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gnose : forecast,prognosis
- sehr geordnetet : 매우 규칙적인 (사과에 생긴 brown rot 사진처럼. 19)
- s Steinobst 핵과 drupe : 과실의 일종, Nektarine 복숭아, Kirsche 체리처럼 안쪽에 단단한 목질의 씨앗이 있는 녀석들
- Fruchtmumien : Fruchtfäule, 미라처럼 변하는 것. Monilinia 땜에 발생하는 Symptom 규칙적으로 표피에 발생
- intakt : intact, 온전한, 손상되지 않은,
- Konidien conidium 분생포자 : 진균류가 만드는 무성포자의 일종, 포자체 안에 들어있지 않고 Hyphe 바깥에 붙어있으며 단독으로 떨어지기 쉽다.
- r Träger : carrier
- s Auftreten : occurence
- aufreißen : tear open, rip 뜯어내다
- Blattscheide 잎집 leaf sheath, ocrea : 엽초라고도 하는데 잎의 기부가 줄기를 싸고 있는 부분, 잎집 생장은 마디생장의 전형적 예시.
- Schuss : Sämling, 묘목, 종묘
- Haustorien : 숙주로부터 양분을 흡수하기 균사로부터 분화한 특수 구조
- abwechselnd : alternate, 번갈아 나오는, 하나 걸러,
- wechselhaft : 옌스, 날씨 설명
- Abfolge :
- evolutionäres Wettrüsten :
- korrekterweise :
- Inoculum : 접종물, 그냥 페토젠
- auftauchen : auftreten,
- herausbekommen :
- HC toxin hemmt die Aktivierrung pflanzlicher Gene : inhibit, stop
- ggf : gegebenfalls
- Entgiftung von HC Toxin ist wichtig
- Hafer mit Pc2 ist suszeptibel
- inverse Gen für Gen Systeme
- Luftverschutzung begünstigt P.nodorum
- Befall an Schota infiziert Samen
- Pflügen : plough, plow
- Anamorphe mit Teleomorphen : 불완전 세대 / 완전세대
- monophyletischer Ursprung 단원적, 단일 계통의
- Thallus : auf Deutsch Lager, vielzellige Vegetationskörper bei Pflanzen und Pilzen, der nicht in Sprossachse, Wurzel und Blatt unterteilt ist
- Vegetationskörper : 영양생식기관,
- Konidien : 분생자 conidium
- Chlamydosporen : 후막포자
- Uredosporen : 여름포자 von Rostpilze 녹균포자의 일종
- Teleutosporen : 겨울포자, 이것도 녹균포자의 일종
- Somatogamie : ?
- Agaricomycotina exogen gebildete Konidien : 외인성,
- Plasmogamie : 세포질 융합
- Karyogamie : 핵접합
- z.T : zum Teil
- Karyogamie in Basidie : 담자기?
- Basidioma
- Fruchtkörper wird von unterirdischem Mycel gebildet : subsurface, underground,
- Schnallen
- Superkingdom: Prokayota (원핵생물상계)
- Kingdom: Archeae (고세균계)
- Kingdom: Bacteria(세균계)
- Phylum: Cyanobacteria (Cyanophyta: 남세균, 남조류)
- Superkingdom: Eukayota (진핵생물상계)
- Kingdom: Plantae (식물계)
- Subkingdom: Biliphyta (담색식물아문)
- Phylum: Glaucophyta (회조식물문)
- Phylum: Rhodophyta (홍조식물문)
- Subkingdom: Viridiplantae(녹색식물아문)
- Infrakingdom: Chlorophyta (녹조식물차아문)
- Phylum: Chlorophyta(녹조식물문)
- Infrakingdom: Streptophyta(난접합식물)
- Phylum: Charophyta(윤조식물문)
- Subkingdom: Biliphyta (담색식물아문)
- Kingdom: Protozoa (원생동물계)
- Subkingdom: Eozoa (에오조아)
- Phylum: Euglenozoa(유글레나동물문)
- Class: Euglenophyceae (유글레나식물강)
- Phylum: Euglenozoa(유글레나동물문)
- Subkingdom: Eozoa (에오조아)
- Kingdom: Chromista (유색생물계)
- Subkingdom: Hacrobia (하크로비아아계)
- Phylum: Cryptista (은편모조문)
- Class: Cryptophyceae(은편모조강)
- Phylum: Haptista (착편모조문)
- Class: Coccolithophyceae (원석조류/후각편모조강)
- Class: Pavlovophyceae(파블로조강)
- Phylum: Cryptista (은편모조문)
- Subkingdom: Harosa (하로사아계)
- Infrakindom: Rhizaria (리자리아차아계)
- Phylum: Cercozoa (사족충류)
- Subphylum: Reticulofilosa (레티클로필로사아문)
- Class: Chlorarachnea (클로라라크니아조강)
- Infrakindom: Halvaria (할바리아차아계)
- Superphylum: Heterokonta (부등편모생물상문)
- Phylum: Gyrista (가리스타문)
- Subphylum: Ochrophytina (오크로조아문)
- Infraphylum: Chrysta (크리스타차아문)
- Superclass: Limnistia (림니스티아상강)
- Class: Eustigmatophyceae (침편모조강)
- Class: Chrysomonadea(황갈조강)
- Class: Picophagea(피코파기강)
- Superclass: Limnistia (림니스티아상강)
- Class: Rhapidophyceae (침편모조강)
- Superclass: Fucistia (갈조상강)
- Class: Aurearenophyceae(오레아레노강)
- Class: Chrysomerophyceae (크리소메로조강)
- Class: Xanthophyceae (황록조강)
- Class: Phaeophyceae (갈조강)
- Subclass: Phaeothamniophycidae (페이오탐이오조아강)
- Subuclass: Melanophycidae (갈조아강)
- Infraphylum: Diatomista (돌말차아문)
- Superclass: Hypogyrista (하이포기리스타상강)
- Class: Dictyochophyceae (규질편모조강)
- Class: Pinguiophyceae(핀귀오조강)
- Superclass: Khakista (카키스타상강)
- Class: Bolidophyceae (볼리도강)
- Class: Diatomeae(돌말강)
- 유포생물상문(Superphylum: Alveolata)
- Phylum: Miozoa (미오동물문)
- Subphylum: Myzozoa (마이조동물아문)
- Infraphylum: Dinozoa (와편모동물차아문)
- Parvphylum: Dinoflagellata (와편모충류소아문)
- Superclass: Dinokaryota (중핵생물상강)
- Class: Noctilucea (야광충강, 와편모류)
- Class: Peridinea (페리디니아강, 와편모류)
[네이버 지식백과] 조류 [algae] (식물학백과)
- Subkingdom: Hacrobia (하크로비아아계)
- Kingdom: Plantae (식물계)
[13강]
1. Leotiomycetes : nur als Anamorph, 대부분 Hauptpathogenen
1) Rhytismatales :
a. Rhytisma acerinum : 간단하게 Zyklus 설명중,
b. Helotiales : Apothecien, 개중에 Sclerotiniaceae 가 중요한 파토겐
- Hymenoscyphus fraxineus : 아시아에서 왔던놈이고 다른 유럽종은 wenig virulent 한데 이놈이 대체한다. verdrängt.
- Sclerotiniaceae : 대부분 네크로트로프,
-- Sclerotinia sclerotiorum : Rapskrebs (Wei0strengeligkeit), vegetative Vermehrung durch Hypen, sexuelle하게는 Apothcien 그리고 꽤 오래 버티는 편이다 dauernd,
--- Virulenzfaktoren : CWDE 라는 세포벽 녹이는 엔자임 갖고있구요, 디톡신 물질, 그리고 Oxalsäure (Stomata 를 열게 하고 Abwehr unterdrücken, CWED 를 위해 Ph 옵티미어룽, Ca²+, Wirt의 Apoptose 유도 등 아주 만능 조이레)
-- 숙주의 영역 Wirtsbereich 가 다양하다. 여러모로 위협적임을 알 수 있음요 y Achse 는 Infektionsgrad 를 나타냄 그림,
-- Oah Gen : Oxalsäure 의 생산에 entscheidend. 그래서 이 Oah mRNA 농도가 매우 중요하다 ein Virulenzfaktor
-- Monilinia fructigena : Obst Anbau 에 중요한 Gattung, Braunfäule an Steinobst (Brown rot), Zyklus는 중앙의 작은 네모가 여름 용, 바깥의 큰 네모가 겨울용.
--- Fungizide : Succinat 은 특정 물질 생성을 막는 어쩌고, QoI 는 CytB의 변이가능성이 적어 저항성 위험이 낮다,
-- Monilinia fructicola :
-- Monilinia laxa :
-- Botrytis cinerea : Raps, Gurken 등에 중요함, 이름이 바뀐 케이스, 포도랑 관련이 있는데... Weichfäule, 독일말론 Grauschmeln, 2차 Infektion 은 차갑고 축축한 환경에서 발생, CWDE 등. 예방에는 식물간 간격을 충분히 두는 등 바람이 왔다갔다할 수 있게 해서 습기를 피해야함, 풍기찌데에 대해 MDR (Multi Drogen Resistenz) 생길 수도 있다 즉 한번에 여러 Klassen 풍기찌데에 저항성이 발생하는 것.
--- PCD : 다른 병원체와 달리 necrotroph 로써 특이한 기작, 숙주와 병원체간의 싸움에 있어 꽤 괜찮은 예시, 교수님 꽤 오랫동안 설명중, 다른 네크로트롭 필제인 Cochiliobolus carbonum 에도 PCD 는 발견되지만 다른 2가지 hemibiotrophen 에서는 발생치않는다.
- Dermateaceae
-- Rhynchosporium secalis :
--- 진화적 연관성 설명중. TMRCA,
-- Oculimacula yallundae, O.acuformis : 또 하나의 아주 중요한 녀석들. 오랫동안 Taxonomi ungklar 했으며
: 후사리움과 Symtome 에서 비교될 수 있다, 구멍을 뚫고 뭐 쩌고
--- 예방 : 간단하게 읊기만 하고 넘어감,
2) Erysiphales : 에류지팔레스, molekular Taxonomie 적으로 연관성 확인, 100개 정도의 종만 polyphag 하고 나머지 350 여종은 wirtspezifisch,
a. Taxonomie : vegetativ / sexuelle Merkmale, Uncinula 가 basal Ursprungsform - Was bedeutet hinsihitlich Taxonomie? Alt?
b. Krankheit : Echter Mehltau powdery mildew
c. obligat biotroph 이며
- Blumeria gramnis : formae speciales (f.sp) 로 구분한다. B. graminis f.sp tritici 는 예를 들어 Weizen 만 공격한다. Wirt 에 따라 이름에 분류를 추가해준다는 의미.
-- Zyklus : 모든게 optimal 하면 한 Zyklus 에 5일(상당히 빠른거임), 여름 및 겨울getreide를 넘나드는 것 같은데,
-- mlo Protein 은 mlo 유전자에 발생한 무타지온인데 거의 모든 병에 대한 레지스텐쯔 (Dominant resistence..) 보이는데 이건 Gen gegen Gen Hypothese 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현상임. 근데 이게 문제가 되기도 하는게 항상 Abwehr lebel 을 hoch 유지한다. 그래서 Energie 가 과하게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 오블리갓 비오트롭이니까 실험실에서 다루기 어려움, Adhäsion 을 위해 extrazelluläre Matrix 를 형성,
-- Papillen : Callose, Lignin, ROS 등을 가지는 구조, 59. bei kompatibler Interaktion?, 이걸 특정 유전자 자극을 통해 막을라칸다는데 함부르크.
-- Bg-triticale : 적당한 유전자 변이로는 Wirtsbereicherweiterung 이 획득안됨, 그래서 Bg-tritici 와 secalis 의 Hybridisierung 을 통해 발생. 50년 전에 유성 생식중 Rekombination 에서 발생했으며 얼마나 Pilze 가 빨리 진화하는지에 대한 좋은 예시
-- Evolution von Pathogenen : Hybridisierung 과 HGT 는 자연적 요소중 하나이며, 기본적으로는 Resistenzzüchtung 이 인공적 요소
d. Bekämpfung des echten MEhltau : Sporen kein Melanin gelargert 그래서 UV-Bestrahlung 에 relativ sensiv
ALL - Apfel 은 키르기스스탄에서 왔다카네
[14.Pezizomycotina]
1. Dothideomycetes : Ascomycota 중 가장 큰 그룹이며, 19000종 이상.
1) Capnodiales
a. Capnodiaceae
b. Piedraiaceae : nicht obligat sondern saprophytisch, Haar 에도 자란다고,
c. Davidiellaceae 다비디엘라쩨에 : 예전에 잘못 분류됨 (molekulare Taxonomie korrigiert), Hauptpathogene 로써 활약은 안함 겉에만 생겨서. 대기중에 포자가 꽤 많이 존재함,
d. Mycosphaerellaceae : Huptpathogene, 왕중요, in Klausur wichtig 모든 플란쩬 병원균 중 가장 많은 분류를 갖고 있음, 잎에 증상이 발생, 아스코포리움을 통해 침투하지 않고 기공 Stomata 같은 자연적 구멍을 통해 침투, Mycotoxine als Virulenzfaktoren
- T-Toxin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독들을 생성, Peptide (ribosomal gebildet)
ALL - Mycotoxine : 2 종류.
-- wirtspezifisch : HST, 처음 발견된 이후 이 가퉁은 많이 연구됨, Trikotoxin von Fusarium
-- wirt un spezifisch : NST, Trichothecene 같은거 처럼 여러 종들이 이걸 만듬,
-- HGT, HCT 를 통해 뛰어넘기도, 적은 양으로도 효과적이고 Pflanzenabwehr verhindern,
-- 크게 4가지 식물에 대한 효과
ALL - HGT, HCT : nicht häufig,
- Cercospora : wichtige Pathogene, Licht를 통해 aktiviert, ein Virulenzfaktor, gehört zu den Perylenquinonen 인데 이놈이 빛에 aktivieren 하는걸 이용해서 PDT 수술하기 힘든 암 치료에 활용하기도 한다,
- Cercospora beticola : Hauptpathogene, 높은 온도에서 잘 산다 한여름, Beticolin 은 호스트 막에 구멍만듦, 예방하려면 Fruchtfolge 하거나 풍기찌데 뿜뿜
- Passalora fulva : 토마토에 치명적, 온실에서 존재, 이걸 상대하려고 많은 연구가 이뤄졌음, 예전에는 Anamorph, 완전 Feuchte 해야 Infektion 시작되며, Gen für Gen Hypothese 에 기반에 예방하는데, 그림의 I, C 는 (인)콤파티빌리텟 의미, 고전적 레지스텐쯔 개념으로 설명가능한 사례
ALL - Zick-Zack Modell : 진화적 관점의 무언가인데, Rezeptor 와 관련있으며 이를 통해 Pyramidisierung der Genen 의 설명을 위한 하나의 가능성. Effektor,
- Mycosphaerella graminicola : absolut Hauptpathogene, Septoria Blattdürre (Wheat leaf blotch, Septoria leaf blotch), dominant in feucht-kühlen Lagen, schwarzbraue Phknidien 발생하고 kein Ährenbefall, 잘 자라려면 약간 따듯한상태에서 습해야함,
-- Verlauf : Sekretion von Effektoren, PR Protein 은 basale Abwehr, 마지막에는 밀에 PCD (Apoptose) Induktion,
-- 유성 무성생식 둘다 하며, 둘다 살펴볼 것,
-- Bekämpfung : Ernterückstände, Ausfallgetreide entfernen, 적절한 듄궁 등, Fungizide 에는 많은 경우 저항성을 갖고 있는데, 그래서 Tankmischung 및 Kombipräparate einsetzen ?? WT ??
-- Herkunft : Co-Evolution mit Weizen(Wirt) und weltweit Ausbreitung mit dem Wirt, Syntenie 라는 개념이 등장, 이 페이지를 보면 M. graminicola 가 밀에만 유독 aggresiv 함을 알 수 있다 (Gerste 이런거엔 관대함) 그리고 an Weizen optimal angepasst wurden 했다고,
ALL - Synthenie?
- M.brassicicola & capsellae : Rotation 이 가장 좋은 예방법, 둘이 Co existenz 할 수 있는 이유는 Sporen 유형과 Zyklus 가 다르기 때문
- Mycosphaerella spp. : 대충 넘어감
- Ramularia collo-dygni : Hauptpathogen von Gerste, nicht-parasitärer Blattverbräunung(단지 페토젠으로만 평가할 수 는없고 영양, 온도 등 아비오티쉬 영향일 수 도 있다고) 이거 관련해서 많이 얘기함,
2) Dothideales : Black yeasts 까맣고 작은 알같이 생김
a. Aureobasidiaceae
- Aureobasidium pullulans : verbreiteter Epiphyt - osmotolerant 특히 건조에 강하다는 의미, 비오테크에 사용된다, Gluconsäure (Zitronsäure 비슷), 또는 Abbau von Pflanzenresten 비오 가스 생산등에 사용될 수 있음,
- Kabatiella zeae : 카바찌엘라 쩨에, Regenspitzer-verbreitete Konidien,
3) Pleosporales
a. Pleosporaceae
- Pleospora herbaum : 슈파겔 공격함,
- Pyrenophora tritici-repentis : PTR 의 원인, Weizen 공격하는 주요 병원균, 상대적으로 neue Pathogen, Toxin 만들고 necrotroph 이다, 만약 검고 브라운의 점이 발견되면 그건 이녀석이 아니라 뭔가 딴거라는거 같은데, Ährenbefall 은 드물다, 레벤쮸클루스 이쁘게 생겼음,
-- Verlauf : 상대적으로 따뜻한데서 옵티말, 약간의 Blattnässe 에서 잘자람,
-- 총 3개의 독이 있음 PtrA, B, C 이 중에서 A 가 가장 많이 연구됨
--- PtrToxA : ETS effector triggered susceptibility 어렵네, 왜 이녀석이 중요하냐면... 다른 종의 게놈에서도 PtrA 의 Hmolog가 발견됐다 그리고 이건 nodorum 이 원래 이 독을 진화시키고 있었다는 증거이며, 즉 HGT 를 통해 P,n 에서 Ptr 로 ToxA 가 übertragen 됐다고 생각한다, 둘다 같은 Weizen Pathogen이며 P.n 은 원래부터 Hauptpathogen 이었다고,
ALL - HSTs : Wirst Spezifisches Toxins, 이건 dominante Virulenzfaktor 이며, 숙주와 병원균 서로 Kompatibilität 이 Gen für Gen System 에 따라 형성되며 Pelosporales 에서 유독 Toxine 가 HGT, HCT 를 통해 얻어진다, 왜그런지는 잘 모름요
- Pyrenophora teres : Hauptpathogen von Gerste, 병 이름은 Netzflecken (net blotch), 병명은 위 사진의 증상만 원래 의미함, 이건 Netz Typ PTT 라 불리며 다른 증상은 Flecken Typ PTM, 병의 진행상황 설명함, 레벤쮸클러스 넘어감, Saatgutbeizung이 예방에 제일 중요,
-- 이 종은 사실 별도의 2 종을 다 포함하고 있는데 (PTT, PTM) 하나는 Neubenennung 되어야 한다,
-- 분류학적으로 보면, PTR 과는 8백만년전에 갈라졌으며 PTM PTT 는 거의 최근에 갈라섰다고
- Pyrenophora graminea : Gerste 가 대상이며 Saatgutbezeihung 이 적어서 생긴다고 요즘,
- Cochliobolus spp : HST 를 생성하는 녀석들,
- Cochliobolus heterostrophus : Mais 가 대상, 매년 1 Milliaden dollar Verlust 발생, 오랫동안 문제가 되고있는 녀석, 유럽에는 아직 발생안함, 두 종류가 존재하는데 Rasse 0 은 쉬바흐 virulent, Rasse T 는 hochvirulent 즉 Epidemie 와 관련있다,
-- sexuelle : 8 fädige Ascosporen,
-- T-Toxin : Polykeptide 와 관련있음, Didymella Zeae 라는 Homolog 하나만 발견됨, 보통 마이스에는 Nachteile 인데
-- URF13 : 단백질임, T 톡신에 sensitiv 한테 이녀석과 결합해서 미토콘드리아 내부 멤브란에 구멍을 내서 결국 Energiegewinnung 을 저해함
- Cochliobolus carbonum : Wirts는 hm1 유전자를 가진 Mais, HM1/HM1, HM1/hm1 의 경우 resistent 하다,
-- HC Toxin : zyklisches Tetrapeptid, HST인가?
- Cochliobolus victoriae : Wirt 는 Hafer mit Pc2 Gen, HV-Toxin (Victorin) 는 그림이 전형적 Apoptose 의 짜이헨이라는데 이해가 안감
- Cochliobolus sativus :
- Setosphaeria turcica : Mais, Sorghum,
- Alternaria solani : Hauptpathogen von Kartoffel, und Tomate, Dürreflecken (early blight, 이거말고 late blight가 그 기근을 초래한 감자역병이다), 꽤 덥고 습한 상황에서 난리남, 라이프사이클 한번 훓음,
- Alternaria spp. : 영양 둘다 있고 대부분 wirt un spezifische Toxine 만들지만 HST 만드는 애들도 있다,
-- Alternaria alternata : 역시 감자 대상, 솔라니보단 덜 생김,
Neue Folie
b. Phaeosphaeriaceae
- Phaeophaeria nodorum : Weizen 등, 나름 중요한 녀석인듯. 꽤 열심히 설명함,
-- Toxine : ToxA (HST), 일단은 중동에서 왔다는데, 그리고 유럽에서는 계속 줄어들고 있는데 그 이유가 SO2 로 설명할 수 있다고... 오염이 이 녀석들을 begünstigen 하고 있다.
c. Leptosdphaeriaceae
- Leptosphaeria maculans : Hauptpathogen von Raps,
-- hemibiotroph : 특이한 경우다, 3 Phase : necro - bio - necrotroph
-- Co-Existenz : 어케 가능? 시간적/공간적 분리가 되어있음, 동시에
-- Sirodesmin PL :
30분 놓침
4) Venturiales
a. Venturiaceae
- Venturia inaequalis : Vorhersage der Ascosporen-Infektion 이걸 하는 기계가 있다, 증상의 단위는 날짜(days) 즉 고온에서 증상이 더 빨리 발현됨을 알 수 있다,
5) Botryosphaeriales
a. Botryosphaeriaceae
- Guignardia bidwellii : Wein 대상, 노랑고 오렌지색의 작은
2. Arthoniomycetes : 이 두개는 짧게 소개만 하고 넘어감
3. Laboulbeniomycetes
- Rhizomorph : 근상균사속, 균사다발
- Latenzzeit : latency, 지연속도
[16강. Basidomycota]
: 가장 발달한 종류의 뮤코타, 복잡복잡,
- 3개의 SubPhyla 의 Einteilung, 추정적으로 나중 발달해서 Roste, Brandpilze, Hutpilze 가 된듯
- 모든 종류의 Ernährungstypen 존재함
- Kernphasewechsel : Subphyla 마다 조금씩 달라서 레언하기 어렵다,
- 특징 : Kernzyklus (아마 Dikayophase 가 가장 많이 발달한 Organismen 일듯),
- Septen der Hyphen : genau kontrolliert, was dadurch oder nicht,
- Basidien 담자기 : 유성생식기관,
-- Basidiosporen :
1. Agaricomycotina
- Dikaryotisierung : 균사의 옆에 다리같은게 나와서 핵을 나눈다,
- Basidioma : 필쩨 중 가장 복잡한 구조, 거의 Gewebe같은 기능, massive Bildung von Meiosporen, 사진과 같은 Schneidebildung은 아가리오뮤코티나의 특징
- Speisepilze : 식용버섯, A.campestris 등
-- Champignon : Agaricales 가 대부분을 차지함,
-- Pfifferling : Cantharellales, 온데만데 다 있다,
-- Steinpilze : Boletales,
-- Austernpilz : Agaricales,
-- Shiitake : 표고버섯,
All - Holzabbau : 무지무지하게 중요한 과정, beduetend für den Stoffkreislauf, 분해자로써 다른 생물에게 터전을 마련해준다고,
- Voraussetzung : Enzyme für Pektin, Suberin, Cellulose, Lignin, 균사의 침투력. agaricomycotina 가 여기서 큰 역할을 하는중,
- 대표적 현상 : Weißfäule (리그닌, 셀룰로오스), Braunfäule (셀룰로오스만!),
- Peroxidasen PODs : 리그닌 분해 엔자임, 이걸 제어하는 유전자를 마커삼아 Pedigree 추적
1) Agaricomycetes
a. Sebacinales : 2종류 뮤코릿쩌인데 하나는 Ectomycorrhiza, 하나는 Wurzel-Endophyten,
- Piriformospora indica : Biofertilizer(근데 Korn이 아닌 Stroh), Biocontrol agent (bodenbürtige Pathogen 에 저항성을 제공하나 Blatt에 대해서는 제공치 않는다)
b. Cantharellales : Anastomosis-Gruppen AG (Pilze Abschlussreaktion) in Klausur wichtig
- Thanatephorus cucumeris : AGs sins z.T wirtspezifisch,
-- Infektionskissen 을 사용하기도 한다 (Appresorium 처럼 마시브 드룩을 주는게 아니라 여러 휴펜이 parallel 하게 압박)
- Ceratobasidium cereale : Getreide, Rasen, 증상은 hellgraue Nekrose am Halm, schnelles Auflaufen
c. Boletales
- Serpula lacrymans : Bauholz Problem,
d. Agaricales
- Armillaria mellea (Hallimasch) :
All - Mycetismus : 독성 버섯들. 유럽에 150종 정도 있다,
- 예전에는 Substanz 에서 유래하는 줄 알았는데 독성이, 칵테일 형태?
- Amatoxine : langer Latenzzeit, 왕무섭다,
- Muscimol, Ibotensäure :
- Befruchtung : 마지막에 Dikaryot 가 온다고. 이것과 Keimung 의 차이는?
Neue Folie
WH : 여기 복습이 아주 괜찮다, 바지도의 분열방식은 훨씬 빠르고 효율적이다, 이게 바지도, 아스코의 가장 큰 차이, 그리고 형태학적 특징들 나열되어 있음, 로스트필쩨, 브란트필쩨, 훗필쩨 특징 여기 정리,
1. Pucciniomycotina :
1) Pucciniomycetes
a. Pucciniales : obligat biotroph, 포자를 5 종류까지 만들 수 있는데 모두가 5개를 만드는건 아님,
- Rostpilzen : Uredospore 가 좀머포자이며, 에피데미를 발발시킬 수 있다,
-- Sporen
--- 0. Pyknidium : 1. Äcidium : 보통 오렌지색, 2. Uredinium : Rost 색깔이 이녀석의 색깔에서 유래됨, 근데 유전형이 stabil 한 편이라 이녀석에 저항성가진 종을 만드는 중 3. Telium : Schwarz, 4.
- Melampsoraceae
-- Melampsora
-- Melampsora lini :
ALL - Ökonimisch wichtige ARten > 온갖 녀석들 정리
All - Sporentypen der Pucciniales : 온갖 포자들 종류, 위치 등 정리되어 있음
* 시험문제 : obligat biotroph 의 대표적 예시는? falsch Mehltau, echte Mehltau, 그리고 대표종 몇가지 4개정도.
'독일 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tragsphysiologie] Vorlesung, Übung (0) | 2018.10.26 |
---|---|
[Molekulare Ernäh.Phy - I] STP, FTM, PMS (0) | 2018.10.22 |
[Grundlage] 생물통계 - 용어중심 정리 (0) | 2018.06.13 |
[Grundlage] QTL 분석 쉽게 설명하기 - 유럽농업저널 (0) | 2018.06.08 |
[QG&PG] 4, 5. Übung (0) | 201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