유의미한 연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동시에 Wassergehalt 역시 연관이 있다구.
- Phosporusversogung verbessern dadurch : 형태학적으로는 Mycorrhiza, 토양 산화 (또는 환원???? 뭐라했는데..)
- 신기한건 호주에서 거지같은 생태계를 대상으로 P 효율을 식물들에 테스트해보니 가장 효율적인 녀석은 오히려 뮤코릿쩌가 아니었다는 것. 아마 특정 Konzentration 을 기준으로 식물이 아주 다른 방향으로 적응을 하는 걸지도.
17. Proteazen 과 비슷한 뿌리란 의미의 Proteoid roots : 남아프리카에 있는 식물종류.
18. Hauptwurzen, daneben ganz ganz viele Seitewurzel : P 가 extreme gering 한 곳. 심지어 Mycorrhiza 도 없는 곳이라서리. 동시에 Hauptwuzel 은 줄어든다 eingestellt.
20. low P availability : Ansäuerung 도 하나의 방법.
22. Response to low P : 메타볼릭, 형태학적, 생리학적 반응이 따른다. 그 외에 P Transporter 의 영향이 발생
23. 부족할 때 막 elektron Potential 변화 유발
24. Le : Tomate. 이 실험으로 뭘 보는거지..?
25. Split root EXp : 뿌리하나는 인 있는곳에, 하나는 없는곳에 놔두면 Le유전자가 어케 발현될까
- 결과를 보면 한쪽에서만 흡수가 되더라도 전체 식물이 반응한다. 즉, 그 부위만 특별히 변화하기보다 systematisch 하게 반응함
26. 이런 식으로 영양을 mobilisiert 한다.
- 많은 식물들은 Nahrungsmangel 에 대응하여 주변으로 Aminosäure를 내보내서 pH 를 떨어뜨려 흡수율을 높이려 한다. Abgabe
29. Phenol 반응 : 페놀은 unspezifische Toxin이다. 근데 왜 이걸 내보내나? 이걸 이용해서 Rhizosphäre 의 박테리아들을 unterdrücken 한다. P 같은 영양은 박테리아에게도 아주아주 중요한 Nahrungsquelle 이기 때문에 말하자면 경쟁하는 것이다.
30. Phospatase Einfluss am Boden : 식물이 P 를 이용하도록 만들기 위해 zu nutzen mobilisieren durch Phosphatase
- man messt Verfügbarkeit von P im Boden durch CHL (Calcium .. ), oder DL 어렵네용
32. MYB transcription factor : in Prüfung wichtig
- Expression der RNA : Flecken von Fotos links
33. System der Reaktion bei P Mangel : SUMO 는 주요한 단백질임. 뒤에서도 계속 나온다.
35. SUMO 에 의해 PHR1 이 활성화되고 이 녀석은 micro RNA miR 을 타겟으로 함
36. micro RNA : Gene silencing ?? 이녀석은 RNA 의 뭔가를 zerstören
38. miR399 가 그럼 뭘 하고자하는거지? direkt involviert mit Transport.... 왜 독성????
39. E2 ubiquitin-conjugating enzyme (PHO2) : proteine, für den Abbau markiert 근데 뭘 Abbau 하려고 함?
40. 생성된 miR399 는 Phloem 을 통해 뿌리로 간다.
41. ubiquitin : 궁극적으로 물질을 분해해서 unaktiviert 하게 만든다.
42. Überexpression von miR399 und E2 :
45, 46. 100프로는 아니고 80프로 정도 매칭한다. Mimicry in genomicher Teil
48. IPS1 / At4 는 hemmt miR399 . 정확히 왜 이게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딱히 언급안하심. 아마 아직 우리는 잘 모르는 부분인듯.
* 항상 나오는게 엔자임 컨트롤에 P 의 영향. 끝도 없이 나온다.
- Beladung von Kalium im Phloem :
- aperture : 구멍 Öffnung, Apertur
- ausgleich
질문
- 어떤 방법으로 칼륨이 식물로 흡수되나 2가지
- 150mM 칼륨 이거
- 칼륨은 플로엠에 큰 역할을 하는데, - 말랏, organische Anion
- deswegen wenige ATP, 프로톤 관련 플로엠 내부의
- 또 다른 트랜스포터 : Hkt1 여기서 밀의 트랜스포터과 비교
FTM_18_4_Kalium (Potassium)
2. 물이 충분해도 칼륨부족해서 흐르르 시들었다.
3. K 은 stomata의 개폐를 컨트롤하는 guard cell 공변세포 에 쌓인다. 즉, 이녀석들에 중요함. 없음
4. Funktion : 효소 엑티베이션.
- 표를 통해 Stärke der Aktion hängt von Kalium ab. 특히 칼륨의 역할이 큼, 그리고 Rb, Cs, NH4 를 통해서도 어느정도 ersetbar (nicht 100%)
- Na, Li 은 별 역할을 못하는데 왜그렇지? 근데 Li 은 요새 Salzresistenz 연구에 주요 테마라고.
5. Funktion : electrostatic equlibrium = Regulation des Membranpotential
- 광합성에 있어서 pH 는 주요한 Regulationsfaktor(=H+), 그리고 칼륨은 이녀석의
- regulatorische Zweck 에서 쓰이는 것들 K+, H+
6. 틸라코이드 멤브란에 K 에 뮤테이션 발생시키면
7. 에서 보여주듯 Photosynthese 가 그지가 된다.
8. 다른 놈들에 비해 좀 나은게 칼륨은 assimilated 되지않고 항상 K+ Kation 으로만 식물에서 쓰인다.
- 그래서 미네랄상태 녀석도 organic matter 아니더라도 바로 사용이 가능
9. 흡수과정이 그래서 생각보다 단순. Root - Xylem - Phloem, 또는 durch Stomata
- Transport Protein : 칼륨 Pumpe 는 식물은 없고 대신 Sympoter, Antiporter
- 엽록체와 외부를 나눈다했을 때 Proton Pumpe 가 외부 Proton Konzentration 더 높게 유지시킨다. ATP 써서.
- in Zelle negativ gennant 하니까 K+ 가 안으로 숙 들어간다고. 아주 기본적인 내용이라네요.
10. Prinzip der K Cannel Selektivität : 설명이 뭐시 길다.. 구조적 특성. ohne Energie Material überspringen
16. 채널 연구를 하기 위한 가공과정 패치 클램프 테크닊!!
17. Messungen : weniger Spannung an Membran 이면 wenige Flusse, höhe Spannung 이면 많이 흐르고.
18. 채널에 뮤턴트를 준 akt1-1 를 이용해서 실험 뿅뿅
20. SKOR channel : 오직 Wurzel 에서만 발견되는 Stele Kalium Outward (Außwärts) Rectifier
22. Spross 의 단면을 잘라서 거기다가 K+ 농도 Messung :
23. 식물의 칼륨 저장은 undirectional 즉 돌고 돈다 이말이야.
26. AKT2/3 K+ Channel 뮤턴트의 경우 >
- Assimilat Transport 와 칼륨의 관계 :
27. 어떻게 칼륨이 Phloem 으로 들어가나 누가 매개하나요
29. Battery = Energiequelle
- Assimilat in Source (Gajdanowicz 2011 동영상) -> 칼륨과 쭈커가 소스로 들어옴 -> 쭈커 가 sink로 Phloem을 통해이동하며 그 와중에 몇몇 쭈커는 밖으로 나가기도 하는데 이것도 다시 잡아서 들어옴 -> 이걸 들어오면서 Phloem의 ATPase 땜에 H+ Gradient 문제? 불균형? -> K+ 가 Phloem 으로 빨려드가고 거기서 밖으로 나가 Nebenzelle 로 들어간다. 호오
31. K+ Channel GORK : K+ ins Schließzelle fließen lassen.
- GORK 에 뮤턴트를 주니까 스토마타 구멍 크기에 문제가 생김
32. absinkende Membranspannung
- Anion Kanal Aktion (S type) : 스토마타 구녕 움직임에 큰 역할.
- 이 관계 외에 많은 교과서에서 언급되지않는건 Vacuole in SchließZelle 이다!
33, 34. 스토마타 Schließung 을 위해 TPK 로 작동되는 Vacuole 의 Osmotika 교환이 필요
35. 그 외 식물의 K Kanal : TPK . 칼슘 리간드
38. KUP HAK KT 는 Kanal Familie 그룹이다. 좀 합쳐도 될텐데 과학자들이 이건 내가 발견한거야 뭐 그런 사소한 경쟁의식 덕에 이런 숫자의 카오스가 펼쳐짐
39. Epidermis, cortex, stele
41.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는 뭐 별 상관이 없다. 의외로 루비듐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 차이가 큰데 그 이유는
- 측정은 실험 전 후 다 하고 그리고 미텔wert를 때리는데 흠 루비듐이 칼륨을 대체하는건 알겠는데 그래도 왜 차이가 나지?
42. unter hohe K+ Konzentration : AtHAK5, AKT1 가 주요한 Weg 이다우. 19번 폴리의 100um 성장 그래프 참고하여 오른쪽 그림을 볼 것.
- 이 결과의 원인은 Medien 이다!!!
43, 44. K+(Rb+) durch HAK 트랜스포터는 암모니아에 의해 inbitiert 되니까!!!! 근데 왜 그런지는 잘 모름요.
nicht reproduzierbar,
- 이 두 실험의 상반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실험의 결과가 실험자의 실수에 의해서 일어날수도 잇지만(근데 이건 nicht reproduziebar) 지금처럼 Umwelt, Medien 등에 의해 알게모르게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48. trh 뿌리가 짧게 자라는 뮤턴트.
49. 즉, 뿌리 hair 성장이 Rb+ 흡수를 결정한다고 알 수 있지요.
51. 뿌리털 성장에는 당연히 호르몬이 영향을 줄거지요, Auxin
- 실험에서 exogene Auxin 주니까 trh 에서도 뿌리털 슝슝 - exogeneous 란 외부에서 medien 처럼 부어준단느건가?
- 카비트로비스무스 Wurzelwachstum nach Erderichtung 이 trh 에서는 결핍된다
52. trh 는 말하자면 indirectional parameter..?
53. TRH1 는 사실 옥신 트랜스포트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녀석이란 것이다! 칼륨, 루비듐이 아니고.
- 어쩌다보니 이렇게 간접적으로 드러났다구
- Weizen 에서도 비슷한 스토리가 있었다고 (아직 퍼블리싱되진 않음)
56. Weizen 에서의 K
- mit verschiedenen Medien
57. TaHKT1 는 Na+ 에 있어서도 cotransporter 임미.
- eine Ion wird von anderer Ion gefordert.
58. ?? 뭔소리임
59. AtHKT1 은 나트륨을 Phloem 에 저장하는데,
60. 위의 메커니즘 덕에 NaCl (Salz) 스트레스에 훨씬 잘 버틸 수 있다. 딴데로 옮겨놓으니까.
- Cytosol :
- oscillation :
- unter welchen Umstände : unter which circumstances
- Ca signal in the nucleus
- knock out : knock aus
- Ca efflux / infflux :
질문
- 칼슘의 식물 내 역할 : 구조, Signal für Stress
-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한 칼슘의 농도
- 그룬트레겐, Fortpflanzen, : Ca concentration, TPC1,
- O2- 를 H20 로 만들고 다시 세포내로 넣고. 특정 엔자임이 이 반응을 세포막쪽에서 관장하는데
- systemisch Ca Signale
FTM_18_5_Calcium
2. Bacteriabefall 처럼 보인다만 사실 그냥 abiotischer Stress, Ca!
3. 칼슘 흡수는 오직 Zylinstrom 을 통해서만 올라간다 이말이야. Xylem 을 통해서만 이동한다.
4. 칼슘은 펙틴 안에 뽐뽐 저장됨
5. freie Calcium = Ca (kein Ion) : 세포 내 곳곳에 존재한다.
- cytosol 에도 100-200 nM sehr niedrige Konzentration
- Zelle muss fein fein komparimiert?
7. freie Ca 의 움직임은 Cytosol 에서 무지하게 빠르다 sehr dynamisch
8. 추위 스트레스에 Cytosol 내의 Ca 2+ 가 번개같이 반응하는데,
9. 그래프로 보면 알 수 있는게 EGTA 도 그래도 완전 활성이 잃어버리는 건 아닌게 아마 칼슘이 꼭 외부에서만 Cytosol 로 오는게 아니라 다른 세포소기관에서 오는게 아닌가 하고 알 수 있음요
11. 칼슘은 기공 개폐에 필수적. abscisic acid (ABA)- induced stomatal closure
12. 또한 osmotic stress-induced gene expression 에도 필요.
13. 또한!! elictor-induced gene Expression in Nicotina
14. 하여간 안끼는데가 없다 als generell Sekundäre messenger
15. 칼슘은 또한 Multipikation von Protein (Phosphorylisierun 같은거) 의 Kontrolelement 인데 바로 자극하는 건 아니고 effektor Protein 에 결합하여 작동한다. 온갖 시그날에 반응해주는 메신저다 이말이야
16. Calciumsignal unterscheidet je nach Stress.
- 꽤 relativ attraktives Model. 패턴이 꽤 단순하거든~
18. 박테리아 PAMP 에 반응하는 영상 번쩍번쩍! 난리도 아님
20. 칼슘 시그널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 durch Membranspannung Änderung
21. 칼륨으로 멤브란 슈파눙을 바꾸는데 depoarizing 이랑 hyper 어쩌고 로 Spannung 을 künstlich ändern
- Menbranspannung 과 Membran Potential 은 어떤 차이?
24. 칼슘 진동 역학을 통해
25. 2가지 - 레악티브 : 정확히 레악티브와 프로그램드 의 차이가 뭐지?
27. 2.5cm / min 이면 식물입장에선 엄청나게 빠른거다
30. 곤충 등 섭식 활동에 대한 식물의 반응 중 Ca 2+ Signal : Pflanzen reagiert systematisch (국부적이 아니라 전체적) durch Salzstress sowie biotischem Stress wie Freßfeinde - wounding-induced systemic signal 이라 부르는구만
32. 그 반응은 잎이 어떤 구조로 어디와 연결되어있는지에 따라 다른데, 보다시피 결코 단순하지 않다.
33. Two Pore Channel 1 가 wounding-induced systemic signal 필요하다우
35. 그리고 aphid 가 이 반응에 한몫, 정확히는 aphid 는 TPC1 가 필요.
37. 뭐 계속 나오네 TPC1 가 전체적으로 반응하는 이거에 계속 필요함.
40. 이 관계는 일종의 positiv Feedback
- selbst verstärkende Mechanismus 란 말이다.
42. Ca 2+ 도 수많은 롱레인지 시그날 중 하나이며 이녀석들은 서로 조금씩이나마 zusammenhängen
43. 예를 들어, Ca 2+ 는 ROS 에 의존하고 있다.
44. 식물 내 ROS 쿠벨레 > 세포막Zellmenbran 에서 SOD 발생, 그게 Ca 2+ 채널 자극 - 발생된 Ca 2+ 가 다시금 ROS 생성에 필요한 도메인 자극 - positiv feedback
46. 위의 반응을 셀 단위로 정리한 모델 >
48. 엽록체 내 Ca 시그널 :
49.
51. Ca 시그널 생성 :
52. Cytosol 내에서 어떤 메카니즘으로 Ca 가 올라갔다가 내려올까??
- Pump 보다 Kanal 이 더 빠르다. 왜냐면 시토솔 안은 negativ Ladung,
- 그래서 올라갈 땐 passive, 내려오는 건 activ
52.
55. ECA1 는 Mn Toxicität empfindlich. 즉, ECA 는 Ca 보다 골지
56. ACA : wann stoppen sie sich?
durch Ca anschalten (nicht abschalten)
58. 예시.
59. Pflanzen setzen Ca als Signal frei,
60. Ca, ATPase 사이에 Antiporter : 같은 역할을 하는 프로틴이 같은 위치 (세포막) 에 있다. 그 의미는? 말하자면 별도의 상황에서 둘다 적절히 반응하기 위해서임
- ATP sehr hoch Affinität, langsam
- Antiporter : schneller, wenig Affinität
62. CAX1 는 Vacuole 에 관여.
64. 체널오픈의 파라미터 : 일단은 Membran Spannung, 또는 리간드, 아니면 메카니컬(이건 세미나에서 볼 겁니다)
65. CNGC 는 예전에도 나온 적이 있다.
74. 어떻게 칼슘 시그널이 프로틴 단위에서 erkannt 되는가.
- Ca²+ binding protein
76. Calmodulin 에는 4개의 칼슘이 붙을 수 있다 여기에는 negativ Ladung 아미노산이 붙는데 2가지 Carboxyl Gruppe
- 어떤 아미노산 2가지이지..?
78. EF Hand : 뭔가 손처럼 생겼다는데 하여간.. 중앙에 Ca 이 위치한다.
79. very highly conserved 의 의미는 무엇이지?
83. CAMTA : Calmodulin trans...
84. Anpassung an kühlen Temperatur 에 CAMTA transcription factor 가 notwendig
86. 두번째 어떻게 칼슘 시그널이 프로틴 단위에서 erkannt 되는가.
- CBLs : 예를 들어 염분 스트레스 에 반응할 때 필요하다. NaCl.
88. Salz Entgiftung
89. Na Protein Antiporter : NHX an Vacuole
90. AKT1 는 칼륨의 뿌리 흡수에 주요한 역할을 했지요
- CBL-CIPK regulates K uptake
- CIPK23 :
95. 아까랑은 다르게 Protien kinase
- IRT1 expression is upregulated by Fe deficiency
FTM - 06.FE : 광합성에 주요. Heme Fe
6. 페로독신은 광합성 외 Nitrit Reduktase 에 쓰임. 즉 페로독신은 어떤물질의 Reduktion 에 마이들 쓰인다.
9. viele Menge Fe auf der Erde vorhanden ist.
12. lösliche Form 은 Fe2+. Fe(OH)3 은 낮은 pH 에서 훨 낫다
13. Strategie 1 : 그래서 일단 Fe3+ 를 cytosol 내부의 NADH 전자를 이용해 Fe2+ 로 만들어준다. 아니면 ATP 를 이용해 H+ 를 밖으로 내보내서 Ansäuerung 해서 Fe Verfügbarkeit 를 높인다. 이때 Fe2+ 는 IRT1 Transporter 를 통해 쇽 aufgenommen
14. 그림을 보면 Fe Mangel 때 뿌리 끝부분의 pH만 유독 낮은걸 알 수 있다.
22. Feruloyl-CoA6-Hydroxylase1 는 Fe 가 부족한 Fe limition condition 에 필요하다.
23. Feruloyl-CoA6-Hydroxylase1 -> fluorescent substances -> coumarin
- 이 쿠마린은 황백화 clorosis (병균, 또는 영양 결핍으로 인해 특히 잎이 황색이 되는것) 를 예방한다.
26. 클로로시스 발생 환경 under Fe deficiency :
Ansäuerung 은 보덴에서 pH 를 낮춰 미네랄이 흡수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주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Kupfer System 이 좋으면 이게 별 소용이 없다. 칼크 보덴. Calcium Carbonat
즉, on poorly aerated calcareous (lime-containing) soil 에서는 Fe Mangel 이 생길만하다.
CO2+H2O <->H2CO3 <-> H+ + HCO3-
이런 환경에서는 Fe3+ - chelate reduktase 에
27. Strategie 2 : chelation 전략이라 불림.
- 킬레이트 :
30. gelbe Streifigkeit (노란 줄이 생김) r Streif 줄무늬
31. Reis 는 2가지 전략을 다 구사할 수 있으나 1번은 음 부분적으로만 사용한다.
Besonderheit von Reis : überstauten boden ?
32. Fe Traslocation :
33. Fe 는 Phloem 으로 들어갈 때 Fe2+-nicotianamine (NA) 의 형태로 transported
-
35. vasculature : 순환계통?
36. embryo 내 Fe 저장 in vacuole
- Topograpie 예전에 그 교수님이 하고있는 좝을 이용한듯.
- Manganese tolerance has been related to sequestration and to exclusion from the shoot
- Endoplasmic reticulum
FTM_7. Mn : Wasserspaltung von Photosynthese 2 mit Ca, Chloride. 그리고 Fe 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3. 왜 망간이 물 분해에 있어서 필요하나??
- Enzyme처럼 전자를 받았다가 주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그 말인즉슨, 망간이 부족하면 식물 성장이 저해된다.
7. Cofactor 의 역할을 마이도 한다 :
8. 어두워지면 스토마타가 닫힌다. 그래도 트랜스퍼레이션은 가능하지, 어딘가의 Epidermis에서. 어디? 그냥 겉면. 즉, cuticular wax 의 생성과도 망간은 연관이 있다고. Epicuticular wax 상표피
10. 망간은 철보다 dynamisch 하다. 어떤 토양 조건이 영향? pH Werte 제일 중요한 역할, 그리고 Reduktpotential
근데 Reduktpotential 은 pH werte 와 거의 같은 의미아닌가..? 아닐지도. pH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단지 환원만시키는 물질이 있으면야
- gut Reduktpotential bedeutet lockere Boden, gute lüften`=? 일단 록커한 토양이 안좋은 건 확실. 근데 Reduktpotential 과는 어떤 영향?
- 망간은 Bodenverdichtung 과 positiv korreliert
11. 이 외에 Genotyp 역시 당연히 영향이 있다.
14. IRT1 이 Eisen transporter 는 망간 Manganese 역시 들고온다.
17. 망간같은 미네랄이 많아도 Toxisität 이 일어난다 이거지 3번째
19. Mn toxicität
- unter schlechte Lüftung (waterlogged soils), acidic soils
20. viel Mn akkumuliert diese
- Blau ist wenig, rot ist hoch, gelb ist dazwischen
21. Mn Homeostasis
25. Stylosanthes hamata : Futterpflanzen 으로 키워지며 Mn Toleranz 로 명성이 자자한 분.
- Wurzelspitze 랑 그 주위의 Vacuole 에 격리되어있음
29. Ausschaltung der Pflanzen
31. 트랜스포터가 없는 경우 (뮤턴트) 망간이 없는 상황에서는 더 잘 자랐다? 이거 34페이지 볼 것
34. MTP11 이 메카니즘이 현재까지 규명된 망간 entgiftung 과정
- 인간, 동물의 경우 Mn, Ca ATPase 를 사용한다고.
37. Gatersleben 에서 서로 다른 연구그룹이 이것과 관련해 같은 현상에 도달
- Mn und Fe Mangel
38. Mn und Fe Interaktion
- 1916년 페이퍼에도 언급되어있으며 100년 후에 분자단위에서 메커니즘이 규명되었다
40. 즉, MTP8 발현은 Fe Mangel 에 의해 induziert
- Eisen spezifisches Signal
41. MTP8-1 가 없으면 더 많은 Mn, 더 적은 Fe를 Spross 에 저장한다.
- 동시에 Fe limited 에선 더 적은 Fe 를 Spross 에 역시 저장
43. FCR 메카니즘에 관한 가설들이다.
45. 한쪽만 활성화되는데
46. 망간이 부족한 Mutterpflanzen 에서 발생한 Keimung von Keimling 에 있어서 mtp8 아주 중요.
48. 우열관계 Hirachie : MTP8 가 그 미씽링크였던거임
- facultative anaerobic bacteria
PMS_Intro
2. 미생물로부터 얻는 대표적인 물질 둘은 N, P
9. Fähigkeit Stickstoff zu fixieren hat kein Eukaryote, sondern manche in Bactria und Archaea.
z.B Cyanobacteria,
10. 3 Typen von N2 Fixation
- freeliving 의 경우 하드코어한 환경에서 버틸 수 있음
- 무엇이 얼마만큼의 질소고정할 지를 결정하나? Energie 랑 ...
11. 3가지 요소가 있다 어떤 환경에서 질소를 얼만큼 고정할지는
- organic C : 에너지
- 주변의 N
- O2 Sensitivity von Nitrogenase : 산소에 왕 데미지입는 녀석들
15. Autotroph 박테리아가 가진 문제?
- Photosynthese를 위해 Wasserspaltung 하는 과정에 Säure 가 발생한다. 이건 독. 이걸 어케 분리하냐가 관건
- 즉 räumlich 한 문제를 해결해야함. 어케 두 과정을 분리할 것인가 N 고정과 광합성
17. 초록색은 광합성으로 하고 räumlich getrennt (räumliche Trennung) 된 Heterocyst 에서는 N Fixation. 아주 효율적인 구조. 제대로 분리함
18. 또는 zeitlich 시간적으로 분리할 수도 있다.
- 낮에만 광합성하고 (=O2 증가), 밤에는 질소 고정 (=Nitronase증가)
- 근데 이게 실제 광량과 상관없이 biologische Uhr 에 따라 진행 : 빛을 항상 쬐어도 같은 사이클로 활동한다
19. 2번째 typ : Association
- 에너기가 Wirtpflanzen 의 뿌리로부터 오기 때문에 질소고정량이 freeliving 보다 훨씬 높다!
- 에너지를 갖다 쓰니까.
24. 연구조건 : Stickstoff gut versorgt, eine mit Azospirillum inokuliert, andere Control gruppe.
- 흥미로운건 0.16 에서 어쨋건간에 positiv 한 영향이 발휘되었다는것
근데 C2H2 는 어떤 영향을 주는 펙터?
27. Rhizosphere Bacteria 의 효과 : 대상 식물에 따라 달라진다우.
28.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 식물 생장을 뻠삥하는 Preparat
29. Endophytische Bacteria
- Glutmine
- root nodule, soybean nodule Knolchen
- GS GO
- Harnstoff, Harnsäure
PSM_4_Metabolism
29.
34. Uric acid : Han säure = Endprodukt von infizierten Zelle
35. 그리고 이 Hansäure 는 nicht infizierte Zelle 에 의해 abgegeben
- Umbau von Hansäure
36. 이 Umbau Fähigkeit 가 없는 식물은 nicht in der Larger, 그냥 식물 체내에 저장한다. (그로인해 Nebenwirkung 이 있는듯?)
37. 움바우로 인해 생성된 Allantoin 은,
- 이런 유형의 식물은 Hansäure 를 잎에서 많이 생성하고 그리고 이 녀석은 Allantoinase, Urease 를 통해 NH4+ 로 분해됨
- Urease 는 Ni 을 함유하고 있음
38. 만약 Nickel 이 없으면 (Urease 못만들면) Urea 독성이 발생 -> Harnstoff Akkumulation -> 보라색으로 변성
- bacteroid
- Plasmodesmen
- legume nodule
PMS_05. Transport in nodule
3. 막, 벽에 트랜스포터가 산재되어 있다.
- fixiert N 의 움직임,
4. freilebende Bakteria für N2 Fixiation
-
5. 식물 입장에서는
- bacteroid 안은 pH 7 상대적으로 akalisch, 바면 PBS 는 산성. 그래서
- 패치클램트 테크닉으로 이 박테리아 막 사이 전극 을 측정 (Membran Potential 은 이에 비해 indirekt)
6. 세계에서 이 테크닉으로 연구하는 곳은 아마 2군데 정도. 까다로운듯
- 오른쪽 그래프는 PBS, 여긴 Ca 농도가 높다
7. 이 난리를 치는 박테리아 의 유전자 > Hefe mutant이용
- 암모늄을 N Quelle gegeben - 뮤턴트는 성장하지 못함
- 후속 연구에서,,
8. Hefe 2가지 악티브 트랜스포터 갖고있다. 이 실험에서 추가적으로 플라스미드를 이용해 트랜스포터를 집어넣음
- 3가지 NH4 트랜스포터를 전부 꺼 봤다 : 콘트롤그룹과 같이 3번째만 아주 자라지 못함
- 해석 : SAT1는 트랜스포터 진이 아니라 Hefe 가 다른 녀석을 쓰기위한 트랜스 켜는 역할이었던거임
- 그때는 의외로 이 결과가 크게 인정받지 못했다는듯 작은저널에만. 근데 영향은 컷다
11. Aquaporin 가 트랜스포터를 컨트롤하는데 기여
16. 박테리아는 C Quelle 로 쭈커대신 말랏을 쓰는데 오직 organische Säure 만 에너지원으로 aufgenomen
18. 다시 식물로 돌아와서, C 유입 N 외부 이동은 어케?
19. 교수님 박사 아르바이트와 관련있었다는듯.
- 밖에서 주어진 사카로제를 어떻게 안으로 ? 또는 반대?
20. 즉 Apoplastischer Weg 을 이용하기도 하고 innerhalb des Knolchen
26. 왼쪽은
28. stellt sich darauf Frage
- Hypothese :
30. 즉 플로엠은 아미노산을 흡수하고 감염된 세포는 아미노산을 어케든 freisetzen
31. Zusammensetzung der Amonosäure, die infizierte Zelle freisetze entspricht genau die Knolchen braucht ?... 헷갈림
33. Knolchen : 물 뿐만 아니라 메타볼리즘에 필요한 물질도 함유하고 있다?
- Mn replete
- delucidate the pathways for Mn uptake
- dicot und monocot crops
Vortrag von Doktorand
Mechanisms of manganese transport and distribution in sugar beet
1. 사탕무는 주로 유럽에서 (프랑스, 독일, 폴란드) 사탕을 위해 재배되고 있다.
2. 50 enzymes (identified) about Mn
- Photosynthese 2,
4. Mn Düngung 은 비효율적이라네 MnO2 가 아니라서.
5. Yeast 를 뮤턴트 툴로 사용한다. Phenotyping 을 위해.
6. 사탕무의 망간, 철 , Zn 관련 유전자(라고 생각되는 것들) 을 yeast 에 넣어서 각 유전자별 yeast 의 medien 별 표현형을 관찰한다. 그래서 어떤 유전자가 어떤 트랜스포터에 관여하는지 를 연구하는 것이다.
stefanie Höller - Vortrag 준비하는데 어려우면 물어보라꾸
- MTP 예전에 수업에서 다뤘음 그 푸터미텔로 쓰이는 메탈 Toleranz 좋은 식물 stylosanthes hamata
- 식물 설명 - 물질 설명 -
- Synchrotron - DESY : PETRA 3, Oxfordshire
일종의 입자가속기인 듯. 차이는 nicht beschleunigt sondern immer gleich durchlaufen
- 이 시설을 통해 Samen 내부를 관찰하는듯 höhe Auflösung? Tomography 를 위해.
- 올려놓고 360도 돌린다 이게 Tomography. 이걸통해 씨앗안에 있는 Elemente 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schärfer!
- 단순히 자라고 안자라고 이상으로 control그룹 에서도 MTP10 유무에 따라 작물 잎 별(어린잎, 중간, 큰거) 망간 distribution oberservation with flore... phothsynthse
다른 생물이 인간사회를 본다면, 그 분해가 마치 우리가 식물의 생리를 이해하는 것과 비슷할 것 같다. 교통시스템, 정치시스템 등의 이해 없이 겉에서만 본다면 의사결정에 들어가는 영향을 하나씩 분석해가면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하는 느낌일듯
- vesicle :
- arbuscul
- nodule : Knolchen
- Bestockung :
- plastid
PMS_08._Development of arbuscular mycorrhiza
3. um die Wurzel Pilze umgeht
4. Endomycorrhiza / AM
- Haustorium 과 매우 비슷한 morphologische Struktur 구성.
- vesicle 모든 AM 이 vesicle 을 구성하지않음이 발혀져서 요새는 구분해준다.
- 거의 대부분의 land plant 가 갖고있으나 예외 : Brassicaeae (Kohl), Chenopodiaceae (Zuckerrübe), Lupine
6. Ascomycota, Basidiomycota, Glomeromycota 는 렙에서 기르기가 불가.
7. Fa, Fa.. 이들은 AM 에 비해 꽤 융한 녀석들
8. Wurzeloberfläche 에 균사 사사삭 자람,
9. 해당 메커니즘은 비교적 최근 밝혀짐. 무슨 물질이???
10. Branching Factor :
11. Spectroscopie 로 분석해보니 BF : Strigolactone
- 이 물질은 균사를 파바박
- Striger : 기생 식물의 하나. 식물의 뿌리에 달라붙어서 parasitisch wachsen
12. Strigolactone : 새로운 Phytohormon 이다우.
14. Verzweigung (branching)
15. 식물에서도 기생관계를 촉진하는 Gen ausgeprägt.
- ENOD 가 Signal
16. 이러한 관찰을 통해 감염 전에 식물과 필쩨가 신호를 주고받음을 알 수 있다
17. 뮤코릿쩌 entwicklungsstadien 관찰
- Ca2+ Oscillation 관찰수단
18. LCO 란 물질이 필쩨로부터 freigesetzt, 그리고 이게 Infektion 유도
21. erkennung durch DMI3, und
22. 거의 모든 식물이 뮤코릿쩌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선 Gen에 Signal
- Kern der Signalwegs, Nodulation identisch
- Knölchen 형성하는 현대의 형태 전에 primitive Form 을 빌게이츠 재단 투자로 연구했음
23. Genre 영상. beim Eindringen. 식물세포 EP 이 Hyphe 를 받아주기 위해 형태가 바뀜을 알 수 잇다.
24. 식물이 Kanal 을 만든다. 그 카넬을 PPA 부름 Pre Penetration Apparatus
25. 영상보면 대박임. Pre Infections Schlauch 만들고 이 세포를 뚫어서 그다음 세포로 균사를 계속 뻗는다
27. Entwicklungsstadien von Endosymbiosen
- 대부분 꽤 비슷한 Struktur 를 형성
28. 그다음은 Kolonisierung von cortex
29, 형태학적 변형 von Pflanzenzelle : vacuole fragmentiert, Plastid 변형 등
- Pflanzen einzugreifen
PMS_09_Function of arbuscular mycorrhiza
2. PAM 과 비슷한 Peribacterial membrane 도 있다.
- 박테리아는 organische Anion 으로 살고 필쩨는 Zucker.
3. 그 중 단순한 Zucker : Sacharose,
4. MST : Mono Sacharite Transporter,
- 너무 다양한 종류의 당이 있으면 osmotische Potential nachteil 이 존재한다. osmotisch aktiv :
-
5. Glycogen(von Tier) und pflanzliche Stärke : 차이는??
6. Zweigung 과 관련해선,
- 글리코겐은 꽤 häufig zweigt, Strärke 는 아주 가지가 없거나
- Amylose 는 상대적으로 Stabil하다 Zerlegen 되기 힘들다 그러나 글리코겐은 größere Zweigung 곧곧에 효소가 작용해서 분해되기 좋다
9. 어떻게 이 과정을 밝혀냈을까
10. 낮은 P 농도에서 뮤코릿쩌 있는 식물 성장이 훨씬 빠르다
- Lauchszwiewel
12. 이유 설명
- 부피
- höhe Affinität für P Aufnahme
- Hyphe 는 Wurzel 보다 더 얇아서 더 잘 접근
16. Mycorrhiza selbst Phosphatase abzugeben
17, 18. 어떻게 Phospate 가 뮤코릿쩌에서 이동되고 organisch 형태로 바뀌는가.
21. Auswirkung auf Pflanzen, auf Pilze
- 왜 arbucel 이 죽었지??
22. 뮤턴트의 경우 P Toxisität 으로 죽엇다.
23. 봐야할 것 > 밖에서 수크로제가 들어오고 분해되어 글리코겐이 되고 그걸로 필쩨는 묵고살고 대신 폴리 포스파트를 식물한테 전달해준다.
25. 토양에 인이 부족할 때 뮤코릿쩌의 도움이 제대로 발휘된다 이말이ㅑ. P 가 높을 때는 식물 성장이 뮤코릿쩌 유무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27. NH4+ 는 토양에 매우 강하게 verbunden. deswegen NH4+ statt No3-
28. N15 에 대해선 희안하게 크게 뮤코릿쩌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음 / 단 이땐 물이 충분
29. Trockenstress 하에서 뮤코릿쩌의 역할에 박살나게 나타났음
30. Model Experiment : ERM Mycel außerhalb Wurzel.
31. Arginine 은 여기서 Transportform 이다. 장점은, positiv 라서 Polyphosphate 와 einfach assicoatiert
33. 다른 Mikronährstoff : Zn, Cu,
34. 신기하게 P Düngung 은 Mycorrhizierung을 unterdrücken. 그래서 이 듄궁때문에 Zn, Cu 흡수가 결과적으론 간접적으로 저해하는 셈이다.
35. 왜 이런건지 메커니즘은 아직 미규명, 하지만 관찰결과는 이러하다.
37. Experiment : mit/ohne Mycorrhiza, mit M höhe Transpiration, gleichzeitig kürzere Wurzel
- 차이나는 녀석들 : 뮤코릿쩌가 옮기거나 저장하는 미네랄
- 결과적으로 K 줄어드는 Nebenwirkung 이 있다.
38. Wasserversorgung : Water supply
- 결과 흐음. 흥미롭다캄
39, landwirtschaftliche trockengebiet - Syrien
- 꽃을 한번 관찰하고 그다음 씨앗을 관찰.
아마 뮤코릿쩌는 성장하면서 직접적으로 물을 주진 않으니까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키워주는게 아닐까
'독일 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lekulare Ernährungsphysiologie] Übung (5) | 2018.11.14 |
---|---|
[Ertragsphysiologie] Vorlesung, Übung (0) | 2018.10.26 |
[Phytopathogene Pilze] 13강 - 14강 - 15강 - 16강 - (0) | 2018.06.19 |
[Grundlage] 생물통계 - 용어중심 정리 (0) | 2018.06.13 |
[Grundlage] QTL 분석 쉽게 설명하기 - 유럽농업저널 (0) | 201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