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ammwürze : original gravity, original wort
- Maische : mash, slurry
- Treber : draff, marc 찌꺼기, 포도 찌꺼기
- ober- und untergärig : tob and under fermented
- aggreegiert : aggregated, clumped, 군집의, 종합적인
- vereinzelt : isolated, scattered 산발적인, 산재한
- absinken : drop, sink
- auftauchen : appear, pop up
- ausgeschleudert :
- Inhibition : 억제, 저해
- Fütterung : feed, feeding
- Borke : bark, 나무껍질
- Eiablage : ovposition, 산란, 알낳기
-s Isolat : 조직이나 토양에서 분리된 균주, 균
- e Keimung : germination 발아, 성장
- e Anheftung : 정박지? 은신처
- Osmose : osmosis, 삼투압
- austreten : leakage, 누출, 새어나감
- Anbindung an den Zellzyklus : connection, accessibility 접근성
- e Abnahme : decrease, acceptance
- s Kaminholz : firewood
- Regen abzuhalten :
- Ährchen : 잔이삭, 볏과의 많은 꽃으로 이뤄지는 부위
- überstehen : survive, withstand
- Konidie :
- antreffen : encounter, meet, come upon
- Bestimmungsmerkmal :
- abgegrenzt, e Abgrenzung : boundery, delimitation 구획화, 경계설정
- Wasserzufuhr blockieren
- notwendigerweise : necessarily 필연적으로, 어쩔 수 없이
- verdrängt : replaced, suppressed
- sprunghafte Anstieg :
- Zeitfenster : time frame ?
- Sensibilität = Anfälligkeit
- infektion an Spitze des Kolbens
- Genduplikation : gene duplicaiton 유전자중복, ???
[9강. Ascomycota - Pezizomycotina]
1. Systematik : Multistammbäume 구성합니다. 왕 다양해요
- 분자생물학적 증거와 형태학 간의 분류 : 뭐시 복잡
2. Ascomycota - Pezizomycotina - Orbiliomycetes
- N 을 얻기 힘들 수 있는데
1) Nematodenpathogene Pilze :
2) Orbiliaceae :
3) Pezizomycetes : analoger Befund bei Basidiomycota
4) Tuber (Trüffel) : 맛있는 종류가 있답니다. 10년 걸림 mühsam
5) Ascobolaceae :
6) Morchellaceae : 독일 야생서도 자주 보이는 Speisepilze
7) Geoglossomycetes : Apothecium 이 특이해서 별명이 Erdzunge.
8) Eurotiomycetes : 중요하다!
- Coryneliales 만 예외고 나머지는 Celestothecien
- Onygenales : Coccidiodimycosis 는 가장 위협적인 인간 대상 Pilze 란다
: 꽤 널리 퍼진 녀석임, 사진은 Hautinfektion 인다 nützlich Medikamente, schädlich Mycotoxine, 매우 헤테로게네 한 보습이 보여준단다. - aSPERGILLUS . kÖPFCHENschimmel : 아시아에서 많이 쓰인다.
: Aflatoxin : Grundgerüste 에서 제일 처음에 있는 녀석이 제일 유명한 녀석.
- Grenzwerte 에 따르면 꽤 치명적이다, 유럽, 미국의 기준이 간격이 있는건 아이와 어른의 차이 때문. 애는 가장 scharf 하게 gilt. 그리고 조지아에서 점점 줄어드는건 기후때문이라던가. 더 습하
Ochratoxin : Phe-tRNA 테 알엔에이가 무슨 역할을 하는데 설명중.
- Soja Soße :
- Sake : 2가지 종류의 필쩨를 사용하며 Stärke 가 Zucker 가 되고 EtOH 가 된다.
- Technische Enzyme : 온갖 엔자임 다 튀어나옴.
Waschmittel에는 Lipasen, Proteasen은 가죽, 치즈, 맥주(독일에선 쓰면안됨, 하이네켄, 칼스버그 이런건 쓴단다), 역시 Waschmittel,
Gluconsäure 는 나름 흥미로운 친구라는데
으으... 컴 멈춰서 다 날라감. 간단하게 기억하는 것만 정리함
페니실린 : 치즈만드는데 쓰이고 살라미에도 쓰임, 미네랄 등 농축되어 더 gut nährert
- Patulin : 독소, 떨어지거나 부패한 사과 대부분에서 발견되는 페니실린 생성 독소
- 페니실린 : 알렉산더 플레밍, e Welt fast verändert hat, beta Lactam 관련 작용, 요새는 Resistenzen vorhanden 해서 새로운거 발견해야함
- 그외 Medikamente aus Pilzen : Lovastatin (Cholesterolsenker), Griseofulvin
[10강, PhytoSymbionten von Pflanzen]
1. Symbiose : 정의, Mutualismus 추가 덕에 현재의 용법은 과거와 조금 다름,
- Parasitismus, Kommmensalismus, Mutualismus,
2. Mycorrhiza : 식물과의 Mutualismus 단골, 대부분의 식물이 연계되어 있음, Glomeromycota 라는 예외 외에는 필쩨는 숙주식물없음 못살고 식물도 마찬가지다!
- 장점 : extreme Bedingungen ertragen, Rhizosphäre 식물 넓혀준다 = 뿌리에 투자하는 것 보다 이녀석에게 지불하는게 낫다,
- wood wide web : 다른 식물체가 공격받으면 지하에 깔린 필쩨 망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여 미리 Abwehr vorbereiten
- 이놈은 진화적으로 Algae 가 육상으로 올라와 식물화 되는 과정에서 연관성이 있다는 Hypothese가 있음
- Typen
1) Arbuskuläre Mycorrhiza AM : 가장 오래된 뮤코릿쩌, 인 흡수율, 탄소 함유, 광합성률 등에 갖은 효과를 준다,
: Etabilierung 의 경우, 숙주입장에서는 P-Mangel 을 감지했을 때 특히 Strigolactone 을 sekretieren 하여 필쩨를 끌어드리는데 그래서 P-Düngung이 Bildung에 문제가 되기도. 필쩨입장에서는 역시 진화적 관점에 뭐가 있다
2) Ericoide Mykorrhiza ERM : 북반구 관련
3) Orchideenmycorrhiza ORM : 가장 많은 종류를 가진 필쩨, 식물과의 관계가 복잡복잡한 영양관계를 구축하며 anfangs Parasit
4) Ectomycorrhiza ECM 외균근 : 유전자를 보면, Verlus von Enzymen des Ligno-Cellulose Komplex 나무와 관련이 많은 친구
längst sicht / aufsicht 측면 단면? 균류와 고등식물의 뿌리와의 공생체라고 표현하네.
- 쩰을 penetriert 하지 않고 옆으로 속속 빠진다, 그리고 풍기가 플렌쩬의 미네랄이든 뭐든 다 콘트롤리어런 한댄다
- Etablierung : 흥미롭다,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 Mycorrhizatypen : 잔디, 숲(나무와), 습지. 이 그림 꽤 중요하다, 시험일듯. 같은 Habitat 에서도 발생한다 다른 애들끼리.
- Vergleich der BNilanzen : Phosphor, Stickstoff 많은 양이 뮤코릿쩌에 기인한다!!
- Genome : PCWDE 이라는 효소의 의미는 자립을 하는 놈이냐 들어가는 놈이냐인듯.
- Flechten 지의류 : 아주 중요한 Symbiose 중 하나. 균류와 조류의 공생관계닷
: Gebirge, Arktis, Wüste (in extremen Habitaten) 묘지의 석판같은데 생긴 이끼같은것도 이녀석이었따!!!
1) Algen : Grünalgen 의 70프로는 Trebouxia sp, Cyanobakterien 의 10프로는 Nostoc sp. 극한 온도조건에서도 광합성이 되고 시아노박테리아 덕에 N2 Fixierung 도 가능하고 O2 로부터의 디펜스도 제공하고, 많은경우 파트너와 따로 kultiviert 되었다가 다시 합칠 수 있다고.
2) Thallus : Pilz 와 Alge 가 eine sturkturelle Einhiet 빌든. 그냥 쭉 읽는다 내용을. 많은데 다 읽음. 독하다
- Aufbau :
- Co2, N2 Fixierung : 오른쪽 그림을 보면 중간에 시아노박테리아가 있거 그 옆으로 Grünalgen 이 광합성중이다 캬
3) Reproduktion : Apothecien, selten Perithecien, 왕젤튼 Basidioma, / Isidien, Soredien 은 무성생식 vegetative.
4) Bioindikator : 오염도에 비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애도 있고 막 자라는 애도 있고,
5) 패션업계에 잘 쓰이네요,
- Endophyten : 필쩨가 식물 조직에서 특정 증상없이 자라는 것
[11강]
Einteilung der Endophyten 은 볼 필요없다 버린다!
1) Einfluß : Wuchssteigerung, Toleranz, partieller Schutz vor 나쁜 놈들 독, 곤충 병원성 팡이 야로들
*Fazit : 필쩨와 식물의 Symbiose 는 육상식물과 매한가지로 오래 존재했고, 서로 장단을 주고받는 끈끈한 사이로다.
좋은 복습이었다.
- Ascomycota - Pezizomycotina - Lecanoromycetes : 몇개 읽고 넘어감
- Lichinomycetes : 그냥 몇개 읽고 넘어감
- Sordariomycetes : Fusarium도 여기 있네. 나름 끗발있는 친군듯.
1. Ordnung Sordariale : Neurospora
2. Ordnung Diaporthales : meist in Stroma
- Phomopsis spp :
- Cryphonectria parasitica : 아주 히스토리쉬 중요한 필쩨. Chestnut blight 밤나무 줄기 마름병 라 카는데 아주 다 박살내서 이젠 저
여기서 자세한 내용을 읽으삼 ( http://www.jadam.kr/news/articleView.html?idxno=6972 ) 결국 내성이 있는 중국 밤나무와의 여교배를 통해 기존의 사이즈는 유지하면서 내성을 가진 종자를 만들었다고. 일단 걸린 나무는 죽지는 않으나 살아남아도 빌빌 작다, 그리고 미국 유럽 어쩌고 더 퍼지는데 뮤코비루스 당므에 왕 무서워진다 뭐 어쩌고
- Sordariomycetes - Ophiostomatales - Ophiostoma ulmi : AmbrosiaKäfer 랑 상관있는 놈인가 보우. 나무를 파서 들어가서 알을 낳고 그 놈이랑 같이 퍼지는 팡이인듯. 즉 Insekt-Pilze Symbiose 이며 ungewöhnlich 하다.
1) Käfer : Coleoptera - Platypodinae, 3400종이 이런 관계를 형성, 필쩨의 휴펜에서 영양을 섭취하다니! Pilzmycel 냠냠
2) Evolution :
3. Ordnung Magnaporthales : 분류학적 위치 설명중, Clade A (aquatisch) B (windverbreitet) C (Bodenbürtig),
- Magnaporthe oryzae : 도열병 Reisverbräunung (Rice blast) 바람으로 퍼지는 아주 위험한 벼 Pathogene 다!! 중요. Hauptpathogen
1) MOT Magnaporthe oryzae Triticum : 이 병이 밀에도 발견됨 Wheat blast, infiziert nur Weizen
2) Herkunft : 진화적 배경 및 기원 추적과정을 꽤 길게 설명함,
3) Keimung : Appresorium 얘기를 길게한다
4) Entstehung des Appressoriums : 동영상이 뙇, 붉은 건 markierte Histon, 히스톤 단백질이 휙 하고 가는게 Apoptose Phänomen 순간적으로 4개의 핵이 존재하나 1개만 아프레쏘리움이 됨미. 그다음도 어케 Penetration 하는지 설명중,
5) Standardmodel von Druckpenetration : 일단 내부의 고농도 글리세롤 등은 못나가게 하면서 물을 계속 받아들이고 드룩. 6-8 MPa,
6) Effektoren : cytoplasm 의 메카니스무스는 아직 다 이해되진 않음,
- Gaeumannomyces graminis : 아주아주 중요한 페토젠, Schwarzbeinigkeit (take all dieses) 뿌리썩음병,
1) Hyphopodium 으로 Penetration 한다, 그리고 뿌리에서 뿌리로 퍼져나감
2) Fusarium과 구분하는 법 : 아마 시험, 둘다 밀 Blüte 부분이 휘며 힘이 없어지는데 뿌리썩음병의 경우 아래 Äste, Stamm 을 보면 검게 죽어감을 추가확인가능
3) Avenacin : Phytoanticipin Schutz vor Pilze,
4) G.graminis var. avenae (Gga) 이놈들만 Weizen, Gerste, Hafer 전부 다 infizieren 하는데 이놈은 위에 언급된 Avenacin 을 detoxifizeren 해버린다.
G.graminis var. tritici (Ggt) 는 Weize, Gerste 만 감염시키는데 이놈은 Avenacinase 를 만들지 않아요 1 Enzym bestimmt Wirtbereich 아마 이 구분도 시험일듯.
5) Monokultur 의 문제 : G2 유전자가 뭔가의 원인인듯 한데 이것도 아직 다 규명되지는 않았음요
[12. Pezizomycotina]
복습 : 농업에 있어서 signifikant wichtig 한 Epidemie 를 배웠구요, Hauptpethogene, Fusarium, Ascomycota, hypovirulenz,
1. Ordnung Microascales
1) Ceratocystis : Insekten,
2. Ordnung Hypocreales : sehr Wichtig, Claviceps Cordy... 얘네들 아주 중요하다고
1) Sporodochien
2) Fusarium : 농업에서 왕 큰역할, Mykotoxin 생성, 메어쩰리히하고 약간 바나나처럼 생겼고 그리고 Fußzelle 가 끄트머리에 있다는게 특징. 이 녀석은 Ähre Befall 이다 (전체 Pflanzen 에는 상관없다)
a. Spezies-Komplexe 는 전통적 종개념에서는 아주아주 근접하나 분자계통학적으로 살피면 여튼 abgrenzen 되는 관계에 놓인녀석이 많다,
b. Fusarium이라는 이름은 널리 사용되는데, 사실 이 이름은 한 종만 일컫는거이긴 함
c. Fusarium graminearum : 어떤 대력, 클리마, Vorfrucht, 어떤 작물대상인지에 따라 다양, 기본저긍로는 FHB 라 불린다, gesamt Ähre 가 감염되는게 아니라 partiell, 일단 Blüte 에 시작하고 그리고 verbreitet,
- Gerste 는 Resistenz 가 기본적으로 있다캄,
- Lager 상태에서 Ausbreitung 될 수도 있고, Mycotoxin 을 만들기에 Ernährung 에 문제된다.
- 감염되면 Heller werden 낟알이.
- 90프로 이상 L.F Luft Feucht 와 15도 이상의 뜨뜻축축에서 최적으로 Infektion 발생,
- Vorbeugung : Triazole 외 다른 풍기찌데는 효과가 없다고...
- Infektion der Blüte : Hyphopodien ( 관통력을 가진 균사, 뭔가 노말하다는데 ) Infection Cusion (Infektion Kisse) 는 균사가 세포를 둘러싸고 여러개의 균사를 parallel 하게 뻗어들어가는 모습을 말한다고,
- Infektion des Samens : 유전자단위에서 염색하여 관ㅅ찰, FCR?
d. Fusarium Mycotoxine : NRPS (노 리보좀) PKS, 등. 각자 특정 트렌스포터를 갖고 있다고 클러스터안에. 아 어렵다. 독을 만드는 건 쉽지않은가보우...
- Polykeptide : O 이중결합이 깨지면서
- Terpene : 여러유형의 링을 갖고있음을 알수 있구요, A 또는 B 트리오테쩨네를 만드는 종들이 구분됨, Deoxynivalenol(DON) 은 Don Gehalt 대표적 톡신 슈탄다트인 듯, Referenz Standard 인데 그 이유는 이녀석이 höhe konzentriert und häufig als andere in Weizen 때문이다. 예를들어 독성은 NIV 가 더 높지만 이녀석은 마이스에 주로 vorkommt
* 톡은 Wirtsspezifisch / nicht 로 구분된다. 니히트는 숙주의 특성을 안가린다. Trichothecene 가 그러한데, 리보좀 빌둥을 ㅜㅗㅑㅠㅑㄷㄱ두
- Trichothecene : Isolat ?
- TRI Cluster : transkriptions Faktoren,
- Deoxynivalenol DON : hitzestabil, wasserlöslich, 돼지가 여기에 많이 약하다고. Lagerung 에서도 Don Gehalt가 늘어날 수 있기에 14프로 밑으로 관리해야되고 수분, ADI (Tierversuch) 온갖 식품등등에 이거 테스트가 기준화되어있다고,
Beeinflussung des Don Gehalt : 여러가지가 있다, 모노쿨투어, 옥수수기른 땅에 밀기르기,
- Zearalenon ZON oder Fe Toxin : Östradiol ähnliche Struktur 여성호르몬 중 하나와 비슷한 녀석이라 환경호르몬 처럼 작용,
- Fumonisin : 앞의 독성과 달리 F.verticillioides, F.proliferatu 에서 발생하며 목표는 Ceramid synthese (세포막 생성에 관여하는 Lipid), 간 및 신경독성을 발생하며 인간에게 Speiseröhrenkreps 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짐,
e. FG - Komplex : 예전엔 7개 분류였다가 이제는 16까지 늘었다 분류가. 제일 위의 7번만 FG 이름을 써두되고 나머지는 새롭다고, Keine Korrelation zu Chemotypen ?? . 이거 분류작업은 그냥 후사리움을 위한것뿐만 아니라 텍소노미를 위해서도 중요하다는데,
이 녀석들은 형태학적으로 분류하는 것 보다 molekulare Phylogenie ist zu bevorzugen
- FG Spezies Komplex FGSC : relativ neue Blick auf FG, 시간이 지나면 또 바뀔것이다, 현재 Agronomisches Verhalten, Ablaufe 가 Evolution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는 확실치 않다,
- Population in EU : 1626 F.g, F.c Isolate aus 17 Staaten, 이 두 종은 ADON 을 am häufigsten produzieren
- PP in N-Amerika : 15ADON이 더 많네,
f. Fusarium culmorum : Fusarium의 성장은 Witterung abhängig
- FCR foot rot : 병
g. Fusarium spp. an Weizen : 작센 안할트는 최근 Trocknenheit 땜에 이놈들의 활동이 많이 줄어듦, 빈도 Häufigkeit 는 일단 Fg 가 제일 흔하고 그 다음으로 , Fg 와 Fc 는 Antagonismus 관계
- Bekämpfung von FHB an WEizen : Triazole 가 wirksam, 더 많은 Azolvariante 가 개발되고 있단다, Egosterol 이란 Enzyme 를 Target 으로 삼는 종류인데, DMJ 라는 녀석은 더 시작시점에 가까운 Enzyme 을 타겟으로 삼는다고,
- BKPF an Mais :
h. Fusarium oxysporum : 150 개 정도 숙주식물에 발생, 박테리아의 플라스미드 (본인에겐 불필요하나 다른 Wirt 에게 verleihen 하는 목적) 와 같이 LS lineage-specific Chromosonem 이 있어 이걸 숙주에게 verleihen, NH4로 듄궁할 때 NO3 일때보다 이녀석들 문제가 적다,
- Gibberella circinata :
- Comparative genomics : SM seceond metabolitic, 35개의 물질을 5개의 유전자에서 발견!, SM d이 특정 종에서 발생하고 이것이 HGT 로 verbreitet된듯, 그 말인즉슨 아마도 후사리움은 다른 종들에게 있어서 진화의 주요역할을 하는 Genduplikation 유전자중복이 unbedeutend 할지도.
i. Claviceps purpurea : befallsbegünstigend (vgl. FHB) 간만에 Zyklus 설명중, Sclerotien schwimmen im Salzwasser ?
- Mutterkorn-Alkaloide : 파마씨에서 상당히 관심을 가지는 부분이라고 함, 알칼로이드의 농도가 상당히 높다고 함, Ergometrin, Indol-Derivate,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Ergotismus mit St.Antonius-Feuer Kribbeln krankheit, 살렘의 경우 극청교도 주의자들이 미국으로 넘어갔는데 아무래도 기후도 다르고 해서 Hunger 땜에 영 안좋은 보리도 먹고 했을거라고, 아마 그러다보이 이 Alkaloide 땜에 환각보는걸 마녀라 생각하고 막 죽이고 어휴,.
j. Epichloe / Neotyphodium : Hypen Mantle 을 만든다 Choke disease, Ryegrass staggers 라는 문제가 ㅌ[ㄱ사스 이런 주에서 문제되고 있는데 가축들이 이걸 먹고 오락가락하는 문제인듯,
3. Entomopathogene Pilze : Zygomycota 에서 주로 다뤘음, 이 Larva 에 생긴 Stroma안에 파마찌에서 흥미를 가질만한 여러 SM 물질들이 들어있다고, 동충하초같은거.
1) Immunsuppressor Cyclosporin : 무슨 쌍둥이 어쩌고에 유일한 물질이라는데,
4. Ordnung Xylariales : 파마시로부터 흥미를 끄는 물질들이 꽤 됨.
5. Ordnung Glomerellales : 비가 오면 비를 딱 맞고 포자가 튄다는 것 같음 ->안 확실
1) Colletootrichum spp : 3가지 Ernährungsweisen bei Pathogenen
a. 딸기 >
b. 토마토
c. 바나나
2) Colletotrichum graminicola : 2단계로 나뉘어 성장하는데 1단계는 biotrophe Phase 에서는 살아있는 상태에서 칩입해서 Primär 를 만들고 그다음 nekrotrhphe Phase 로 돌입해 전체 잎으로 퍼진다.
a. Ph Wert : nekrotroph 일 때 pH 변화 어쩌고. 이게 아마 PG, PL 은 펙틴을 녹이는 엔자임인데 Gewebe von Wirt 를 weich하게 만드는 역할 여기에 연관이 있을 거라고
3) Colletotrichum lindemuthiamum :
4) 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 bodenbürtig,
5) Verticillium dahliae : bondenbürtig, 온실에서는 Erddämpfung 으로 방지할 수 있다,
6) Verticillium longisporum : 4개의 근연종들이 Raps 병원체로 활동중
'독일 석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PG] 4, 5. Übung (0) | 2018.06.08 |
---|---|
[QZ&RZ] 5강 - 6강. Resistenz (0) | 2018.06.04 |
[QZ&RZ] 3강 - 4강 (0) | 2018.05.28 |
[Zuchtgarten] Feld Exkursion,IPK Gastersleben, BASF (0) | 2018.05.28 |
[Gundlagen] 육종 기초 및 방법 Züchtung (0) | 2018.05.16 |